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9. 대원군의 집정 (제51 「메이지(明治) 천황 1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 본과에서는 전(前) 과에 이어 이 태왕(李太王)이 나이가 어려서 즉위한 사정을 설명하고, 재위 44년 중 처음 10년간에 걸친 대원군(大院君) 집정(執政)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들을 알려...
    60 KB (7,202 단어) - 2023년 4월 22일 (토) 23:12
  • 강화조약(江華條約)이라고 한다. 【메이지 9년 2월, 이 태왕 13년】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 정부는 경성에 공사관(公使館)을 설치하고,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를 공사(公使)로 주차(駐箚)하게 하였다. 【메이지 13년 4월, 이 태왕 17년】 강화조약은 실로 조선이 근세에...
    44 KB (5,275 단어) - 2023년 4월 22일 (토) 23:19
  • 독립당은 그들을 뒤엎고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려고 하여, 어느 쪽이든 몰래 계략을 써서 암암리에 서로 다투었다. 메이지 17년 【이 태왕 21년, 갑신년】 에 독립당의 우두머리인 김옥균(金玉均), 홍영식(洪英植) 등은 모의하여 급히 사건을 일으켜, 사대당의 우두머리들을...
    100 KB (11,793 단어) - 2023년 4월 23일 (일) 00:53
  • 大朱留王紹承基業。□至十七世孫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二九登祚,號為永樂 太王恩澤洽於皇天,威武柳被四海。掃除[九夷],庶寧其業。國富民殷,五穀豊熟, 대주류왕(大朱留王)께서 (나라의) 기업을 이어 받으신 뒤, 17세손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에 이르렀도다. 열여덟 살(391년)에 왕위에...
    18 KB (2,847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0:02
  • 리의 땅을 고구려에게 떼어 주어 광개토왕이란 그 존호 ( 存號 ) 와 같이 국토를 넓혔다. 진서 ( 晋書 ) 에 겨우 “태왕 ( 太王 : 好太王 ) 이 연 평주 ( 燕 平州 ) 의 숙군성 ( 宿軍城 ) 을 침노하므로 평주자사 ( 平州刺史 ) 모용귀 ( 慕容歸 ) 가...
    43 KB (4,973 단어) - 2020년 1월 17일 (금) 19:59
  • 중국의 영토를 빼앗아 이 태왕이 즉위하기 전에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는데, 이 무렵부터 점차 조선을 주시하면서 기회가 오기를 기다렸다. 그 후 조선은 러시아와 통상조약(通商條約)을 체결하여, 【메이지 17년, 이 태왕 21년】 러시아 공사 【베베르】...
    52 KB (5,756 단어) - 2023년 4월 23일 (일) 01:42
  • 텬시 뗜씨ᇹ ○上仝 ○南話餌ᅀᆞᆯ 魚叉子 유차즈 ᅌᅲ차즈ᇫ ○고기디ᄅᆞᄂᆞᆫ담화 釣魚 ᄃᅸ유 댜ᇢᅌᅲ ○고기낙다 揷魚 차유 차ᇹᅌᅲ ○고기디ᄅᆞ다 擡網 태왕 때ᄝᅡᆼ ○반도 拿魚 나유 나ᅌᅲ ○고기잡다 摩魚 모유 뭐ᅌᅲ ○고기더듬다 笊籠 ᄌᅶ룽 자ᇢ룽 ○고기잡ᄂᆞᆫ가리...
    415 바이트 (207 단어) - 2021년 9월 1일 (수) 15:48
  • ○南話餌ᅀᆞᆯ 魚乂(〾叉)子 유차즈 ᅌᅲ차즈ᇫ ○고기디ᄅᆞᄂᆞᆫ담화 釣魚 ᄃᅸ유 댜ᇢᅌᅲ ○고기낙다 挿(〾揷)魚 차유 차ᇹᅌᅲ ○고기디ᄅᆞ다 〾擡網 태왕 때ᄝᅡᆼ ○반도 拿魚 나유 나ᅌᅲ ○고기잡다 𢊢(〾摩)魚 모유 뭐ᅌᅲ ○고기더듬다 〾笊籠 ᄌᅶ룽 자ᇢ룽 ○고기잡ᄂᆞᆫ가리...
    415 바이트 (220 단어) - 2021년 6월 1일 (화) 16:31
  • 29일】 메이지 천황은 전(前) 한국 황제 및 그 일족을 매우 후하게 대접하여, 전 황제를 이왕(李王) 전하, 태황제(太皇帝)를 이 태왕(李太王) 전하, 황태자를 왕세자(王世子) 전하라고 부르도록 하고, 그 외에 근친(近親)의 여러 사람들도 모두 황족의 대우를 받도록 하였다...
    28 KB (3,400 단어) - 2023년 4월 23일 (일) 02:10
  • 따라서 한국을 일본에 병합하는 것은 이미 어쩔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는 사정을 가르쳐야 한다. 메이지 41년 【광무 11년, 이 태왕 44년】 7월 【19일】 에 황제 재위(在位) 44년에, 황위(皇位)를 황태자 【휘(諱)는 척(坧)】 에게 물려주었다. 새 황제는 전(前)...
    54 KB (6,476 단어) - 2023년 4월 23일 (일) 02:04
  • 嗣後此隆錫을 世襲ᄒᆞ야쎠 其宗祀ᄅᆞᆯ 奉케ᄒᆞ며 皇太子及將來世嗣ᄅᆞᆯ 王世子ᄅᆞᆯ 爲ᄒᆞ며 太皇帝ᄅᆞᆯ 太王을 爲ᄒᆞ야 德壽宮 李太王이라 稱ᄒᆞ고, 各其儷匹을 王妃太王妃又ᄂᆞᆮ 王世子妃ᄅᆞᆯ 爲ᄒᆞ야 竝히 皇族의 禮로쎠 待ᄒᆞ야 特히 殿下란 敬稱을 用케ᄒᆞᄂᆞᆨ니, 世家率循의...
    36 KB (7,118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16
  • 이에 주공은 바로 자신을 제물로 삼아 세 층의 단을 마련했다. 주공은 북쪽을 향해 서서 벽옥(碧玉)을 머리에 이고 홀을 손에 들고 태왕(太王), 왕계(王季), 문왕(文王)에게 고했다. 사관이 축문을 읽었다. “오, 당신들의 현손인 국왕 발(發)이 국사에 지쳐 병이 나서...
    48 KB (5,742 단어) - 2016년 11월 26일 (토) 23:00
  • 사마천(司馬遷) 오(吳) 태백(太伯)과 동생 중옹(仲雍)은 모두 주(周) 태왕(太王)의 아들이자 주의 왕 계력(季歷)의 형이었다. 계력이 현명한데다 성스러운 아들 창(昌)이 있었기 때문에 태왕이 계력을 세워 왕위가 창에게로 전해지게 하고 싶었다. 이에 태백과 중옹 두...
    29 KB (3,573 단어) - 2016년 11월 26일 (토) 22:52
  • 찾았고 왕씨의 제사를 지냈으며, 또한 그 사당을 숭의전(崇義殿)이라고 불렀다. 왕씨가 관리에 임용되는 경우는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이 태왕(李太王) 4년에 대원군(大院君)이 개혁을 단행할 때 비로소 왕씨의 후예를 등용하였다. 태조는 왕자가 여덟 명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대군(大君)은...
    41 KB (5,056 단어) - 2023년 4월 18일 (화) 05:00
  • 9. 대원군의 집정 (제48 「양이(攘夷)와 개항(開港)」 이후) 이태왕(李太王) 【제26대】 이 즉위하자 그의 아버지인 이하응(李昰應)을 대원군(大院君)에 봉했다. 왕은 나이가 겨우 12세에 불과했으므로 정치의 실권(實權)은 모두 대원군이 손에 쥐었다. 대원군은 먼저...
    3 KB (282 단어) - 2023년 8월 19일 (토) 23:23
  • 예종실록 총서 ○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諱胱, 字平甫, 世祖惠莊大王第二子, 母妃慈聖欽仁景德宣烈明順元淑徽愼惠懿太王太妃尹氏。 以景泰元年庚午春正月丁丑, 誕于邸, 岐嶷穎異。 初封海陽大君, 娶上黨府院君韓明澮之女, 卽章順王后, 早逝。 天順元年秋九月, 王世子卒, 世祖請立爲世子...
    2 KB (26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6
  • 泰伯至德云云。○太王泰伯事。世已遠矣。不可得而詳矣。然以集註考之。有三可疑。夫詩所謂實是翦商者。盖周德始盛。實爲興王之漸云爾。今云太王因有翦商之志。則是跋扈之將心也。此其可疑者一也。泰伯有如此之德。輔之以仲雍王季之賢。繼之以文王之聖。以左右公室。則周之德。不患不盛。太王...
    43 KB (10,052 단어) - 2014년 8월 23일 (토) 00:17
  • 순조(純祖) 【제23대】 13년에 부(府)로 승급시켰으며, 소재지를 후주(厚州)로 옮겨 함경도에 속하게 하였지만, 또다시 폐지하였다. 이 태왕(李太王) 6년 【메이지(明治) 2년】 에 상신(相臣) 김병학(金炳學)의 건의에 따라, 후주와 무창을 합쳐 새로 후창군(厚昌郡)으로 정하였으며...
    24 KB (2,918 단어) - 2023년 4월 18일 (화) 05:20
  • 양명문(陽銘文)이다. 자체(字體)는 대왕비(廣開土大王碑)에서 보는 그 웅건한 예서체(隸書體)인데, 이 명문에 의하면 이 그릇은 호태왕(好太王)이 죽은 후 3년인 장수왕(長壽王) 3년(415년)에 왕의 사당(祠堂)에 쓰기 위해 만든 제기(祭器)의 하나임이 분명하다. 이 광개토왕의...
    7 KB (748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6
  • 故明眼人目毛曰 蕭氣未除 余曰 文王乃太王季子之子也 見小孫聖德之時 太王壽考 當不下百歲 自岐雍至荊蠻 道里不下萬里 捨百歲之親而採藥萬里之遠 所謂三年之病 求七年之艾也 然而孔子稱太伯爲至德 朱子稱太王爲至公 非如伯夷太公之不相悖也 由太伯而論 則太王不應爲至公 由太王而論 則太伯不應爲至德 聖賢至微至精之旨...
    52 KB (12,781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7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