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인류 문화의 시작/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인도 통일제국의 성립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인도 통일제국의 성립〔槪說〕[편집]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에 걸쳐 갠지스강(江) 유역은 샤이슈나가 왕조가 지배하는 마가다국(國)에 의하여 통일되었다. 그 후 기원전 4세기 초에 샤이슈나가 왕조가 무너지고 난다 왕조로 바뀌었으나 마가다국의 번영은 여전히 계속되었다. 한편 인더스강 유역은 기원전 518년경 아케메네스 왕조의 다리우스(다레이오스) 1세에 정복되어 이후 페르시아 제국의 속주가 되었다. 그리고 이 지역에 전해진 페르시아 문화는 다시 동쪽의 갠지스강 유역에서 번영하고 있던 인도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아케메네스 왕조를 무너뜨린 알렉산더(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27년부터 기원전 325년에 걸쳐서 인더스강 유역에 침입하여 그 후 얼마 동안 이 지방은 그리스 세력권에 들게 되었다. 갠지스, 인더스의 두 강에 걸친 통일제국을 건설한 것은 마우리아 왕조의 창시자인 찬드라굽타이다. 그는 마가다국의 지배권을 난다 왕조로부터 빼앗자 즉시 서북 인도의 그리스 세력을 일소하고, 이어 남부 데칸 지방의 정복에 힘을 기울였다.마우리아 왕조는 제3대 아소카왕(王) 시대에 최성기를 맞아서 그 지배는 인도 대륙의 거의 전역에 미쳤다. 마우리아 제국은 중앙 직할령과 속주로 나뉘었고 각 주에는 중앙에서 왕자나 대신이 파견되어 통치를 담당하였다. 통일제국의 출현에 의해서 국내 교통이 원활해졌고, 경제·사회·문화의 각 방면에 있어서 전국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 문화적 후진 지대였던 남부 인도는 이 시대에 북쪽으로부터 자극을 받아서 문화 발달이 촉진되어, 마우리아 제국 쇠퇴 후에 있어서의 안드라 왕조의 번영을 보게 되었다. 인도 최초의 통일제국을 건설했던 이 왕조도 아소카의 죽음 후 쇠퇴의 길로 향하여, 기원전 187년경 슝가 왕조의 창시자인 푸샤미트라에 의해서 무너지고 인도는 다시 정치적 분열의 시대로 들어갔다.

마우리아 왕조[편집]

-王朝 Maurya

파탈리푸트라에 도읍을 둔 고대 인도의 왕조이다. 알렉산더 대왕이 서북 인도를 정복하고 있을 무렵, 동방에서는 마우리아 가(家)의 찬드라굽타가 권력을 장악하여 젊은 나이에 왕이 되었다. 창시자인 찬드라굽타(재위 전 317

전 293?)는 북부 인도의 통일을 거의 완성하였고 제2대 왕 빈두사라(재위 전 293

전 268?)에 의해서 데칸 방면의 정복이 진행되었다. 다시 제3대 왕 아소카 시대에 동남방의 칼링가국이 정복되어 여기서 인도 사상 최초의 통일 제국의 완성을 본 것이다. 그러나 아소카 사후, 왕조는 쇠퇴하여 기원전 187년경 멸망했다.마우리아(Maurya) 왕조 멸망 후 북부 인도에는 슝가 왕조(전 187

전 75?)와 칸바 왕조(전 75

전 28?)가 계속되었는데 왕년의 세력은 사라지고 인도는 정치적 분열 상태에 빠졌다. 마우리아 왕조의 문화는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으로 인하여 조국에서 인도로 피난해 있던 페르시아의 예술가, 장인(匠人), 학자의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에 카로시티 문자가 보급되었는데,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는 방식은 아람문자에 기원을 둔 것이다.건축에 관해서도 확실히 이란에 기원을 둔 양식(樣式)이나 그것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 채용되었으며, 파탈리푸트라의 궁전이나 아소카 왕 석주(石柱)의 주두(柱頭) 같은 유물에 그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찬드라굽타[편집]

Candragupta

마가다국 마우리아 왕조의 창시자이다. 성장 과정은 수수께끼에 싸여 있으나 그리스측의 문헌은 그를 비천한 출생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기원전 320년경, 브라만의 재상(宰相)인차나키아(카우틸리아)의 조언을 얻어 난다 왕조를 무너뜨리고 마가다국의 왕위에 올랐다. 시리아 왕 셀레우코스 1세의 인도 침입을 격퇴하고, 강화를 맺어 그후 통상의 길을 열었다. 24년간 재위한 후에 아들인 빈두사라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아소카왕[편집]

(阿育王) Asoka (재위 전 268

전 232?)

마우리아 왕조 제3대 왕이다. 조부 찬드라굽타와 아버지 빈두사라의 2대에 걸쳐 구축한 영토를 계승하고, 남쪽으로는 인도의 대부분과 아프가니스탄의 남부를 지배하는 등 인도 고대 역사상 최대의 대국을 이루었다. 치세(治世) 9년째에 실시한 칼링가국 정복 후에, 전쟁의 비참함을 통감하여 무력에 의한 정복 사업을 포기해 버렸다. 그리하여 만인이 지켜야 할 이법(理法, Dharma)에 따른 정치를 이상으로 내걸어 그 이상을 제국내의 각지 마애(磨崖)나 석주(石柱)에 새기게 했다. 이것이 유명한 아소카왕 비문(碑文)이다. 그 가운데에는 아프가니스탄의 칸다하르에서 발견된 그리스어나 아마르어로 새겨진 것도 있다. 또한 백성들에게 윤리를 장려하였고, 도로를 정비하고, 우물을 파고, 인축(人畜)의 병원을 세우는 등, 공공 사업에 주력하는 등 치적을 많이 세웠다.그는 기존의 여러 종교를 모두 보호했으나 왕 자신은 불교도였기 때문에 불교에 대한 원조는 특별해서 불교의 전도 활동은 비약적인 진전을 보였다. 불교도는 아소카를, 8만 4천 개의 불탑을 건립하고 제3결집(結集)을 원조한 이상적(理想的) 제왕(轉輪聖王)으로 숭상하여 왔다. 이와 같은 정책은 36년 통치 이후 점차 쇠퇴했으나, 불교를 비롯한 고도의 문화는 다른 지방에 전해져 문화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석주비·마애비[편집]

石柱碑·磨崖碑

아소카왕의 조칙문(詔勅文)이 새겨진 석주와 마애를 말한다. 마애 조칙은 주로 국경 방면에, 석주 조칙은 제국의 중심부인 갠지스강 유역에 각각 분포하고 있다. 근년 인도 서북부에서 그리스어와 아랍어로 쓰여진 마애 조칙도 발견되었다. 이 조칙문은 19세기 중엽에 독해되어, 인도 고대사의 해명에 커다란 단서를 주었다. 석주 머리 부분의 동물 조각은 고대 인도 조각의 걸작으로서 유명하다.

스투파[편집]

Stpa

불교도가 숭배의 대상으로 하는 불탑(佛塔)의 산스크리트어(語) 이름이다. 한역(漢譯) 경전에서는 솔도파(率堵婆)·탑파(塔婆)·탑(塔)·사리탑(舍利塔)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불교도의 전설에 의하면, 불타(佛陀)의 사후 유골(舍利)이 8분되어 8기(基)의 탑이 건립되었는데, 이 유골들은 아소카왕에 의해서 다시 발굴되어 전국 8만 4천 개의 탑에 분골(分骨)되었다고 한다.스투파의 고형(古形)은 산치의 탑과 같이 복발형(覆鉢型)이었다. 후세에 불교가 전파된 각지에서 여러 가지 양식의 탑이 건립되고 있다.

산치의 불탑[편집]

-佛塔

중서부 인도에 있는 고대 불교 유적이다. 산치(Snch) 지방에는 기원전 2

기원전 1세기에 세워진 몇 기(基)의 복발형 불탑이 현존해 있다. 그 중대탑(제1스투파)이라고 불리는 것이 특히 유명하다.이것은 아소카왕 시대의 불탑을 기원전 2세기경에 확장한 것으로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탑이다. 탑문이나 난순(欄楯)에 새겨진 부조(浮彫)는 당시 조각 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 주는 것이다.

제3결집[편집]

第三結集

파탈리푸트라에서 열렸던 제3회째의 불전결집(佛典結集)을 말한다. 남방불교도가 전하는 사서(史書)에 의하면, 불교 교단에 내분이 생겼기 때문에 아카소왕은 불전결집을 원조하여 정통 교의를 확립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소카의 교단 분열에 대한 훈계는 석주 조칙에서 알 수 있으나, 북방 불교도는 이 결집에 대해서 전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결집의 사실성(事實性)에는 아직도 의문이 남아 있다.

슝가 왕조[편집]

-王朝

기원전 187년경 마우리아 왕조의 군사령관인 푸샤미트라에 의해 창시. 이 왕조는 마우리아 왕조의 이란적인 경향에 대한 국민적인 반동으로서 탄생했다고 전한다. 불교측의 자료에는 푸샤미트라가 불교의 가혹한 탄압자이며 승원(僧院)의 파괴자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일방적인 견해는 상당히 강한 당파성(黨派性)을 나타낸 기록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바르후트의 수많은 불탑(佛塔) 건축처럼 불교도의 힘이 현저하게 과시된 것은 이 시기, 즉 인도의 전통종교를 신봉했던 이 왕조 때였다. 푸샤미트라 왕은 수도를 새로이 비디샤(현재의 비르사)에 정하고 가신(家臣)을 각 소국(小國)의 수장(首長)으로 봉했으며, 수도에서 그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형태로 나라를 다스렸다. 그러나 일찍이 마우리아 왕조 아래에서 인도 제국(帝國)의 판도(版圖)를 지탱하는 기초가 되었던, 통일과 중앙 집권적인 정치력을 재현하지 못했다.4세기의 시인 칼리다사가 쓴 시극(詩劇) 『마라비카와 아그니미틀라』에 의하면 푸샤미트라 왕은 몇 번이고 싸움을 한 끝에 야바나(그리스인)를 무찌르고 그 전승(戰勝)을 ‘말의 희생(犧牲)’으로 축하했다고 한다. 그러나 1백여 년이 지난 뒤부터는 이 슝가 왕조는 왕조의 시작과 비슷한 운명을 거쳐 멸망했다. 실제로 슝가 왕조 최후의 왕은 재상(宰相)의 손에 의해 암살되고 만다. 그리고 이 재상이 왕위를 빼앗아 칸바 왕조를 세우는데 이 역시 50년도 채 못되어 데칸고원을 지배하고 있던 안드라 가(家)에 의해 전복되고 만다. 이리하여 인도에서는 기원전 5세기의 정치상황과 흡사한 상황에 다시 빠져들고 말았다. 실제로 슝가 왕조가 멸망한 뒤로는 다수의 소왕국(小王國)이나 과두제(寡頭制)의 소국으로 분열하여 제각기 자치(自治)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