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세계의 여러 나라/아시아/중 국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중국의 국기와 개요[편집]



공식명칭:People's Republic of China

정치체제:사회주의 인민공화제

수 도:베이징(Peiking)

인 구:13억 419만명(2003)

면 적:959만 6,960㎢

소 득:1인당 GDP 963달러(2002)

공 용 어:'표준 중국어(普通語)

화폐단위:위안(元/Y)

주생산물 :쌀, 밀, 옥수수, 차, 면화, 콩류/철강, 의류, 시멘트/ 석탄, 석유, 철광석

기 타:22개 성(省) 5개 자치구, 3개직할시, 한족 94%, 그외 55개 소수민족



중국의 명칭[편집]

中國-名稱

중국이란 명칭은 한민족(漢民族)이 자기네 국토를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한 것으로서 중화(中華), 중하(中夏)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중심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진(秦)에서 유래하는 지나(支那)라는 이름 외에 당(唐)에서 유래하는 타오가스, 거란(契丹)에서 유래하는 가다이, 기다이, 중국의 특산물 견직물에 유래하는 세레스, 세리가 등이 있다.

중국의 영토[편집]

-領土

아시아 대륙의 중앙부에서 동쪽으로 태평양의 서던에 이르는 광활한 국토를 가진 국가이다. 동쪽은 우수리강(烏蘇里江)과 아무르강 합류점(동경 135

2

)에서 서쪽은 아무다리아(Amu-Darya) 강 류의 펜츠장(噴赤河) (동경 70

) 까지, 남쪽의 난사군도(南沙群島)의 차오무사주(曾母砂州, 북위 4

)에서 북쪽의 아무르강 굴곡부의 모허강(漠河)에 이르기까지 동서 약 5,000㎞, 남북 약 5,500㎞에 달한다. 동쪽은 북한, 북쪽으로 몽골인민공화국·러시아 공화국·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서쪽으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네팔·부탄·남쪽으로 미얀마·라오스·베트남 등과 각각 국경을 이루고 있다. 국경연장은 약 2만㎞에 달하며 남쪽은 황해, 동중국해, 남중국해에 접하고 있는데 해안선의 연장길이는 약 1만 1,000㎞이다.동에서 남으로 이르는 지역이 바다에 연해 있으며 한반도(韓半島)와의 접경지대인 압록강(야루강)에서 남으로 베트남의 국경에 이르기까지 약 1만㎞에 달하는 해안선을 육지의 국경 총연장은 약 1만 5,000㎞로, 동으로부터 북·서·남에 한국·소련·몽고·아프가니스탄·인도·시킴·부탄·미얀마·라오스·베트남 등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중국의 자연[편집]

-自然

중국의 지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3단계의 계단상을 이루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북쪽에 펼쳐지는 티베트 고원은 높이 4,000m를 넘으며, 이 고원의 북쪽과 동쪽에는 1단 낮은 중위고원이 있다. 즉 북쪽엔 신장·몽골 양고원이, 동쪽엔 황투(黃土) 고원과 윈구이(雲貴) 고원이 펼쳐지는데, 이 사이에 쓰촨(四川) 분지가 끼이고 그 동쪽에 한층 더 낮은 중국 평원이 남북으로 달리고 있다. 이 3단계의 지형은 그대로 티베트 고원구, 중위고원구, 중국평원구의 대지형 구분이 된다.이 중위고원구와 중국평원구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 동북·서남으로 중국을 종단하는 다싱안링(大興安嶺)의 구조선이다.

중국의 산맥·고원[편집]

-山脈·高原

세계 최고의 히말라야 산맥이 티베트 고원의 남쪽에 있고, 고원의 북쪽엔 쿤룬(崑崙) 산맥이 동서로 달리고 동쪽에서 친링(秦嶺)·퓨뉴(伏牛)·다볘(大別)의 여러 산맥으로 이어져 소위 친링선(秦嶺線)을 형성하고 있다. 티베트 고원의 동북 연변에 아얼진(阿爾金), 전롄(禎連)의 양산맥이 동서로 달리며 몽골고원에서 황토고원의 동쪽 기슭을 남북으로 달리는 싱안링선에 연해서 타이항(太行) 산맥이 출현한다. 쿤룬산맥 북쪽에는 타림분지를 사이에 두고 톈산(天山) 산맥이 동서로 달리며 그 북쪽에는 알타이 산맥이 있다. 또 중국 본토 중남부의 경계를 이루는 난링(南嶺) 산맥은 양쯔강(揚子江)·주장강(珠江) 양수계의 분수계를 이루며 동서로 달리고 있다.

티베트 고원[편집]

세계 최대의 고원으로 해발 4,000

5,000m 이며 면적이 200만㎢ 에 이른다. 새 지반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지진이 많다. 고원지대에서는 하천 쟁탈의 현상을 볼 수 있고 염호(鹽湖)도 적지 않다.

몽골·신장 고원[편집]

이 고원은 중국 동북구 서부, 내몽골 자치구, 신장·위구르 지방에 걸치는 대고원으로 위에 몽골평원·타림분지·중가리아분지·투루판분지 등 평야분지와 고비·타클라마칸 등의 사막이 있다.

황토 고원[편집]

타이항(太行) 산맥 이서, 산시(山西)·산서(陜西) 양성(省)에 걸쳐 펼쳐지는 미립풍성 퇴적토인 황토에 뒤덮인 고원이다.

윈구이 고원[편집]

윈난(雲南) 동부에서 구이저우(貴州)로 뻗은 고원. 적색사암(赤色砂岩)으로 된 융기준평원(隆起準平原)으로 동변과 남변은 하천의 침식이 심하다.

창바이 산지[편집]

랴오닝(遼寧)·지린(吉林) 양성 동부, 백두산(해발 2.744m)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서남 방향의 산지로 평균 해발 1,000m의 완만한 산지(山地)이다.

산둥 산지[편집]

화베이(華化)평원 동부에 고립된 산괴(山塊). 랴오둥(遼東)반도 일대의 산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산지 서부에는 도교(道敎)의 성지 타이산(泰山, 1,535m)이 있어 화베이(華化)평원을 내려다보고 있다.

동남 연해구릉[편집]

항저우만(杭州灣) 남쪽의 푸젠(福建) 광둥(廣東) 양성 연해의 구릉으로, 개석(開析)된 산지와 계곡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균해발 400

800m.

광시 대지[편집]

석회암으로 된 대지로 시장강(西江)과 그 지류에 침식되어 있으며 넓은 지역에 카르스트지형이 나타나 있다.

중국의 평야·분지[편집]

-平野·盆地

둥베이 평원[편집]

랴오허강(遼河), 쑹화강(松花江)의 충적·침식으로 형성된 만주지방의 중심을 이루는 대평원. 남북 1,000㎞, 폭 400㎞이다.

화베이 평원[편집]

옌산(燕山) 산지 이남, 타이항 산맥 이동, 다바(大巴)산맥 이북으로 펼쳐지는 황하 및 화이장강(淮江)의 충적으로 형성된 면적 30만㎢ 의 대평원. 대부분의 황투고원에서 흘러내리는 황토의 충적에 의한다. 중국문명의 발상지이다.

양쯔강 평원[편집]

이창(宣昌)이동, 양쯔강 하구에 펼쳐진 평야로 양쯔강 델타 및 둥팅후(洞庭湖)와 포양후(?陽湖) 일대의 평원을 포함한다.

주장강 하류 평원[편집]

중국 본토 남부해안 최대의 델타로 면적 6,000㎢. 수도(水稻) 2모작 내지 3모작이 가능한 비옥한 평야이다.

쓰촨 분지[편집]

다바(大巴) 산맥, 추시(楚西)산지, 윈구이고원, 칭캉(靑康)고원에 둘러싸인 분지로, 양쯔강 상류와 그 지류 유역에 펼쳐져 있다.

타림 분지[편집]

쿤룬, 아얼진 양산맥과 텐산산맥에 둘러싸인 분지로 표고 500

1,000m. 중앙에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고 동단부에 뤄부호(羅布湖)가 있다. 실크로드의 일부를 이루며 고대의 동·서 교통로는 주변 산록의 여러 오아시스를 이은 것이었다. 인접한 투루판 부지는 해면의 200m 아래에 있다.

중가리아 분지[편집]

알타이 산맥과 톈산산맥 사이에 끼여 있으며 동부는 해발 1,000m, 서부는 해발 500m이다.

차이담 분지[편집]

쿤룬 산맥과 전롄, 얼진의 양산맥에 둘러싸인 분지로, 중앙부분에 사막과 염호가 있다. 근년에 석유자원이 발견되었다.

중국의 하천·호소[편집]

-河川·湖沼

북극해로 흘러나오는 이르티시강, 인도양으로 흘러드는 누강(怒江)과 창포(브라마푸트라)강, 남중국해로 흘러나오는 란찬강(▩滄江, 메콩강)을 제외하면 외해로 흐르는 하천은 대부분 태평양 사면을 동류한다. 계절풍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내륙의 건조지대에는 바다로 흘러나가지 않는 내륙하천이 있다.

아무르강 수계[편집]

외몽골의 초원에서 시작되어 중·소 국경을 흘러 동해로 빠져나오는 전장 4,370㎞의 수계(水系), 지류인 쑹화강(松花江)은 동북 평원을 관통하는 대하천, 발전능력 2,300kW이다.

양쯔강 수계[편집]

티베트 고원에서 시작되어 쓰촨 분지를 거쳐 중국 평원구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는 전장 5,500㎞의 수계로서, 관개와 수운(水運)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역에는 약 1,200개의 호수가 있는데 특히 둥팅·포양·타이호(太湖) 등은 유명하다.

주장강 수계[편집]

전장 2,500㎞. 유역은 강우량이 풍부하고 유수량도 안정되어 있어 관개, 수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내륙 유역으로는 하서회랑(河西回廊) 북방의 건조지대에 에치나강이, 톈산산맥 북서에 일리강이, 타림 분지에 타림강과 카시가르강이 있다. 또 몽골 고원엔 후룬호(呼倫湖), 달리호(達里湖), 허순호(賀順湖)가, 타림 분지엔 뤄부호가, 칭하이(靑海)고원엔 칭하이호(靑海湖)가, 차이담 분지엔 차이담호가, 티베트고원엔 남호와 차린호가 있는데 이들 호수는 염호(鹽湖)이다.

중국의 기후[편집]

-氣候

중국의 기온분포는 여름에는 남동쪽에서의 영향과 겨울에는 북동쪽에서의 영향이 강한 몬순 주기와 서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산악, 그리고 동부에 위치한 대륙적 위치에 따라서 크게 좌우된다. 1월 평균기온은 전체의 약 60%가 0

이하이며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서부와 중가리아분지 같은 곳은 -20

까지 내려간다. 여름에 남동부는 기온과 습도가 모두 높아서 7월 평균기온이 우한·창사·충칭·난징 같은 곳은 25

이상 올라가며, 이 네도시는 모두 40

이상을 기록하기도 한다. 이와 유사하게 서부의 건조한 분지에도 7월 평균기온은 높게 나타나는데 투루판은 47.6

까지 올라간 경우도 있다. 이는 해면하 155m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차이다무분지와 같은 한랭한 고위면 사막은 7월 평균기온이 5

에 불과하다.여름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가친다. 고위 산맥의 강설은 차고 건조한 겨울보다 여름에 많이 발생하고 주요 하천의 유입량을 늘리게 하여 덥고 습윤한 남동부에 홍수를 일으키기도 한다.중국은 크게 네가지의 기후가 나타나는데, 첫째, 중국의 약 1/3은 삼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식생인 습윤기후이다. 습윤기후는 크게 남부와 남동부

최말단의 열대 우림과 해안 도서의 몬순 삼림, 그리고 황허강 동쪽의 아열대인 하얼빈 종부의 한랭한 기온의 타이가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습윤기후 아래에 위치한 삼림과 초원이 결합된 곳으로, 이곳은 중국 전체 면적의 약 14%를 차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곳으로는 헤이룽장성 북동부 평야의 삼림 스텝과 산시성, 간쑤성의 황투고원이 있다. 셋째, 반건조지역으로 분류되는 전체 면적의 20%를 차지하는 곳으로, 이곳은 초원과 스텝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환경 점이지대이다. 이곳에 해당하는 곳은 산시성과 닝샤후이족 자치구의 북부인 오르도스와 네이멍구 자치구 일부의 스텝지역이다. 넷째, 전체 면적의 30%를 차지하는 건조지대이다. 서반부의 광대한 지역은 독특한 건조사막 식생들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오르도스 북단의 스텝 사막과 치렌 산맥 북부의 알라샨, 중가리아 분지, 타림분지의 온대 사막, 그리고 차이다무분지와 쿤룬산맥 북사면의 한랭한 사막, 쿤룬산맥 서부의 고산사막과 스켑사막, 티베트고원의 건조 고산 초원 등이 있다.연간 강우량 750㎜의 선(線)은 화이허강(淮河)과 친링선(秦嶺線)에 병행 수도(水稻)와 소맥지대를 갈라놓으며 250㎜의 선은 내몽골지방의 먼저우리(滿洲里)와 바오터우(包頭)에서 칭하이 고원에 이르는 선에 따라 농업구와 목축구를 갈라 놓고 있다. 내몽골 지방과 올도스, 타림, 중가리아 등 분지에는 사막이 있다.

중국의 역사[편집]

-歷史

황하 하류 일대는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과 더불어 고대문명 발상지의 하나이며 신석기 시대의 채도·흑도(彩陶·黑陶)로 대표되는 특유한 문화를 낳았고 은·주(殷·周) 시대에는 청동기 중심의 문화를 길러냈다.기원전 8세기경, 주(周)의 후반부터 전국(戰國) 시대에 이르는 동안 제후는 서로 패권을 겨루었고, 거기에 따라 학술과 문화가 크게 발전했다. 기원전 3세기 전반 진(秦)이 한민족의 통일정권을 수립했으나 급격한 중앙집권적 개혁을 단행하다가 실패했으며, 이 과업을 그후 한왕조(漢王朝)가 계승·발전시켰다. 이진·한 양왕조의 400년간에 중국역사의 정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제왕을 정점으로 하는 계승적인 관료조직과 국교로서의 유교(儒敎)의 지위가 확립되었다.한민족의 위세는 한대(漢代)에 이르러 서역에까지 미치고 후한(後漢) 이후 양쯔강을 넘어 남방으로 확대되어 현지의 이민족까지 동화해서 중국문명의 영역을 확대시켰다. 삼국정립(三國鼎立) 후 북에서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이민족이 할거했으나 차츰 한민족에 동화되고 이어 남북조(南北朝)의 대립이 생겼다. 이 무렵 외래종교인 불교가 성하고 또 민속종교인 도교가 성립되는 등 종교·학예 면에 괄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다.서기 589년 수(隋)가 천하를 통일하고 다시 당(唐)이 이를 계승해서 세계에서 가장 번영된 문명국을 출현시키고, 주변의 동아시아 제민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당도 그후 안록산의 난으로 급격히 쇠퇴하고 오대(五代)의 분란을 송(宋)이 수습했다고는 하나 그 문치주의(文治主義)는 얼마 안 가 외환을 초래하여 요·서하(遼·西夏)에의 양보와 금(金)에의 예속이 불가피하게 되고 1127년에는 남천(南遷)의 운명을 치렀다. 13세기 초두에는 몽골이 북방에서 중국을 석권하여 원(元) 왕조를 건설했으나 1368년에 주원장(朱元璋;明太祖 1327

98)이 다시 한민족의 명(明)왕조를 건설해서 몽골 세력을 구축하고 중국문명을 부흥해서 국력의 충실화를 꾀했다. 명 말기에는 유럽인들이 내조해서 새로운 문화를 소개했다.그러나 내부의 부패로 명은 1644년 북방에서 일어난 만주족의 침입으로 마침내 멸망했다. 그후 만주족은 청조(淸朝)를 세워 한민족 위에 군림하고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에 걸쳐 강희·건륭(康熙·乾隆) 시대에는 크게 국위를 떨쳤으나, 그후 유럽 열강의 침략이 시작되어 북·서에 있어서의 러시아와의 분규, 아편전쟁(1840

42), 애로호 사건(1856), 청불(淸佛)전쟁(1884

85), 청일(淸日)전쟁(1894

95) 등을 겪는 동안에 마침내 반식민지로 전락했다.이러한 정세하에 멸만흥한(滅滿興漢)의 기치를 높이 든 민족혁명이 일어나 1912년 청조를 타도해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국시로 하는 중화민국이 성립되고 군벌의 싸움과 제1차 국공합작(國共合作)을 거쳐 1928년에 국민당 지배하의 국민정부가 중국 전토를 지배하기에 이르렀다. 그후 배일(排日)운동과 일본의 침략으로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등이 일어나 국민당 정부는 제2차 국공합작으로 민족통일전선을 결성, 미국과 소련 등의 원조로 대일전쟁을 수행했다.1945년 일본의 항복과 더불어 국공내전이 격화했으나 결국 중국공산당이 승리로 끝나 1949년 소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어 베이징(北京)을 수도로 정했다. 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옮겨 갔다.

중국의 주민[편집]

-住民

13억 419명(2003)이라는 인구는 세계 인구의 약 1/5, 영국 인구의 약 21배, 미국 인구의 약 4.5배에 해당하는데 이 방대한 인구는 중국 국력의 위대한 원천이 되고 있다.그러나 이 인구는 전국 국토전역에 균등하게 분포해 있지 않다. 동부는 인구밀도가 높아 1㎢

당 평균 100명을 넘고 1㎢ 당 400명을 넘는 곳도 적지 않다. 서부는 인구 밀도가 극히 낮아 1㎢ 당 평균 10명 정도이며 그 이하의 분포를 보이는 곳도 적지 않다.또 세계 각지에는 1천만 명을 넘는 화교가 산재해 있으나 이들의 대부분은 동남아시아에 집중해 있다.

민족[편집]

民族

중국은 통일된 다민족(多民族) 국가이다. 총인구 중 한민족이 94%를 차지하고 나머지 6%인 약 5천만 명이 55갈래 이상의 소수민족인데 그 대표적인 것은 몽골족, 후이족, 티베트족, 만주족, 카자흐족, 위구르족, 먀오족, 이족, 한(韓)족이다.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한민족으로 그 집락(集落)분포 가운데에 소수민족의 집락이 섞여 있다. 한민족은 전국토에 분포해 있으나 주로 동부에 집중해 있으며, 소수민족은 전국토의 약 1/2 되는 지역에 분포해 있으나 주로 서북과 서남지방에 집결해 있다. 경제적 결합과 문화적 접촉의 발전에 따라 중국 전토의 제민족은 항구적인 통일국가를 실현시키는 과정을 걷고 있다.

언어[편집]

言語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된 언어는 지나(支那)·티베트어, 한어(中國語), 티베트·미얀마어인데 베이징 관화(官話)도 이에 속한다.베이징을 중심으로 하는 북방한어(漢語)가 관화라는 이름으로 공통어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의 수도가 베이징에 고정된 15세기 이후이나, 중국정부는 발음은 베이징어, 문법과 어휘는 북방한어를 따른다는 기본방침을 세우고 한자의 간소화, 표음자모(表音字母)의 채용, 표준어의 보급화 등을 꾀하고 있다.

종교[편집]

宗敎

불교, 도교, 이슬람교, 라마교, 그리스도교 등이 종전의 중국의 종교였는데, 이들 외래종교와는 별도로 중국 고래의 유가(儒家) 사상과 불교, 도교를 혼합한 민속종교가 널리 퍼져 연중행사 및 일상생활과 얽혀 각종 종교 단체를 낳았다.중국정부 수립 후 헌법으로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종교의 이름을 빌리는 반혁명 활동’이라고 신앙활동을 금지하고 있다. 홍위병 난동시에는 많은 사원과 교회가 종래의 봉건제도와 미신을 유지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하여 홍위병(紅衛兵)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중국의 정치·외교[편집]

-政治·外交

중화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년 정권이 수립된 이래 마오쩌둥(毛澤東, 1893

1976)의 지도하에 마르크스주의의 실천을 표방한 공산주의 국가의 길을 걸어 왔으나, 그후 소련과도 다른 독특한 정치노선을 밟고 있다. 중국의 정체(政體)는 노동자계급이 주도하는 노농동맹(勞農同盟)을 기초로 한 체제이다.내정은 행정기관으로서 국무원, 입법기관으로서 전국인민 대표자대회 그리고 사법·검찰기관으로서 최고인민법원, 최고인민검찰원이 있다. 그러나 입법기관인 전국인민대표자대회는 1964년 12월에서 65년 1월에 걸쳐 소집된 이래 1969년까지는 한 번도 열리지 않았으며 국가의 최고권력기관이자 입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면서도 홍위병 난동 후에는 마오쩌둥이나 당(黨) 중앙위원회 또는 문혁소조(文革小組) 등의 지시가 법률 이상의 권위를 지닌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966년 이래 중국은 홍위병 난동의 소용돌이 속으로 말려들었다. 류사오치(劉少寄, 1898

1969) 국가주석을 비롯한 많은 정치군사 지도자들이 수정주의자로 숙청되고 정권의 실력자들이 마오쩌둥 추종자들에 의해 권좌에서 축출, 그 결과 전국적으로 정치적 혼란이 생겼다. 그러나 68년에는 마오쩌둥파의 승리가 굳어져 홍위병 난동의 거센 물결도 차츰 잔잔해졌다.1969년 4월 1일 베이징에서 제9회 전국인민 대표자대회(九全大會)가 열려 마오쩌둥을 최고지도자로, 린퍄오(林彪)를 후계자로 하는 새로운 당내체제가 확립되었다.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화궈펑을 주석으로 선출함으로써 마오쩌둥을 중심한 혁명 제1세대로부터 권력의 세대교체를 이룬 화궈펑과 덩샤오핑의 지도체제가 되었다.중국 대외정책의 기본노선은 ⑴ 공산주의 진영 내의 단결·협력, ⑵ 평화 5원칙을 기초로 한 사회제도로 다른 여러 나라와의 평화공존, ⑶ 피압박민족의 혁명투쟁의 지지 등으로 요약된다. 이에 더해서 1968년 11월 「12중전회(中全會)」의 성명문은 미국과 소련의 수정주의 타도를 외치고, 1969년 3월에는 우수리강에서 중·소 양국이 무력충돌하는 사태까지 일어났다.그러나 구전대회 이후, 활발히 전개되어 온 중국의 외교는 72년 미·중국의 적대(敵對)관계에 종지부를 찍는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중국의 국제사회 진출을 뜻하는 UN에의 가입으로 절정에 달하였다. 71년 4월 10일 미(美) 탁구선수단 일행의 베이징 도착은 미·중국관계의 접근이 시작된 서막으로 이른바 ‘핑퐁외교’라 한다. 1989년에는 중국의 덩샤오핑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북경에서 역사적인 양국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60년대 이래 지속되어 온 대립관계에 종지부를 찍고 정상화의 길을 열었다. 이와 같이 중국은 독립·자유 외교노선을 표방, 미·소 등거리 외교 및 제3세계와의 협력을 추구해 왔으나 1989년 톈안먼 사태 후 서방측의 경제조치 등 관계가 악화되었다.1993년 3월 제8기 전인대는 혁명 3세대격인 장쩌민 체제가 중국의 확실한 지도체제를 구축되는 자리였다. 1997년 2월 19일 중국의 최고실력자 덩샤오핑 사망후 장쩌민 주석은 제8기 전인대 5차 회의에서 경제개혁 강화, 군부에 대한 당의 통수권 강화 등으로 덩샤오핑 없는 새로운 시대를 연다. 이후 주룽지 총리를 기용하여 경제개혁에 박차를 가하며 대외 정책에도 폭넓은 외교를 펼쳐 국제적 위상을 강화해 나갔다. 2003년 3월 후진타오 주석이 취임했다.

중국의 산업[편집]

-産業

중국은 농업을 중심으로 한 대생산국으로 특히 인민공화국 정부수립 후는 각종 산업의 생산고가 점차 증가일로를 걸어왔다.그러나 1959년부터 자연재해가 연3년간 계속되는 등 여러 가지 악조건이 중첩해서 농업생산에 치명적 타격을 입었을 뿐 아니라 경공업생산도 그 파급으로 타격을 입는 등 경제가 전반적으로 악회되었다가, 62년부터 농업생산이 호전하여 경제 전반이 회복되기 시작했다.그러나 1967년 이후 홍위병 난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각종 산업, 특히 광공업 부문에서 생산이 상당히 저하했다.중국의 산업건설의 기본방향은 농업을 기초로 하고 광공업에 선도구실을 시키려는 것인데, 68년 이후 홍위병 난동이 수습단계에 들어가면 생산도 다시 호전의 기미를 보였다.

중국의 전후 경제발전[편집]

中國-戰後經濟發展

전후 중국의 산업·경제의 발전단계는 ⑴ 1949

52년의 경제부흥기, ⑵ 1953

57년의 제1차 5개년계획기, ⑶ 1958

60년의 제2차 5개년계획기 (2년 앞당겨 달성), ⑷ 1961

63년의 조정기, ⑸ 1966

70년의 제3차 5개년계획기, ⑹ 1971

75년의 제4차 5개년계획기, ⑺ 1976

85년의 경제발전 10개년계획을 착수했으나 모순이 노출되어, 1979

81년의 경제조정기를 거쳐 1986

90년의 제7차 5개년계획에 이어 2010년까지 제9차 5개년계획에 들어갔다.이들 각 시기의 특징은, 경제부흥기에는 1952년에 이미 전전의 최고생산고에 도달하여 문자 그대로 경제재건에 성공했고, 제1차 5개년 계획기에는 소련의 원조로 중공업의 확충이 단행되었다는 점 등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말기에는 (a) 중공업의 중시와 농업의 경시, (b) 중공업 편중, 경공업 경시, (c) 대규모화·기계화의 무리한 목표설정에서 오는 자금의 낭비와 국내기술의 부실, (d) 공업의 내륙편중 등의 모순이 노정되었다.58년에 시작된 제2차 5개년계획에서 남은 여러 문제의 해결을 위해 (a) 농업과 지방공업, (b) 경공업과 중공업, (c)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d) 대규모 공업과 소규모 공업, (e) 재래식 생산과 외래식 생산의 조화를 지향했고, 이 기간중 공업생산 증가율은 40%에 달했다.그러나 공업발전은 내용적으로 극히 불건전하여 (a) 생산품이 품질조악으로 사용가치가 적었고, (b) 재래식 생산 방식은 원료, 노동력, 연료의 낭비를 초래했고, (c) 기술문제가 등한시되었기 때문에 사고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d) 공업부문의 균형적 발전이 저해되었다.소위 대약진기라는 이 시기에 이어 1959

61년에 걸친 연속적인 자연재해로 인민공사에 대한 회의가 고개를 들어 농업생산은 크게 줄고 공업원료는 부족하여 농·공 사이의 균형이 크게 문제가 되었다. 게다가 1960년 7월 중·소대립의 악화로 소련의 공업전문가들이 본국으로 돌아가고 소련의 자재지원도 중단되어 심각한 경제위기가 찾아들었다.그래서 1961년부터는 경제조정기가 시작되어 농업재해, 대약진의 실패, 소련의 원조중단 등에서 온 위기를 극복하는 데 노력이 집중되었다. 1961년에는 조정·공고화·충실·생산제고 등의 목표로 정책이 전환되어 공업의 규모는 대폭 축소되었다. 62년에는 농업, 경공업, 중공업의 순차적인 발전이 도모되어 공업의 위치가 2차적인 것이 되었으며 공업구조 내부의 조정이 중시되었고, 농업 지원도의 재고로 공업의 내적 충실화가 모색되었다.3차 5개년계획 실시 이후 독립되고 거의 완전한 근대공업체제의 건설단계에 들어갔다. 1978년에는 경제발전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4개 현대화에 착수했으나 각종 누적된 모순이 노출되어, 1979년 조정방향이 설정되면서 본격적인 개방과 개혁정책이 추진되었다. 1980년초에는 기업의 자율화, 외국기업의 투자 보강, 금융의 자율화, 세제 도입 등의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한 후, 1984년 대규모 경제개혁을 단행했다. 이에 1985년 인플레와 과열경기현상이 나타났고, 1986년 4월 안정과 균형에 기저를 둔 지속적 성장을 목표로 한 제7차 5개년계획(1986

90년)을 채택했다.

중국의 농업[편집]

-農業

중국의 국토는 신석기(新石器) 시대에 이미 경작되어 있었고, 경지도 널리 분포해 있어 각지의 토지 이용이나 농업 경영방식은 지역별 자연조건이라든가 사회환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중국인 학자들과 함께 치밀한 현지조사를 한 로싱백은 화이허(淮河)와 친링(秦嶺)선에서 수도(水稻)지역과 소맥(小麥) 지역으로 크게 둘로 나누고, 나아가서 다시 소맥지역을 창장(長江)수도 소맥구, 쓰촨(四川)수도구, 수도·차(茶)구, 서남수도구, 수도 2기작구(二期作區)로 세분하고, 한편 북부의 소맥지대를 겨울보리·수수구, 겨울보리·조구, 봄보리구로 구분했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주변 지대로의 확대도 가능하여 동북지구를 콩·수수구로 보고 내몽골 지방과 티베트 및 칭하이(靑海) 지방을 목축구로, 타이완과 하이난섬(海南島)을 2기작구로 볼 수도 있다.종래 중국의 농가는 주로 자급용기의 곡물과 콩 종류를 재배하고, 여력이 있으면 판매용 작물을 길렀다. 수도(벼)는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화이허 이남에서 주로 생산되는데 특히 광둥·푸젠(廣東·福建) 양성(兩省) 연해 지방은 이모작(二毛作)이 가능하다. 쌀의 총생산량은 17,825만t(94년 현재)으로 방글라데시에 이어 세계 제2위이지만 국내소비가 많기 때문에 수출은 소량이다.소맥(밀)은 중국본토 북부와 동부지구 북부를 중심으로 하며 화이허와 양쯔강에 연하여 평야지대에서도 제2기작으로서 재배된다. 산시(陜西), 산시(山西) 북부에서 옌산(燕山)산지 북서에 걸치는 지방에서는 기후가 한랭한 관계로 춘경보리가 재배된다. 총생산 3,200만t(1994년 현재)으로 만주, 바오즈 등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된다.고구마는 산둥(山東), 허베이(河北), 허난(河南)에서 재배되고 조, 수수 등은 동북과 화북의 평야 및 쓰촨(四川) 분지에서 많이 산출된다. 옥수수는 랴오둥반도, 황하 이북의 후베이(湖北)평야, 산시·산시의 남부에서 쓰촨에 걸치는 지대에서 많이 나는데 식량과 사료로 쓰인다. 육지의 단백질원이라고 하는 대두(콩)는 동북평원과 산둥반도에서 많이 나오는데 총샌산고는 약 1,212만 t이다.면화는 랴오허(遼河) 하류의 평야에서부터 후난(湖南), 쓰촨, 구이저우(貴州)의 각 성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허베이 평야지대, 산시·산시의 남부, 후난, 장쑤(江蘇), 안후이(安徽), 후베이(湖北)의 제성이 그 생산 중심이 되어 있다. 면화는 관개작물로 결실기의 건조한 기후가 양질의 작물을 낳는다.가축은 돼지, 닭, 오리 외에 노력과 배료원으로서 나귀, 노새(밭농사지대), 소, 물소(수전지대), 말(초원지대) 등이 많으며 양은 식육 및 모(毛) 자원으로서 동북지구, 내몽골지방, 신장·위구르 지방, 티베트 등 변경지대에서 많이 사육된다.

중국의 광업·자원[편집]

-鑛業·資源

에너지자원[편집]

energy資源석유(石油) 자원의 서북·동북지구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공산정권 수립 후 위먼(玉門), 링후(령湖), 커라마이(克拉瑪依), 쓰촨 중부, 다칭(大慶) 등의 대유전이 개발되어 자급이 가능해졌다.한편, 인조석유원인 유모혈암(油母頁岩)도 동북지구와 광둥성에서 대량으로 발견되었다.석탄은 전부터 동북지구와 북부에 많았는데 근년에 와서 중국본토 남부, 내륙지방 등에서 새로 탄전이 발견되었고, 또 기준 탄전의 채탄시설도 대폭 확충되었다.솽야산(雙鴨山), 지시(鷄西), 푸신(阜新), 허강(鶴崗), 스과이거우(石拐溝, 내몽골 자치구), 퉁촨(銅川), 웨이베이(渭化), 펑펑(峰峰, 허베이성), 산시(山西省), 핑딩산(平頂山), 화이난(淮南, 안후이성), 중량샨(쓰촨성), 푸위안(富源, 윈난성), 카이핑(開平, 광둥성) 등이 그 중심이다.수력발전은 내장수력 5억8,000 kW. 저수량 350억 t 의 싼먼샤(三門峽) 댐을 비롯해 1억 t 이상의 댐 약 200t, 수천만 t의 중형댐 1,200t 외에 1만을 넘는 소형 댐이 건설되어 있다.

중국의 에너지 자원''

항 목

단 위

2000

2001

2002

석탄 생산*

석유 생산*

천연가스생산*

백만T

501.8

162.6

24.5

547.8

164.8

27.3

703.0

168.9

29.3

자료:BP Amoco

<BP Amoco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3>

  • :월평균

지하자원[편집]

地下資源

철광석산으로는 안산(鞍山), 다예(大治), 번시(本溪), 룽옌(龍煙), 마안산(馬鞍山), 진링(金嶺, 山東省), 바이윈어보(白雲鄂博, 내몽골자치구), 리궈(利國, 江蘇省), 테산장(鐵山?, 四川省), 스루(石碌, 廣東省), 츠산(磁山, 河北省) 등이 알려져 있으며, 동(銅)은 바이인창(白銀廠, 甘肅省), 수왕펀(壽王墳, 河北省), 퉁궁산(銅官山, 安徽省), 스쭈이쯔(石咀子, 吉林省)가, 그리고 연(鉛)과 아연은 수이커우산(水口山, 湖南省)과 허리(合理, 四川省) 등이 알려져 있다. 이 밖에 보크사이트, 안티몬, 텅스텐, 니켈, 마그네슘, 금, 은, 다이아몬드의 매장량도 적지 않다.

중국의 공업[편집]

-工業

2차대전 전의 중국의 공업 분포는 일본이 지배했던 동북지구와 함포(艦砲) 외교 아래 열강이 투자한 연해 지역·대하천 유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1937년에 발발하면서 국방상의 배려로 공업이 내륙지방으로 소개되고, 또 전후에는 공업의 적정재배치가 단행되어 종래의 공업 편재상은 상당히 수정되었다.전전 동북지구의 안산 벤시후를 비롯해 허베이, 산시, 쓰촨, 후베이 등지가 중심이 되었던 제철·제강업은 전후 기간산업으로서 중요성을 더하여 우한(武漢), 바오터우(包頭) 등지에 거대한 철강공업 기지가 신설되었다.중기계공업을 보면, 광산·야금기계가 타이위안(太原), 선양(瀋陽), 치치하얼(齊齊哈爾) 등지에서, 발전기가 상하이(上海), 하얼빈(哈爾賓) 등지에서, 그리고 정유기계가 란저우(蘭州)에서 제조되고 있다. 중형 기계공업으로는 방직기계가 유위츠(楡次), 상하이, 칭다오(靑島) 등지에서, 조선(造船)이 뤼다(旅大), 상하이 등지에서, 철도 차량이 뤼다, 치치하얼, 칭다오 등지에서 자동차가 장춘(長春), 뤄양(洛陽), 정밀기계가 상하이, 하얼빈, 샤먼(廈門), 염료·의약품이 상하이에서, 비료가 난징(南京)에서 생산되고 있다.전전(戰前) 중국의 공업은 경공업 위주였는데 특히 방적업이 성한 톈진(天津), 칭다오와 면방직이 성한 상하이, 우시(無錫), 난퉁(南通) 등 양쯔강 연안의 여러 도시가 그 중심이 되어 있었다. 전후(戰後) 상하이의 면방직공장이 확충되고 면화지대인 스자좡(石家莊), 한단(邯鄲), 정저우(鄭州), 시안(西安), 셴양(咸陽), 우한(武漢), 우루무치(烏魯本齊) 등지에 대공장이 건설되는 등 내륙의 원료 산지로의 공업 진출이 활발하다.식품공업은 전전 상하이, 칭다오 등지가 중심이 되어 연초가공, 제분, 육류가공, 양조 등이 성했는데 전후에는 유류(乳類)를 가공하는 대공장이 하이라얼(海拉爾), 시닝(西寧)에, 육류가공공장이 우한(武漢)·청두(成都)에 건설되고 또 상하이로부터 이전한 방푸(蚌埠)의 일용품공업이나 뤄양(洛陽)의 제분·착유공업도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동북지구는 유지·제당, 본토 북·동부는 제분·연초·유지·남부는 제당으로 각각 알려져 있다.

중국의 무역[편집]

-貿易

수출입에 있어서 대공산권 무역이 주가 되었으나 대소 관계의 악화로 대폭 감소되었으며 1963년부터는 비공산권과의 무역이 대폭 늘어나기 시작했다. 미국과의 무역은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이후 급속히 성장하여 1974년의 총액은 10억1,700만 달러에 달한다.1975년도 일본 무역진흥회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대외 무역은 수출 71

74억 달러, 수입 72

75억 달러로 1974년보다 10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2002년도 수출은 325,565만 달러, 수입은 295,203만 달러에 달한다. 최근 큰 폭의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수입억제책은 원고(元高) 등이 원인이다.

중국의 과학기술[편집]

-科學技術

중국에서는 1978년 실용주의 노선이 구체화되면서 과거 이데올로기에 종속된 과학, 기술도 경제건설을 위한 혁신적이고 개방적인 발전전략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과학기술체제의 개편이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문화혁명 기간에 정지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중국과학원, 중국과학기술협회 등이 재결성되었고, 이후 8개년 과학기술발전계획(1978∼85)이 입안, 발표되었다. 1986년에는 하이테크산업 발전에 관한 계획(863계획)을 1986∼2000년 과학기술 발전계획으로 편입하여 실행하고 있다. 이 계획은 15년 동안 1만명 이상의 과학, 연구진을 투입해 생체공학, 우주, 항공, 정밀전자, 정보기술, 레이저, 로봇 및 공장자동화, 에너지, 신소재 등에 연구개발 투자를 장려하고자 하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1988년부터 하이테크 산업의 개발을 상품화, 산업화하려는 횃불계획이 세워졌고, 개발된 기술을 농촌의 향진기업에 보급 확산시키려는 불시계획, 취약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려고 하는 공관계획 등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 기술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기술산업개발구를 27개 시에 설정하고 경제특구의 일부를 첨단산업개발구로 지정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상하이 푸둥지구는 아시아 최대의 실리콘밸리로 육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 활동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각 연구기관들도 공개경쟁을 통해 계약책임경영제를 도입하여 경쟁적 관계를 조성하고 연구원에게도 능력에 따른 임금, 인센티브 및 복지 수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과학기술은 혁명 이후의 정책으로 인해 이중적 구조 문제가 내재해 있다. 즉 국방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수부문, 중화학공업과 경공업 간의 불균형,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중국은 과학 기술의 성공 여부에 자신들의 운명이 결정될 것이라고 인식하여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21세기를 기술 시대로 인식, 2000년에는 기술 수준을 1980년의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2020년까지는 선진국의 21세기 초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의 사회[편집]

-社會

중국은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이다. 그래서 인구증가를 강경하게 억제하는 산아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젊은이들의 결혼관은 예전보다 자유로워져 자신이 직접 배우자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남녀모두 직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남자들이 요리, 청소, 장보기 등 가사일을 분담하며, 대부분의 여성근로자들을 위하여 직장안에서는 탁아소를 운영하고 있다.중국의 거리에서는 자전거를 많이 볼 수 있다. 중요한 대중교통수단인 자전거로 출퇴시간에는 거리가 홍수를 이루고 교통사고의 대부분도 자전거 충돌이다. 그런가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른 아침이면 공원이나 길거리 등지에서 아침운동으로 태극권 체조를 한다. 수백만 중국인들이 매일 연습하는 태극권은 17세기 무술에서 발전한 것이라 한다.중국인에게 가장 인기있는 경극은 현란한 의상과 화장이 특징으로 낭만적 전설을 토대로 한 노래, 춤, 익살극, 곡예 등이 혼합된 것이다. 공연시간이 비교적 짧고 무대장치가 별로 없으며 상징하는 연기로 상황이나 행동을 표현하는데 고도로 양식화하여 소매를 움직이는 데도 나름대로의 의미를 갖는 50가지의 방법이 있다고 한다.오랜기간 발전해온 중국의 요리는 지방에 따라 매우 특색이 있는데 그 조리방법과 향, 재료들이 매우 다양하다. 또한 음식의 냄새, 색깔, 감촉 등 여러 가지 풍미의 혼합으로 사람의 모든 감각을 즐겁게 해준다. 녹차, 홍차, 약용차등 중국차도 맛이 담백하고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중국의 세시풍속을 보면 한국의 설날에 해당하는 춘제(春節)에는 헤어진 가족들이 모두 모이는 날로 바로 전날이 섣달 그믐부터 폭죽을 터뜨리고 놀며 음식을 먹고 잠을 자지 않고 밤샘을 한다. 춘제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궁시(恭禧)는 축하인사와 세배를 한다. 이후 거의 한 달 동안 계속되는 기간 중에 사자춤과 용춤이 등장한다. 정월 대보름날인 위안사오제(元宵節) 때에는 보름달을 감상하고 등불놀이를 하며 만두국을 즐겨 먹는다. 돤우제(端午節)에는 배를 타고 경주하는 룽촨 경기를 하고, 쭝쯔라는 별식을 먹는다. 중추제(中秋節) 때는 가족들이 모여 앉아 햇곡식으로 먹을 것을 장만하여 감사하는 달맞이 행사를 한다. 이때 가장 즐겨 먹는 것은 웨빙으로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를 방문한 때에는 꼭 이 웨빙을 선물한다.중국의 교육은 초등학교 5,6년, 중학교 3년과정으로 농업중학, 고등전문학교, 직업기술 학교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일제가 곤란한 학생 및 성인들을 위한 교육기관도 따로 있다. 한편 중국의 문맹률은 약 25%로 알려져 있는데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문맹률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데 있다. 해마다 많은 아동들이 가난으로 인해 학업을 포기하고 있어 빼이징시는 1994년부터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가장들에게 벌금을 물리기로 했지만 그 효과는 별로였다. 또한 1993년부터 1+1운동을 전개해 가난한 아이의 교육비를 지원하자는 움직임도 있지만 이로 인한 혜택은 그리 크지 않다. 그런 한편에서는 고급스럽고 학비가 비싼 사립학교도 등장하여 교육의 질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교통[편집]

-交通

양쯔강을 중심으로 하는 수로가 가장 중요하며 철도는 동북지구와 북부에 편재해 있다.

철도[편집]

鐵道

철도는 중국에 있어서 현대 운수의 근간을 이루며 그 총연장 거리는 5만 8,000㎞(1987, 여객 수송 215억명/㎞)로 철도선은 60여개를 헤아리고, 수송량은 전수송량의 85%에 이르고 있다. 주요한 철도는 다음과 같다.

징산선·선산선[편집]

京山線·瀋山線

징산선은 베이징과 산하이관(山海關)을, 선산선은 산하이관과 선양(瀋陽)을 잇는다. 중국제일의 공업지대를 통과하는 간선철도이다.

징광선[편집]

京廣線

베이징에서 우한(武漢)을 거쳐 광저우(廣州)에 이르는 남북 종단철도.

진푸선·후닝선[편집]

津浦線·?寧線

진푸선은 톈진(天津)에서 푸커우(浦口)에 이르는 중국 본토의 북부와 중부 사이의 연락노선, 후닝선은 난징(南京)에서 상하이(上海)로 통하여 1968년 난징대교의 개통으로 양선이 연결되었다.

룽하이선·란신선[편집]

?海線·蘭新線

룽하이선은 동부의 해항 롄윈(連雲)항에서 란저우(蘭州)에 이르며 란신선은 란저우에서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우루무치에 이르는 철도의 연해지방과 서북 내륙지방을 연결하는 대동맥이다. 원래 신장지구를 거쳐 소련의 철도와 연결시킬 예정이었으나 중·소 대립의 국제정세 때문에 우루무치까지밖에는 건설되지 않았다.

저간선·샹구이선[편집]

浙?線·湘桂線

저간선은 항저우(杭州)에서 징광선(京廣線) 남단의 주저우(株州)에 이르는 동선 연락선이며, 샹구이선은 징강선의 헝양(衡陽)에서 구이린(桂林)과 난닝(南寧)을 경유하여 북베트남 접경의 유이관(友誼關)에 이른다. 샹구이선의 리탕(黎塘)은 새로 건설된 리탕선으로 남방의 문호잔장(湛江)으로 이어진다.

하천수운[편집]

河川水運

현재 항운(航運)에 이용되는 하천은 약 1,200개로 항정(航程)의 총연장은 15만 ㎞이다. 이 중 기선의 통행이 가능한 거리는 약 3만 ㎞이다. 주요 하천은 다음과 같다.

양쯔강[편집]

陽子江

항정이 지류를 포함해서 전국 내륙수운의 40%를 차지하는 중국 중부의 동서를 잇는 대동맥, 본류(本流)의 항정은 이빈(宜賓)―우쑹(吳淞)간이 2,800㎞, 우한 이동(以東)은 연중 5,000t 이하, 이창 이동은 3,000t 이하 충칭(重??) 이동은 1,000t 이하의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다. 또 이빈 이동에서는 천수기선(淺水汽船)의 항행도 가능하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1만 t급 선박이 우한까지 소항(溯航)할 수도 있다.

주장강[편집]

珠江

화물수송에 있어 양쯔강 다음가는 중국 제2의 내륙수도이다. 본류는 바이써(百色) 이동(以東)은 기선이 통항할 수 있으며 지류의 대부분도 기선 또는 범선의 통과가 가능하다.이동은 1,000t 이하의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다. 또 이빈 이동에서는 천수기선(淺水汽船)의 항행도 가능하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1만 t급 선박이 우한까지 소항(遡航)할 수도 있다.

쑹화강[편집]

松花江

아무르강 수계 최대의 지류로 비옥한 동북평원 북부를 관류한다. 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결빙하나 결빙기가 아무르 본류에 비해 짧으므로 항행가치는 본류에 비해 더 높다. 하얼빈이 기선 항행의 중심이며,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는 지린(吉林) 부근까지의 소항이 가능하다. 이 수로(水路)의 결점은 연간 5개월간이나 결빙하는 데 있다.

대운하[편집]

大運河

톈진 부근에서 항저우 부근까지 남북을 관통하는 대수로이다. 대체로 진푸선(津浦線)과 병행해서 달리고 있다. 수(隋)의 대운하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지만 그 도정은 동일하지 않다.

도로[편집]

道路

새로운 도로의 적극적인 건설로 1978년에는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의 총연장이 89만㎞에 이르렀다.

항공로[편집]

航空路

1956년 중국의 민간항공로의 총 연장은 1만7,194㎞ 였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모스크바, 평양, 하노이, 양곤, 울란바토르 등지에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있고 국내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항공망도 정비되어 있다.영토가 광대한 중국에서는 항공 발전은 큰 의미를 가진다. 예컨대 철도편으로 10

15일이 소요되는 베이징

우루무치간의 거리는 공로로 8

10시간이면 갈 수 있다.

중국의 각 지방·도시[편집]

-各地方·都市

중국의 행정구역[편집]

中國-行政區域

중국의 행정구역은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톈진(天津)의 3개 직할시, 타이완을 제외하고 허베이(河北)·허난(河南)·산둥(山東)·산시(山西)·랴오닝(遼寧)·지린(吉林)·헤이룽장(黑龍江)·간쑤(甘肅)·칭하이(靑海)·장쑤(江蘇)·저장(浙江)·안후이(安徽)·후베이(湖北)·후난(湖南)·장시(江西)·푸젠(福建)·광둥(廣東)·구이저우(貴州)·쓰촨(四川)·원난(雲南)의 21성(省), 내몽골·신장위구르· 닝샤후이쭈(寧夏回族)·광시좡쭈(廣西壯族)·시짱(西藏)의 5개 자치구로 된다. 이들을 합치면 29개 단위의 성급(省級) 행정구획이 있으며, 현급(縣級)은 현(縣)·자치현 등 2,138개와 190개 시(市)가 있다. 인민공사급(人民公社級)은 5만 여의 인민공사와 진(鎭) 및 비교적 큰 시(市)에 설치된 구(區)가 있다. 중국의 수도는 1949년 베이징으로 결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북지구[편집]

東北地區

중국의 최북단지역으로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의 3성을 말하며, 북은 소련과, 남은 한국과 접경해 있다. 전전(戰前)에 일본이 세운 만주국의 땅으로, 2차대전 직후 국공(國·共) 전투로 파괴된 공업시설이 그후 복구되어 현재는 중국의 공업기지로서 가장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선양[편집]

瀋陽

만주국 시대에 봉천(奉天)으로 불리어진 랴오닝성의 성도이며, 인구 약 386만, 동북지구 남부의 철도교통의 중심을 이루는 중요 공업도시로 기계, 전기기기, 화학, 야금, 방직, 착유 등의 공업이 성하다.또한 동북지구 최대의 문화중심지로서 중국과학원분원, 의과대학 등이 있다. 청조(淸朝) 초기의 고도였다.

안산[편집]

鞍山

선양 남쪽의 공업도시로 인구는 약 338만. 유명한 철강공장이 있으며 철광, 코크스, 제철, 제강, 주조, 내화재, 시멘트, 기계 등의 공업이 성하다.

뤼다[편집]

旅大

랴오둥(遼東)반도 남단에 있으며 인구 약 420만, 예전의 다롄(大連), 뤼순(旅順)과 주변의 현(縣) 몇 개를 통합해서 만든 도시로, 겨울에도 얼지 않는 중국 북부 최대의 상업항구를 안고 있다. 화학, 기계, 조선, 차량 등의 공업이 성하며 동북지구의 내륙지방과 철도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이기도 하다. 뤼순은 19세기말 제정 러시아에 건설된 요새항만도시로 현재도 해군기지로 쓰이고 있다.

장춘[편집]

長春

동북지구 중부의 철도교통의 중심이며 지린성(吉林省)의 수도. 인구 약 150만. 중국과학원의 연구소와 사범대학, 영화촬영소 등이 있는 문화의 중심으로 중국 제일의 자동차공업 기지이다. 방직업, 식품공업 등도 유명하다.

지린[편집]

吉林

쑹화강(松花江) 상류 교통의 요충으로서 청조(淸朝)의 발상지. 인구 약 25만. 제재, 화학, 제지 등의 공업이 성하다.

하얼빈[편집]

哈爾賓

만주 쑹화강에 면하는 헤이룽장성(省)의 수도. 인구 약 200만. 쑹화강의 수운과 철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상업도시로서 발전해 왔다. 방직, 중전기, 도량형기 등의 공업이 성하다. 19세기 말 둥칭(東淸) 철도의 건설기지로서 제정 러시아가 세운 도시이다.

중국 북부(화북)지방[편집]

中國北部(華北)地方

베이징을 비롯해서 허베이, 허난, 산둥, 산시의 4성으로 되며, 황하 하류의 대평원을 중심으로 옌산(燕山)산지, 산둥산지, 타이항(太行)산맥, 산시(山西)고원 등이 있다. 중국 총인구의 약 1/4이 여기에 집중해 있다. 은(殷) 이래의 한민족의 생활중심지이다.

베이징[편집]

北京

중국의 수도로 인구 1,382만(2000)의 특별시. 화베이평원 북단의 역사적 도시. 전국시대(기원전 403

221)에 연(燕)의 도성으로 된 이후 금(金), 원(元), 명(明), 청(淸)의 역대 왕조도 이곳에 도읍을 정했다. 전국의 정치 중심인 동시에 근년 소비도시의 테두리를 벗어나 철강, 기계, 방직, 식품, 건재 등을 생산하는 공업도시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중국의 철도, 도로, 항공로는 다 이곳에 집중해 있으며 중국과학원, 베이징대학, 칭화(淸華)대학 및 기타의 문교시설도 완비되어 중국 최대의 문화중심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시내와 그 주변에는 고적, 명승이 많다.

톈진[편집]

天津

화베이평원 북동부 바이하(白河) 하구에 있는 허베이성의 성도. 인구는 약 1,023만(2000). 징산·진푸(京山·津浦) 양철도와 바이하 수운의 연락지가 되는 교통의 요충으로 방직, 제분, 제지, 연초, 유지 등 경공업 외에, 근년에는 기계, 화학, 제강 등 중공업이 발달했다.

칭다오[편집]

靑島

자오저우완(膠州灣) 동남단에 있는 항만 도시로 인구 약 690만. 자오지선(膠濟線)의 기점이 되는 해륙교통의 요충으로 기계, 차량, 조선 고무, 연초, 유지, 양조 등의 공업이 있다. 여름에는 기후가 쾌적하므로 피서지가 되고 있다. 1895년의 삼국간섭 후 1차대전 발발시까지 독일의 식민지였다.

지난[편집]

濟南

산둥성(山東省) 서부의 도시로 이 성의 성도이며 인구는 약 110만. 진푸·자오지 두 철도의 연결지로 면방직, 제분 외에 근년 기계, 발동기 등의 공업이 발달했다.

타이위안[편집]

太原

펀수이강 유역 북단의 도시로 산시성의 성도. 인구 약 272만, 부근에 석탄, 석회석, 내화점토 등이 많이 나며, 근년 철강공장, 탄광 등의 시설 확장이 있었고 화력발전소와 광산기계공장이 건설되는 등 중공업 기지로서 발전하고 있다.

정저우[편집]

鄭州

화베이평원 중부에 있는 허난성(河南省)의 성도. 인구 약 110만. 징강·룽하이(京廣·?海) 양철로가 교차하는 철도교통의 요충이며 부근 일대는 유명한 소맥·면화·연초산지이다. 제분, 면방직, 유지, 연초와 방직기계 제작 등 경공업도시로서 발전해 왔다.

중국 동부(화동)지방[편집]

中國東部(華東)地方

상하이직할시와 장쑤(江蘇), 안후이(安徽), 저장(浙江)의 3성으로 이루어지며 양쯔강, 화이허, 첸탕강(錢塘江) 유역 및 안후이 북서부와 저장 남부의 산지가 포함된다. 중국의 연해지역 가운데서 가장 경계가 발전되고 인구밀도가 높다.

상하이[편집]

上海

양쯔강 하구 삼각주에 위치해 있으며 황푸강(黃浦江) 서안에 있는 성급(省級) 직할시로 인구 1,417만(2000). 양쯔강 유역의 문호로 광대한 후배지(後背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거대한 국제 상공·항만 도시로 되어 있다. 전에는 방직, 식품, 인쇄 등 경공업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현재는 기계, 정밀기기, 조선, 화학 등 중공업도 활발하다. 상하이 경제를 설멸할 때는 최고, 최대라는 단어가 넘쳐난다. 상하이가 생산해내는 GDP(국내총생산) 규모는 487억달러(99년 기준). 1인당 GDP는 3,702달러로 중국 평균인 787달러의 5배가 넘는다. 황푸강 동쪽 신개발 지역인 푸둥은 지난 1990년부터 개발이 시작됐다.푸둥 건설의 상징인 동방명주(東方明珠)탑은 높이가 468m로 TV 송신탑 겸 관광 타워로 사용하고 있다. 지난 1998년에는 88층짜리 진마오빌딩(金茂大廈 480m)이 완공됐다. 중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외국기업들이 상하이에 투자한 금액은 1999년 말 300억 달러(36조 원)에 달한다. 미국 경제잡지 포천지가 선정한 세계 100대 기업 가운데 57개 기업이 상하이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를 두고 있다.

난징[편집]

南京

양쯔강 양안에 걸친 장쑤성(江蘇省)의 성도로 인구 약 260만,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양쯔강의 수운과 진푸·후닝·닝우(津浦·?寧·寧蕪) 각 선(線)의 연락점으로서 중요하다. 국민정부 시대의 수도로 종래는 소비도시였으나 근년 기계, 화학공업 등이 일어났다.

쑤저우[편집]

蘇州

장쑤성 남부 타이후호(太湖) 동안의 상공업 도시. 인구 약 63만. 양쯔강 하류 삼각주의 쌀, 면화의 집산지로 면방직과 전통공업인 견직물방직으로 유명하다.

항저우[편집]

杭州

첸탄강(錢塘江) 하류 북안 저장성의 성도로 인구 약 100만. 남송(南宋)의 고도로 고적이 많다. 견직, 아마직물, 차, 식육가공 외에 기계·기구, 시멘트 등의 근대공업도 발전해 있다.

허페이[편집]

合肥

안후이성의 성도로 인구 약 100만. 철도교통의 요충이며 신흥 공업도시. 방직, 제분, 농구, 코르크, 일용품공업으로 유명하다.

중국 중부(화중)지방[편집]

中國中部(華中)地方

후베이, 후난, 장시의 3성을 망라하는 지방이며 양쯔강 중류부의 대평야와 분지가 있다. 곡창지이며 또 고온다우의 기후로 인해 다채로운 공예작물이 재배되고 그것을 기초로 한 전통 공업이 발전해 왔다. 따라서 대토지 소유의 발달이 현저하고 또 양쯔강의 통로로 한 외국자본의 침투가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일찍부터 급진사상의 온상이 되었다.

우한[편집]

武漢 양쯔강과 한수이강(漢水)의 합류점에서 한커우(漢口), 한양(漢陽), 우창(武昌)의 옛 3도시를 합친 후베이성의 성도. 인구 약 323만. 근년 징광선(京廣線) 남북단을 잇는 우한대교가 건설되어 본토의 남북종단 철도와 양쯔강을 왕래하는 동서의 수운을 연결시켰다.면방직, 식품, 철로침목 방부, 시멘트, 파이프, 제지공업 등 이외에 우한 철강콤비나트로 중요한 공업기기 구실을 하게 되었다.

창사[편집]

長沙

양쯔강 지류 샹장강 동안(東岸)에 있는 후난성의 성도. 인구 약 100만.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기계·기구류, 면방직, 식품 등을 공업이 성하고 부근의 샹탄(湘潭), 주저우(株州)와 함께 공업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난창[편집]

南昌

간장강(?江)하류의 장시성의 성도, 인구 약 100만. 장시 최대의 경제중심을 이루고 쌀, 차, 저마, 자기 등의 집산지이다. 기계, 제지 등의 공업도 성하다.

중국 남부(화남)지방[편집]

中國南部(華南)地方

푸젠(福建), 광둥(廣東)의 2성과 광시좡쭈(廣西壯族) 자치구로 되며 저민(浙?)산지, 량광(兩廣)구릉, 주장강(珠江)평원, 하이난섬(海南島) 등이 있다. 남반은 열대에 속하나 대륙의 영향으로 겨울에는 기온이 내려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아열대성 기후가 되며 바나나, 파인애플, 여지(?枝) 등 과일류와 차의 산출이 많다. 소수민족인 리이족, 야오족, 마오족 등이 살며 장시는 쳐안족의 자치구로 되어 있다. 푸젠, 광둥의 연해지방은 동남아시아 화교의 고향으로 유명하다.

광저우[편집]

廣州

주장강 삼각주 북변에 있는 광둥성의 성도. 인구 약 656만(1998). 주장강 수운과 해상항로의 연결점으로 예부터 남방에 문호 구실을 했다. 예전에는 대(大)상업 도시로 발달했으나, 근년 식품, 방직, 제지, 고무, 시멘트, 금속가공, 조선, 기계 등의 공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어업기지로서도 유명하며 또 중국 남부의 문화중심으로 중국과학원 분원과 중산(中山)대학 등이 있다.

푸저우[편집]

福州

민장강(?江) 하구에 위치한 푸젠성의 성도. 인구 약 100만. 민장강 유역의 농산물 집산지로 차, 목재, 지류(紙類), 청과, 수산물 등이 수출로 유명하다.

아모이[편집]

廈門

푸젠성 남부의 작은 섬으로 인구 약 40만, 수심이 깊은 양항(良港)이며 룽치(龍溪) 평원의 과일과 설탕 및 수산물의 수출항으로서 유명하다. 수산물 가공과 정밀기계 등의 공업이 발달. 샤먼이라고도 한다.

난닝[편집]

南寧 시장강(西江) 상류 북안에 있는 광시좡쭈 자치구의 행정중심으로 인구 약 100만.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공업도 발달하였다.

중국 서남부[편집]

中國西南部

쓰촨(西川), 윈난(雲南), 구이저우(貴州)의 3성(省)으로 되며, 티베트고원의 동변을 이루는 윈구이(雲貴) 고원과 쓰촨분지가 있다. 사철 고온다습하여 식물의 종류가 극히 많고 또 석탄, 철, 동, 주석, 수은, 암염 같은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타이, 미얀마계의 소수민족이 분포해 있다.

충칭[편집]

重慶

쓰촨분지의 동남부, 양쯔강과 자링(嘉陵)강의 합류점에 있는 물자의 대집산지로 인구 약 265만. 중일전쟁(1927)에서부터 2차대전(1939

45) 중을 통해 국민정부는 이곳에 임시수도를 정하고 항일전쟁을 수행했다.고(故) 김구선생 등이 영도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중일전쟁중 이곳을 무대로 하였었다.

청두[편집]

成都

청두평원의 중심부에 있으며 쓰촨성의 성도. 인구 약 396만. 자동차수리, 의약품, 도기, 금속, 식품가공 등으로 내륙의 주요 공업기지가 되어 있다. 역사적 도시로 두보 초당(杜甫草堂) 등의 고적이 있다.

쿤밍[편집]

昆明

윈난성의 성도로 인구 약 100만. 부근은 윈난에서도 가장 발달된 농업지대로 유색금속이 산출되며 근년 급속히 공업화의 길을 걸어왔다.

구이양[편집]

貴陽

구이저우성 중앙부에 있는 성도. 인구 약 70만. 기계, 고무, 제지, 식품 등의 공업이 있다.

중국 서북부[편집]

中國西北部

산시(陜西), 간쑤(甘肅), 칭하이(靑海)의 3성과 신장·위구르 자치구로 된다. 황토고원, 웨이수이강(渭水) 분지 및 신장의 초원과 사막 및 티베트 고원으로 이어지는 건조한 칭하이고원을 이룬다.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석유와 암염이 많다.주민은 산시, 간쑤 두 성에는 한족이 많고, 칭하이에는 티베트족, 몽골족이 살고, 신장은 위구르족을 비롯한 13족의 소수민족이 사는 자치구로 되어 있다. 또 닝샤후이쭈(寧夏回族) 자치구의 경우처럼 회교도가 많이 사는 것도 이 지역의 특색이다.

시안[편집]

西安

웨이수이강(渭水) 분지의 중심부에 있는 산시성의 성도. 인구 약 250만. 진(秦), 한(漢), 진(晋), 수(隋), 당(唐)의 역대 왕조가 도읍을 정한 곳이다. 서북지방의 경제, 문화의 중심으로 면방직, 기계기구, 건재 등의 공업이 성하다. 중국과학원 분원과 시베이(西北) 대학 및 성립(省立) 박물관 등 문화시설이 많다.

란저우[편집]

蘭州

간쑤성 성도로 인구 약 100만. 바오란선(包蘭線), 룽하이선(?海線)의 연결지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부근에는 석유, 수력 등 에너지자원이 풍부하여 석유화학공업, 기계공업을주축으로 하는 대공업도시로 성장해 있다. 최근에 원자력 연구기관과 공장이 건설되었다는 설도 있다.

바오지[편집]

寶鷄

웨이수이강 평원 서단부에 있으며 인구 약 30만. 방직, 철도기계, 석유기계 등을 중심으로 한 공업기지.

옌안[편집]

延安

산시성 북부 황하 지류의 옌강(延水)에 임하는 인구 약 9만의 도시. 1935년 만리장성으로 집결한 중국 홍군(紅軍)의 근거지가 되고 그후 1949년까지 중국공산당 지도부가 주재하여 대일(對日)전, 대국부(對國府)전을 일으켰다. 중국의 혁명중심지.

시닝[편집]

西寧 칭하이성의 성도로 이 지방의 교통의 중심. 인구 약 30만. 화력발전, 모직물, 축산가공 등의 공업이 일어나 교통의 발달 및 고원지대의 풍부한 광산자원의 개발에 힘입어 새로운 공업기지로서 등장하고 있다.

우루무치[편집]

鳥魯木齊

톈산(天山)산맥 북쪽의 우루무치 하반(河畔)에 있으며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행정중심. 인구 약 100만.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이며, 근래 석유 등의 자원이 개발되어 중화학공업이 일어나고 있다.

내몽골자치구[편집]

內蒙古自治區

동북지구의 북서에 위치하며 서에서 몽골(인민공화국)와 접경하고 있다. 동부는 다싱안링(大興安嶺)이고 서부는 초원의 목축지대이다. 몽골족 외에 에웽크, 다울, 오로촌 등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자치구이다.

후허하오터[편집]

?和浩特

바오터우(包頭)의 동쪽 100㎞에 있는 내몽골자치구의 행정중심. 인구 약 100만, 본지역 최대의 농산물 집산지. 전후 근대적인 대학, 병원, 공장 등이 건설되었다.

바오터우[편집]

包頭

징바오선(京包線), 바오란선(包蘭線)과 황하 수운의 연결점인 본지역 서부의 교통중심지. 인구 약 100만. 부근의 풍부한 철광과 석탄으로 제철, 제강 공업이 일어났다.

시짱자치구[편집]

西藏自治區

히말라야산맥 이북에 펼쳐진 해발 4,000m 내외의 대고원으로 1965년 9월에 자치구가 되었다. 티베트족을 중심으로 한족, 회교도, 몽골족이 반농·반목(半牧)의 생활을 하고 있다. 오랫동안 라마교단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1959년 중국군이 진주하고 1965년 달라이라마가 인도로 망명함으로써 완전히 베이징정부 통치하에 들어갔다.

라싸[편집]

拉薩 시짱자치구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으로 달라이라마가 거처하던 포타라궁(宮)이 지금도 있다.

중국의 관광명소[편집]

中國-觀光名所

중국에는 오랜 역사를 가진 건물들이 많다. 오랜 옛날부터 독자성을 가진 전통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양나라에 큰 영향을 끼친 중국은 운치있는 여러 관광명소를 가지고 있다.

천안문[편집]

天安門

천안문의 원래 이름은 승천문(承天門)이다. 명나라 영락 15년(1417)에 건설되었지만 전화로 소실되어 1651년에 재건되었으며, 그때부터 천안문이라고 불렸다. 명·청나라 때에는 황제의 칙서를 발하는 의식이 이 천안문에서 행해지기도 했다. 문앞에 있는 5개의 백대리석 다리는 금수교(金水橋)라고 하는데 조각이 아름답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선언이 이곳에서 이루어지기도 한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천안문 남쪽의 천안문 광장은 1989년 천안문사태가 일어난 곳으로 면적이 무척이나 넓다. 국경일이라든지 메이데이에는 천안문과 그 사방의 건물지붕이 조명으로 장식되어 아름다운 야경을 광장에서 볼 수 있다.

고궁박물관[편집]

古宮博物館

명, 청조의 황제가 살았던 자금성을 말한다. 엄청난 넓이로 남쪽 끝의 천안문에서 북쪽끝의 신무문(神武門)까지 일직선으로 전삼전(前三殿)과 후삼궁(後三宮)이 있다. 전삼전에서는 국가적인 행사와 의식이 행해지고, 후삼궁(後三宮)은 황후나 궁녀들과 일상생활을 보낸 곳이다. 그 앞 광장은 형장이 있다. 대리석으로 된 내금수교(內金水橋)를 건너면 태화문(太和門)과 태화전이 바라다 보인다.

이화원[편집]

梨和園

8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베이징에서 가장 큰 공원이다. 만수산 정상으로부터 기슭에 걸쳐서 점재하는 누각, 전당, 문, 다리, 장랑 등의 건축물과 호수로 구성된 정원이다. 옛날에는 역대 황제의 행궁으로 쓰였으나, 청(淸)대의 건륭제 때에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그러나 1860년, 영·불연합군의 침입으로 약탈, 파괴되어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 청조 말기의 서태후는 자신의 은거장소를 만들기 위해서 1888년, 대규모의 재건공사를 했다. 동궁문(東宮門)으로 들어가 장랑을 걸어 석방(石舫)까지 약 1㎞이다. 그 사이에 인수전, 덕화원, 불향각, 배운정 등 호화로운 건물이 있다. 또한 동궁문에서부터 동제를 따라 남쪽으로 걸으면, 호수에 떠오른 남호도(南湖島)를 건너가는 십칠공교(十七孔橋)도 보인다.

만리장성[편집]

萬里長城

“달에서 보이는 유일한 인공건축물”이라는 표현에 걸맞게 그 규모가 엄청나다. 진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한 후 30만의 군사와 수백만의 농민을 징발하여 대량의 벽돌을 쌓아 장성을 연결해 현재의 장성 원형을 만들었다. 그 길이가 1만 여리에 달해서 만리장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기마민족의 침입을 막을 목적으로 만들었는데, 동쪽의 기정은 보하이 만에 면한 산하이관이고 끝나는 지점은 실크로드의 입구인 자위관으로 총길이는 6,000㎞이다.관광객에게 가장 인가가 있는 곳은 빠따링장성(八達嶺長成)이다. 빠따링장성은 매표소 입구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이 여판(女坂)이고, 왼쪽이 남판(南坂)인데 그 이유는 왼쪽인 남판 쪽이 오르기가 더 힘들기 때문이다.

명 13릉[편집]

明十三陵

명대의 13릉으로 현, 경, 유, 무, 태, 강, 영, 소, 정, 장, 경, 사, 덕릉으로 전후 2백여년에 걸친 명대의 황제가 각각 잠들어 있는 곳이다.13릉의 정문인 대홍문 입구엔 참도가 있는데, 비석을 풍우로부터 지키기 위하여 여러 석상을 세워 놓았다. 양쪽으로 갑옷으로 무장한 문관 12개의 석상과 사자, 낙타, 코끼리, 기린, 말 등의 동물 석상이 늘어서 있다. 황제릉의 앞에 있는 이 석상들은 단순한 능묘의 장식이 아니고, 사후에도 황제가 모든 것을 지배한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13릉 중 개방된 것은 장릉과 정릉 2개뿐이다. 정릉은 장릉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제13대 신종만력제와 그의 두 명의 황후가 잠들어 있는 능이다. 정릉은 지하궁전도 발굴되었는데 이 능은 6년의 세월과 국비 2년분의 투자로 만들어졌다. 능 안은 지하로 20m 정도 깊고, 최대폭 47m, 안 길이 88m의 규모이다. 정릉은 1957년에 발굴되었다.

경산공원[편집]

景山公園

고궁의 신무문 바로 앞에 있다. 경산공원은 세 개의 정자가 산의 정상을 장식하고 있는데, 베이징 시내에서 가장 높은 곳이며,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경산공원은 매산(煤山)이라고 하는데, 매란 중국어로 석탄을 말한다. 원(元)대에 쌓아올리고 그 위에 흙을 덮어서 만들어서 지어진 이름이다. 그것은 베이징이 적에게 포위되었을 때 연료에 곤란을 겪지 않기 위함이었다 한다. 경산의 높이는 90m이고, 산 위의 만춘정(萬春亭)에 서면, 고궁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황금색의 기와가 널리 물결치고 있는 고궁의 광경은 특히 훌륭하다.

북해공원[편집]

北海公園

북해라는 아름다운 호수를 중심으로 요, 금, 원, 명, 청의 역대황제의 어원(御苑)이었던 곳이다. 호수의 남쪽에 이 고원의 상징인 큰 흰탑이 보인다. 이 탑이 있는 곳이 북해공원의 중심지역인 경도(瓊島)이다. 또 북해공원의 남문 입구 근처에 있는 단성(團城)은 환상선을 따라 이어진 예전의 성벽 중 일부인데, 역시 볼 만한 가치가 있다. 그리고 옥으로 만들어진 커다란 옥옹(玉甕)도 있다. 징기스칸의 손자 쿠빌라이에게 바쳐진 현상물이라고 한다.

베이징 동물원[편집]

北京 動物園

600여종의 7,000마리의 동물을 보유하고 있는 베이징 동물원에서는 중국에서만 생식하는 동물들을 볼 수 있는데, 판다, 킨시잘, 사물상, 동북호랑이 등이다. 칸시작은 금사후라고 쓰는데, 금색의 털로 뒤덮인 원숭이이다. 사불상(四不像)이란 말을 풀이하자면 ‘말과 닮았지만 말이 아니고, 소 같지만 소도 아니며, 뿔은 있지만 사슴이 아니고, 당나귀 같지만 당나귀도 아니다’라는 동물이다. 베이징 동물원은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고, 곳곳마다 별도의 입장요금을 받는다. 동물원 안의 해양공원에서는 돌고래 쇼도 한다.

진시황 병마룡갱 박물관(진시황릉)[편집]

秦始皇 兵馬俑坑 博物館(秦始皇陵)

진시황릉은 현재 분구(墳丘)가 남아 있을 뿐이지만 예전에는 이 병마용갱을 포함하여 주변에 넓게 퍼져 있었으며 속에는 장대한 궁정이 지어져 있었다고 한다. 현재도 발굴작업이 계속되고 있다.1호갱(一號坑)은 거대한 돔으로 덮인 갱으로 병마용박물관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178∼187㎝ 크기의 병사가 3열 횡대로 늘어선 6,000개의 병마용과 40여승의 목조전차가 안치되어 있다. 이 곳에 있는 병마용들은 대부분이 갑옷을 입고 손에 창, 긴 창, 극 등의 장병기 및 궁노 등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체로 중장비한 주력부대들임을 알 수 있다.2호갱에는 1호갱보다 규모가 적어 900여 개의 병마용과 기병용 안마 116필, 전차를 멘 토마 350여 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호갱보다 다양한 보병, 기병, 전차 등의 3개병종을 혼합한 부대의 성격을 띠고 있다. 주력부대를 보조하는 부대일 것으로 추정된다.3개의 갱 중 규모가 가장 작은 3호갱은 수도 가장 적다. 그러나, 그 역할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2개의 갱은 전투대열로 진열되어 있지만, 이것은 서로 머리를 맞대고 통로 양쪽에 정렬해 있는 모양이 아마 지휘관을 보위하는 경위부대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그 외에도 사슴뿔, 짐승뼈 등이 출토되었다.

화청지[편집]

華淸池

주나라 때부터의 3,000년의 역사를 지닌 온천지이다. 당나라 때 양귀비와 현종 황제의 사랑이 이곳에서 펼쳐졌다고 한다. 화청지에는 몇 개의 사원 이외에 양귀비가 사용했던 목욕탕의 흔적, 서안사건 때 장개석이 감금되어 있던 집 등 생생한 역사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현재도 사용할 수 있는 개인실이 있다.

칠성암공원[편집]

七星岩公園

계림의 동쪽에 있는 공원. 봉우리 7개가 마치 북두칠성처럼 늘어선 모양이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 길이 125m의 돌다리인 화교(花橋)를 건너면, 안에는 월아산(月牙山), 칠성암(七星岩), 낙타산(駱駝山) 등의 바위산들과 계림 이곳저곳에서 볼 수 있는 동굴 중의 하나인 용은동(龍隱洞) 등이 있다.용은동 부근에는 당, 송나라 때의 비석들이 있는데, 계해비림(桂海碑林)이라고 한다. 용은동은 약 1km 정도 이어지는 동굴이다. 이 외에 판다 등이 있는 동물원도 있다.

서호[편집]

西湖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6대 고도(古都) 중 하나인 항주 시내의 서쪽에 펼쳐진 천연소로 3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호는 백제와 소제 2개의 방파제, 그리고 작은 둑으로 외호(外湖:서호의 본호)와 북리호(北里湖), 서리호(西里湖), 악호(樂戶), 남호(南湖) 등 5개의 작은 호수로 나뉜다. 호수 주변에는 복숭아 등이 4계절 내내 끊이지 않고 피어나서 많은 문인묵객(文人墨客)들이 사랑한 곳으로 특히 백낙천, 소동파가 즐겨 시를 읊었던 곳이다. 서호는 월나라 왕 구천(勾踐)이 오나라 왕 부차(夫差)에게 바친 미녀 서시(西施)를 기념하여 서자호(西子湖)라고도 불린다. 서호는 아침, 점심, 저녁, 맑은 날, 흐린 날, 비오는 날 등 어느 때를 막론하고 그 나름대로의 분위기로 관광객들을 매료시킨다.

호구[편집]

虎丘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476년) 말기에 오나라 왕 부차가 그의 아버지 합려의 묘역으로 조성한 곳이다. 그를 매장한 지 3일째 되는 날에 하얀 호랑이가 나타나서 무덤을 지켰다는 전설 때문에 호구(虎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20㏊ 정도의 광대한 면적을 차지하는 호구의 첫째 볼거리는 호구산 정상의 운암사(雲岩寺)탑이다. 높이 47.5m인 8각형 7층탑인데, 약 15도가 기울어져 중국판 피사탑이다. 현존하는 중국 최고의 벽돌탑으로 961년에 완성되었다.호구산 입구에 있는 시검석(試劍石)은 오왕 합려가 천하의 명검을 시험해 보기 위해 시험삼아 잘랐다는 전설이 있는 돌로, 실제로 가운데가 돌로 쪼개져 있다. 그 위에는 넓게 펼쳐진 돌이 있는데, 이곳이 1,000명이 앉아서 승려의 설법을 들었다고 하는 천인석(千人石)이다. 그 외에도 소동파가 즐겼다는 샘물인 제삼천(第三泉)이나 오왕 합려의 유체와 함께 3,000여 개의 검이 묻혔다고 하는 검지 등이 있다. 검지에서는 진시황이나 손권(孫權)도 명검을 발굴하려고 노력했지만, 단 1개의 검도 구하지 못했다고 한다.

유원[편집]

留園 1525년 만들어진 정원으로, 졸정원(拙政園)과 함께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정원이다. 개인정원으로서, 본래는 동원(東園)이라고 불리었으나 몇 번의 개축을 거쳐 청대에 유원(留園)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지천(池泉), 축산(築山), 정자(亭子)를 치밀하게 조합한 디자인이 훌륭한데, 각각 4개의 영역마다 다른 취향의 광경을 만들어낸다. 모두 건물의 직선과 곡선, 밝음과 어두움, 높음과 낮음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곳이다. 녹나무로 만들어진 오봉선관(五峰仙館)이라는 청대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있고, 700m 길이의 장랑(長廊)과 장랑의 벽면에 있는 화창(花窓)이 있는데, 각각의 모양이 다른 화창을 통해 바라보는 경관 역시 빼어나다. 그리고 관운봉(冠雲峰)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태호석은 태호석의 왕이라고까지 불리는 명석(名石) 중의 명석이다.

운강석굴[편집]

雲崗石窟

벌집처럼 뚫린 53개의 동굴에 17m에서 수㎝ 크기의 불상 5만 1,000여 채가 돌에 새겨 있다. 어느 것이나 기백이 넘치는 웅대함이 있고,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중국 전통적 조소에 인도, 아프가니스탄, 페르시아의 예술이 합쳐져 다채롭게 채색된 거대한 불상은 환상적이다. 석굴 안에는 당시의 건축양식이나 의상, 악세사리, 음악, 무용 등 여러 가지 자료들을 볼 수 있다. 낙양의 용문석굴, 둔항의 막고굴과 함께 중국 3대 석굴로 꼽힌다.

구룡벽[편집]

九龍壁

구룡벽은 명 태조의 제13대손인 주계의 저택의 일부분이었다. 이 벽은 조벽(照壁:밖에서 내보이지 않도록 가린 벽)으로서 길이 45.5m, 높이 8m, 두께 2.02m의 도제벽이다.저택이 불태워 없어져 버릴 때 이 조벽(照壁)만 남게 된 것이다. 파란색과 녹색을 바탕으로 황색, 흰색, 보라색의 5가지 색의 자색청기와로 만들어져 9필의 용이 부조되어 있다. 북경의 고궁, 북해공원에 있는 구룡벽과 대동의 3개 구룡벽 중에서 이것이 최대이다.

화엄사[편집]

華嚴寺

요나라 때의 고찰로 명나라 때 상(上)화엄사, 하(下)화엄사로 나눠졌다. 상(上)사는 오나라 청령 8년에 창건되어 금(金)대의 1140년에 재건되었다. 천장화와 거대한 벽화의 색채로 매우 산뜻하다. 하(下)사의 부가교장전(簿伽敎藏殿)은 요나라 중희 78년에 건립되었는데, 그 중에서 병화(兵火)를 면한 천궁루각(千宮樓閣)은 드물게 현존하는 요나라의 목조건물로서 역사적 의의가 높다.또 31개의 요나라의 우아하고 아름다운 불상이 있으며, 사찰내는 박물관으로 이용되어 대동 주변에서 출토된 문물이 전시되고 있다.

현공사[편집]

縣空寺

중국 오악(五岳)의 하나인 헝산의 산기슭에 세워진 사찰이다. 협곡의 골짜기 밑바닥에서 26∼50m 높이의 절벽에 매달리듯 세워진 ‘하늘로 오르는 절’로 북위 336∼534년 후기에 창건되었다. 대들보는 구멍을 파 산벼랑에 반쯤 꽂고 대들보와 기둥을 교묘하게 이용해 40동의 전당을 잔도(殘道:벼랑과 벼랑 사이에 놓은 다리)로 연결하여 지었다.예부터 가발, 교묘, 험오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헝산십팔기경 필두로 꼽고 있다. 제일 높은 곳에 세워진 삼교전(三敎殿)내에는 불교, 도교, 유교의 소상(塑像)이 한데 섞여 모셔져 있다.

승덕 피서산장과 외팔묘[편집]

승덕에 있는 산장으로 ‘열하행궁’ 혹은 ‘승덕이궁’이라고 한다. 산장은 강희 40년(1703) 공정이 시작하였으며, 건륭 55년(1790)에 공정이 끝났다. 산장규모는 굉장히 넓고 차지면적은 564만 ㎦이며, 이화원의 2배이며, 중국에서 지금까지 제일 큰 황가원림이다.

건릉[편집]

乾陵

당 3대 황제 고종(高宗, 628∼683)과 측천무후(測天武后, 624∼705)를 합장한 곳. 고종의 비인 측천무후가 고종이 죽은 수황제의 자리에 재위하고 있는 동안 조성한 곳이다. 매우 공활한 터에 만들어진 것으로, 참레도만으로도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500여m의 길에 양 옆 잘려 나간 61 왕빈상(王賓像)도 있는데, 이것은 실크로드에 있는 여러 국가들의 사절들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