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농 악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농악[편집]

農樂

농악은 타악기가 중심이 되는 농민들의 기악곡으로, 춤과 놀이(演戱)가 딸린다. 농악은 풍물·두레·풍장·굿 등으로 불리는데, 농민들이 김매기와 같은 집단노동에 농악을 곁들여 능률을 올리고, 협동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쓰이고, 호미씻이(술멕이) 놀이, 대보름날과 단오날에 거행되는 민속놀이, 매굿, 동제(洞祭) 등 종교의식과 민속놀이에 쓰인다. 농악의 기원도 상고시대의 이와 같은 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악기[편집]

樂器

농악에 쓰이는 악기는 꽹과리(小金)·징(鉦)·장구(杖鼓)·북(鼓)·소고(小鼓: 매구북) 등 타악기가 주로 쓰이고, 또한 태평소(太平簫: 쇄납)·나팔과 같은 관악기를 곁들이기도 한다. 기량이 우수하고, 농악대(農樂隊) 전체를 지휘하는 꽹과리 연주자를 상쇠(上釗)라 하고, 다음 가는 꽹과리 연주자를 부쇠(副釗), 그리고 다음을 종쇠(從釗)라 한다. 징 치는 이는 징수(釘手)라 하고, 장구 연주자 중에서 기량이 제일 나은 이를 수장구(首長鼓)라 하고 다음 가는 이를 부장구(副長鼓)라 한다. 소고 연주자는 기량 제일 가는 이를 수법고(首法鼓), 다음가는 이를 부법고(副法鼓)라 한다. 태평소 부는 이는 쇄납수라 하고, 나팔 부는 이는 나팔수라 한다.

농악의 편성[편집]

農樂-編成

농악수(農樂手)의 구성은 크게 나누어서 앞치배라 부르는 기악 연주자들과 뒷치배(잡색: 雜色)라 부르는 가장무용수(假裝舞踊手)들로 나누어진다. 앞치배는 연주 기교에, 뒷치배는 무용과 익살에 치중한다. 농악의 편성과 배치는 농악대의 행렬 배치가 가장 전형적이라 하겠다.

농악대 행렬 배치를 순서대로 적으면 영기(令旗)·농기(農器)·나팔수·쇄납수·상쇠·부쇠·종쇠·징수·수장구·부장구·수북·부북 수법고·부법고·삼법고·사법고·오법고·육법고·칠법고·팔법고·창부·포수·집사·농구·가장녀·무동·양반 등이 된다.

농악의 지방적 분류[편집]

農樂-地方的分類

한국에서 농악이 특히 성행되는 지방은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인데, 서로 특색이 있어서 경기농악, 전북농악, 영남농악이라 부른다.

경기농악[편집]

京畿農樂

경기도 양주·광주·안성 등지가 중심이 된다. 무동춤과 법고놀이가 유명하다. 타지방에 비하여 징을 여러번 치는 가락이 많다.

전북농악[편집]

全北農樂

전라북도 정읍·남원 등지가 중심이 된다. 전북농악에서 전주·진안·순창·남원 등 좌도농악(左道農樂)에서는 윗놀이 즉 상모돌리기에 특출하고 익산·김제·정읍·고창 등 우도농악에서는 아랫놀이, 즉 악기 연주 기교에 특출하다. 의상이 화려하고 설장구가 특히 유명하다.

영남농악[편집]

嶺南農樂

경상남도 통영·삼천포·진주 등지가 중심이 된다. 농악 가락의 변주는 많지 않으나 잔가락으로 몰아가기가 특출하다. 여러 가지 진법놀이가 많다.

농악장단[편집]

農樂長短

농악에 쓰이는 장단은 각 지방에 수많은 가락이 있다. 이 많은 가락은 지방마다 이름이 달라도 대개 굿거리형, 자진모리형, 타령형, 닷모리형이다.

기타 지방의 특수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경기도 농악 장단은 굿거리·덩덕궁이(도드래기:긴삼채·느린삼채)·엎굿백이(이채굿)·쪽지·길군악칠채(마당 질채) 등이 있다. 호남

농악에는 풍류굿(외마치질굿)·된삼채굿(세마치)·느린삼채·세산조시·구정놀이·다드래기·오채굿·덩덕궁이 등이 있다. 영남농악에는 길군악·반삼채·사모잡이·영산·도드리·굿거리·허튼굿·쇠정작궁·무정작궁 등이 있다.

농악십이차[편집]

農樂十二次

전래되는 12종의 쇠가락(農樂長短)을 모아 순서대로 연주하게끔 구성한 것으로, 일명 십이채 또는 열두마당이라고도 한다. 농악 12채는 각 지방마다 가락이 다르고 개념이 다르다. 농악가락에 일체, 이채, 한마치, 두마치와 같이 수치가 매겨진 쇠가락은 징이 수치대로 쳐진다. 예를 들면 느린 삼채굿은 징이 세 번, 길군악칠채굿은 징이 일곱 번 쳐진다. 이것을 수치대로 나열하면 12종의 쇠가락이 된다 하나, 실제로는 12종을 찾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징 치는 수치나 쇠가락에 매겨진 수치에 구애됨이 없이 상쇠가 판굿의 진법(陳法) 편성에 따라 굿머리에 12종의 쇠가락을 모아 짠 것이다. 12라는 숫자는 이상적인 수치이고, 실제로는 반드시 12가 되지 않는 수도 있다.

농악의 진법[편집]

農樂-陳法

농악수들이 판굿에서 농악을 연주하면서 선이나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열지어가며 마스게임식으로 움직이는 것을 진법 혹은 진풀이라 한다. 진법은 진형(陣形)에 따라 장사진(長巳陣), 방울진, 을자진(乙字陣), 오방진(五方陳)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설장구[편집]

농악 판굿에서 장구잡이가 여러 가지 장구가락을 짜가며 연주 기교를 발휘하는 카덴차와 같은 대목을 말한다. 대개 덩덕궁이, 다드리기(호두락가락), 구정놀이, 굿거리 등으로 짜여진다. 설장구는 혼자 치는 홑장구와 둘이 치는 쌍장구가 있다. 설장구는 장구놀이라 하여 호남농악에서 근년에 크게 발달하였다.

소고놀이[편집]

小鼓-

농악 판굿에서 소고잡이들이 소고를 치며 연풍대·두루거리·자반지기·나비상 등 여러 가지 기교의 춤을 추며 진풀이를 하는 놀이를 말하며, 일명 법고(法鼓) 놀이라고도 부른다.

상모놀이[편집]

농악에서 쓰이는 놀이로 전립(戰笠) 꼭지에 장지로 된 긴 끈이나 백로의 깃을 달고 좌우로 돌린다든가 앞뒤로 흔들며 추는 춤의 일종이다. 상쇠는 백로깃을 단 것을 쓰고, 소고잡이들은 긴 끈을 단 것을 쓴다. 따로 열두발상모라 하여 매우 긴 끈을 단 상모를 돌리는데, 열두발상모잡이는 악기를 치지 않고 돌린다.

매굿[편집]

섣달 그믐날 밤에 당산과 집집마다 농악을 쳐서 잡귀를 쫓고 새해 복을 불러들이는 농악의식을 말한다. 지방에 따라 매굿·매끼굿·매구굿으로도 불린다.

마당밟이굿[편집]

地神-

정초나 기타 특수한 계절에 농악대가 집안 구석구석 굿을 쳐주고 고사를 지내주는 것을 말한다. 마당밟이굿을 쳐주는 직업적인 농악단을 걸립패(글립패) 혹은 걸궁패라 하는데, 마을에 이르러서는 당산굿을, 대문에서는 문굿을, 우물에서는 샘굿을, 부엌에서는 조왕굿을, 뒤안에서는 천룡굿을 마루에서는 성주굿을 쳐준다. 굿을 칠 때마다 축원구호(祝願口號) 혹은 축원가요(祝願歌謠: 地神밟기謠)를 부르고 나서 쇠가락을 친다. 성주굿에서는 긴 고사사설(告祀辭說)을 노래로 부른다.

술멕이굿·호미씻이굿[편집]

농촌에서 세벌 김매기를 마치고 만두레를 할 적에 하루를 날 받아 일을 쉬고 마을 전체가 추렴하여 술을 마시고 농악을 치면서 즐기는 농악놀이를 말한다.

두레굿(풍장굿)[편집]

농촌에서 제초기에 마을 단위 집단노동 조직을 두레라 한다. 김맬 때 두레에 딸린 농악대가 농악을 치게 되는데, 이것을 '두레굿'이라 한다. 길에서 행군시에는 길군악을 치고 논에 들어서는 꽹과리·장구·북으로 치고(징은 치지 않는다) 풍장가락을 친다. 김매는 농군들은 방개소리(노동요)를 부른다.

<李 輔 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