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무속음악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무속음악[편집]

巫俗音樂

일반적으로 굿이라 불리는 한국의 토속신앙의식(土俗信仰儀式)에 쓰이는 음악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무당의 굿음악, 판수의 독경소리, 걸립패와 초라니패의 고사소리를 모두 포함시키지만, 좁은 의미로는 무당의 굿에 쓰이는 음악만을 가리킨다.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는 세습무(世襲巫)인 단골무당의 음악을 가리키고, 중부 이북에서는 강신무(降神舞)인 음악을 가리킨다. 무속음악 연주형 때 무당은 굿청에 차린 젯상 앞에서 무가(巫歌)를 부르며 무무(巫舞)를 춘다. 양중 혹은 화랑이라 불리는 무악기(巫樂器) 연주자와 기타 조무(助巫)들은 무속기악곡(巫俗器樂曲)을 연주하든가 무당이 부르는 무가와 무무에 대한 반주음악을 연주한다. 장구 치는 반주자나 조무는 무가가락에 대한 '바라지'라는 것을 응창(應唱)식으로 혹은 대가락식으로 부른다.

무가[편집]

巫歌 굿에서 무당이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무가가락(巫歌旋律)은 지방마다 토속적인 가락 토리(가락의 지방적 특징)가 다르게 되었다. 무가는 사설의 내용에 따라 청신무가(請神巫歌)·본풀이무가(本解巫歌: 敍事巫歌)·놀이무가(遊歌)로 구분지을 수 있으며, 음악형식적인 면에서는 장절(章節)의 구분이 없이 길게 불러 나가는 통장무가(通章巫歌)와 장절 구분이 있고, 또 후렴이 붙기도 하는 짧은 장절무가(章節巫歌)로 구분할 수 있다. 앞의 것은 <바라공주>, <구능본풀이> 등을 들 수 있고 뒤의 것은 창부타령, 노랫가락, 황제풀이, 염불요, 시우제소리 등을 들 수 있다.

무악기[편집]

巫樂器

무속음악에서 연주되는 악기를 말한다. 경기도 북부에서는 장구·바라·피리·젓대(대금)·해금이 쓰이고, 경기도 남부, 충청도·전라도에서는 장구·징·꽹과리·피리·젓대·해금이 쓰이고, 기타 지역은 장구·징·꽹과리·북·바라 등 타악기만이 쓰인다.

무악 장단[편집]

巫樂長短

무속음악에서 장구·꽹과리·북·징 등의 악기에 의하여 연주되는 장단을 말한다. 한국의 무악 장단은 경기도 북부에서는 굿거리·타령·당악(자진타령)·도드리·청배제마치 등이 쓰이고,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 일부에서는 도살풀이·모리·발버드래·반설음·가래조·부정놀이·삼공잡이·푸살·올림채 등이 쓰이고, 충청도 일부, 전라도에서는 살풀이·덩덕궁이·시님장단·안진반·외장구·굿거리 등이 쓰이며, 경상도·강원도에서는 청보·제마수·도장·드렁갱이·쪼시개·고삼·자삼·삼공잡이 등이 쓰인다. 일반적으로 3분 박자가 많으나 경기도 남부와 강원도·경상도 지방에는 혼합박자로 된 매우 까다로운 장단이 많다.

무가가락[편집]

巫歌旋律

무가가락은 지방마다 독특한 토리로 되어 있다. 경기도 한강 이북의 가락은 음계 솔(Sol)로 마치는 창부 타령형과 라(La)로 마치는 청배형이 있다. 경기도 한강 이남과 충청도·전라도 무가가락은 이른바 '시나위형' 혹은 '육자배기형' 가락으로 되고, 강원도 지방 무가가락은 이른바 '메나리조'로 오음계로 되었다. 제주도 지방 무가가락은 오음계인데, 레(Re)로 마치는 형이 많고, 솔(Sol)로 마치는 형도 있다. 함경도 지방 무가가락은 음구성이 메나리조와 비슷하나 가락형이 다르고 시김새가 달라서 이른바 '어랑타령조'라 부른다. 황해도 지방은 '산염불조', 평안도 지방은 '수심가조'라 하는데, 둘 다 가락형은 비슷하나 시김새가 다르다.

바라지[편집]

무당이 무가를 부를 때 장고 반주자 혹은 조무(助巫)가 무당의 무가에 만수받이식으로 응답창(應答唱)을 한다든가 혹은 무가가락에 가락율식(對旋律式) 구음(口音)으로 부르는 것을 말한다. 경기도 남부·충청도·전라도에서는 대가락형이 많고, 기타 지방에서는 거의 응답창식이다.

무속무용곡[편집]

巫俗舞踊曲

무당이 춤을 출 때에 흔히 타악기로 반주하지만, 가락악기(旋律樂器)도 쓴다. 경기도·충청도·전라도에서는 가락악기를 써서 무용반주 음악을 연주한다. 경기도에선 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길군악·삼현도드리 같은 기악곡을 연주하고, 전라도에서는 살풀이·자진살풀이·굿거리 같은 기악곡을 연주한다. 경기도 남부에서는 도살풀이·굿거리·길군악을 연주한기도 한다. 경기도 남부에서 연주하는 무용곡 진쇠·푸살·올림채 등과 경상도·강원도에서 연주되는 도장·동살풀이 등은 모두 타악기만으로 연주되는 무용곡이다.

고사소리[편집]

告祀- 고사에서 장편무가로 대개 남자가 부른다. 그 소리가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장단에 붙임이 비교적 판소리에 가깝다. 과거에 급제한 집에서 부르는 홍패고사소리, 장지(葬地)에서 부르는 입비고사소리(立碑告祀), 걸립패가 부르는 성주고사소리(城主告祀·安宅告祀) 등이 대표적이다. 사설 내용은 역대 왕조의 치국(治國)풀이와 한국의 산세(山勢)와 그 지방의 산세가 명당(名堂)이라는 산세풀이와 가업(家業)이 번창하고 자손이 영화 있으라는 축원으로 되어 있다.

시나위[편집]

전라도·충청도·경기도 남부의 가락악기 무속음악에서 유래된 기악곡으로, 일명 신방곡(神房曲·心房曲)으로도 불린다. 합주 악기의 기본 편성은 피리·젓대(대금)·해금·장구·징으로 되어 있으나, 가야금·퉁애·태평소 등을 곁들이기도 하고 요즈음은 아쟁이 끼이기도 하고, 또 독주악기로 연주하기도 한다.

장단은 살풀이·자진살풀이, 또는 도살풀이·모리·발버드래가 원칙이고, 진양·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로 연주하기도 한다. 가락은 이른바 시나위 가락으로, 본청은 라·시·미가 주요 음이고, 시(Si) 위에 레(Re)에서 도(Do)에 이르는 흘러내리는 미분음이 있다. 생삼청에서는 여러 가지 딴음이 나타난다. 각 악기들은 제각기 딴가락을 연주하여 다성적(多聲的) 짜임새(Txture)로 되어 있다.

<李 輔 亨>

신청[편집]

神廳 무당(巫堂)을 도와서 음악연주를 담당했던 무부계(巫夫契)의 사무를 관장하던 곳. 일명 장악청(掌樂廳)·악공청(樂工廳)·공인청(工人廳)·공인방(工人房). 일제시대 전남 장흥군 장흥면 기양리(長興郡長興面岐陽里)와 나주읍(羅州邑) 우수영(右水營)·진도(珍島)·완도(莞島)에 있었다. 당시 함경도의 사무청(師巫廳)의 기능과 비슷하게 무부들의 친목과 장학(掌學) 등의 일을 맡았는데, 청주(廳主)인 계장(契長) 1명·공원(公員) 1명·장재(掌財) 1명이 사무를 관장하였다. 장흥의 신청에 전하는 <장악청중건기(掌樂聽重建記)>에 의하면, 1832년 신청을 장악청이라고 불렀으며 일제시대에 사람과 지역에 따라서 공인청·공인방·재인청(才人廳)·창부청(倡夫聽)·풍류방(風流房)이라고도

불렸는데, 최근까지 무부들이 계를 조직하고 친목을 위한 집합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신청에서는 무부의 자녀에게 노래와 춤도 가르쳤는데, 전남 진도군 진도면 성내리(城內里)의 신청에서는 옛날에 공인(工人)들이 모여 기예를 닦고 예능을 겨루었다고 한다.

악기는 북·장구·쇠·거문고·가야금·양금·피리·젓대·해금 등이 쓰였고 불려진 노래는 단가(短歌)·판소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