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무용음악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국무용

[편집]

韓國舞踊

한국무용에는 제례의식(祭禮儀式)에서 추던 일무(佾舞), 궁중진연(宮中進宴)을 비롯하여 기타 궁중의식에서 추던 궁중무용(宮中舞踊)인 정재(呈才), 민간 종교의식이나 민속놀이에서 추던 민속무용 등이 있으며, 이 밖에 근래에 새로 안무된 창작무용이 있다.

일무

[편집]

佾舞, 祭禮舞

문묘(文廟)와 종묘(宗廟)의 제향(祭享)에서 여러 무원(舞員, 舞踊手)들이 열을 지어 추는 춤이다. 천자(天子)는 팔일(八佾-64人), 제후(諸侯)는 육일(六佾-36人), 대부(大夫)는 사일(四佾-16人), 사(士)는 이일(二佾-4人)을 쓴다. 일무에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를 추는데 무무는 영신(迎神)·존폐(尊幣)·초헌(初獻)의 예(禮)에 추고, 무무는 아헌(亞獻)과 종헌례(宗獻禮)에 춘다. 문묘에서 무무는 오른손에 약, 왼손에 적(翟)을 들고 추며, 무무는 오른손에 간(干), 왼손에 척(戚)을 들고 춘다. 종묘의 문무는 오른손에 소, 왼손에 약을 들고 추며, 무무의 전삼열(前三列)은 검(劒), 후삼열(後三列)은 창(槍)을 들고 춘다. 문묘에서 일무의 음악은 응안지악(凝安之樂)·명안지악(明安之樂)·서안지악(舒安之樂)·성안지악(成安之樂)을 쓰는데 흔히 문묘악(文廟樂)이라 부른다. 종묘에서 일무의 음악은 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을 쓰는데, 흔히 종묘악이라 부른다.

궁중무용

[편집]

宮中舞踊, 呈才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한편 정재(呈才)라고 부른다. 정재는 향악정재(鄕樂呈才-鄕樂舞)와 당악정재(唐樂呈才-唐樂舞)로 구분되는데 당악정재는 무원(舞員)이 죽간자(竹竿子)를 갖추고 한문으로 된 창사(唱詞)와 치어(致語)를 부른다. 당악정재에는 오양선(五羊仙)·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처용무(處容舞)·포구락(抛毬樂)·하성조(賀聖調) 등이 있다. 향악정재에는 죽간자가 없고 우리말 창사(唱詞)를 부른다. 향악정재에는 춘앵전·검무(劍舞)·무고(舞鼓)·학무(鶴舞)·항장무(項莊舞)·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등이 있다.

춘앵전

[편집]

궁중무용. 조선 순조시 효명세자(孝明世子) 익종(翼宗)이 무용화했다 하며, 춘앵이라는 이름과 같이 버들가지에 지저귀는 꾀꼬리처럼 화관(花冠)에 앵삼(鶯衫)을 입고 화문석(花紋席) 위에서 추는 단아한 춤이다. 무용음악은 평조회상(平調會相-柳初新之曲) 전곡(全曲)을 쓴다.

가인전목단

[편집]

佳人剪牧丹

궁중무용. 조선 순조시 효명세자 익종이 지은 춤이다. 꽃을 꽂은 항아리(花樽)를 가운데 두고 8명의 무원(舞員)이 금봉관을 쓰고 색의(色衣)를 입고 모란을 꺾으며 춤추는 화기애애한 춤이다. 무용음악은 삼현환입(三絃還入-咸寧之曲)과 타령이다.

검무

[편집]

劍舞

궁중무용. 백제왕을 암살하려던 신라 황창랑(黃昌郞)의 고사에서 기원하는 것이라 한다.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입고 전대(戰帶)를 띤 무원 넷이 사슬에 매단 칼을 돌리며 추는 춤으로, 외국의 검무처럼 살벌하지 않고 매우 부드러운 춤이다. 무용음악은 대풍류를 쓴다. 이 무용은 민속무용화하여 흔히 민속무용곡인 반염불·굿거리·길타령을 쓰기도 한다.

처용무

[편집]

處容舞

궁중무용. 신라 처용실화에서 기원한다. 궁중 나례(儺禮)에 처용가면(處容假面)을 쓰고 오방(五方)을 상징한 오색의상(五色衣裳)을 각각 입은 5인의 무원이 추는 전형적인 의식무용이다. 요새 추는 처용무의 음악은 수제천(壽齊天-井邑)·향당교주(鄕唐交奏)·관악세영산(管樂細靈山-表正万方)·세환입(細還入-頌九如之曲)이다.

포구락

[편집]

抛毬樂 궁중무용. 송의 교방악에도 있지만, 고려 때 초영(楚英)이 제작했다고 전한다. 두 개의 구문(毬門)을 세워놓고, 한편에 12명씩, 24명의 여기(女妓)가 갈라 서서 차례로 용안(龍眼)이라 불리는 채구(彩球)를 구문에 던지되, 만약 못 던지면 봉필(奉筆)이 오른뺨에 먹으로 점을 칠하고, 넣게 되면 상으로 꽃을 주는 재미있는 춤이다. 포구락의 무용음악은 삼현환입과 그 밖의 2곡이다.

학무

[편집]

鶴舞

궁중무용. 고려 때부터 전하던 궁중무용으로, 온몸에 학의 탈을 쓰고 추는 춤이다. 원래는 청학·백학이 연못가에서 춤추며 여러 가지 학의 흉내를 내다가 두 소녀가 나오면 놀라 뛰어가는 것이었으나, 이것은 중간에 없어졌고, 근래에 추는 것은 민속무용가 한성준(韓成俊)에 의한 것이라 한다. 옛것은 보허자의 무용음악을 썼으나, 요즘의 것은 청성자진한닙(淸聲曲)·길타령·굿거리가 쓰인다.

무고

[편집]

舞鼓 궁중무용. 고려 충령왕 때의 시중(侍中) 이곤(李混)이 영해(寧海)에 귀양가서 바닷가에 떠내려 오는 부사(浮査)를 얻어 이로써 큰 북을 만들었는데, 북소리가 훌륭하여 이 북을 치며 추던 춤에서 무고춤이 생겼다. 이 춤은 무고(舞鼓)라 불리는 북면이 위로 난 북을 중앙에 두고, 원무(元舞) 4인, 협무(挾舞) 4인의 군무(群舞)로 먼저 창사를 부르고 나서 원무는 북채를 들고 춤을 추면서 차례로 북을 싸고 돌며 치고, 협무는 종이로 만든 꽃 삼지화(三枝花)를 들고 원무의 사이사이에 끼어 춤을 추는 화려한 춤이다. 무용음악은 삼현도드리(咸寧之曲)·염불도드리(玉連環之曲)·삼현타령이 쓰인다.

봉래의

[편집]

鳳來儀

궁중무용. 조선 세종대왕이 선조(先祖)의 개국창업(開國創業)의 공덕을 칭송하여 지음 춤으로, <용비어천가>의 몇 장(章)을 창사(唱詞)로 부른다. 죽간자 2인, 무원 8인이 춘다. 무용음악은 보허자(步虛子-長春不老之曲)·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가 쓰이고, 창사는 가곡의 농(弄)·편수대엽(編數大葉) 가락에 얹어 부른다.

장생보연지무

[편집]

長生寶宴之舞

궁중무용. 중국 송나라에 이와 같은 이름의 무용이 있었으나, 지금 추는 것은 조선 순조 때 익종이 지었다. 죽간자 2인, 원무(元舞) 2인이 창사를 부르고 춤을 추는데(舞作), 수수무(垂手舞)·산작화무(散作花舞)·삼전무(三舞典)·오방무(五方舞)·대전무(大轉舞)·사선무(四仙舞)·복선무(復旋舞)·복열무(復列舞)로 모두 아홉번 춤이 변한다. 무용음악에는 보허자와 기타 4곡이다.

민속무용

[편집]

民俗舞踊

한국무용에서 궁중무용·제례무용 외에 민간에서 추는 모든 무용을 민속무용이라고 부른다. 민속무용에는 절에서 불교의식에 추는 법무(法舞), 민간토속종교인 '굿' 즉 무의식(巫儀式)에 추는 무무(巫舞), 민속놀이에서 추는 연예무(演藝舞)로 구분할 수 있다.

법무

[편집]

法舞, 佛敎舞踊

불교의식에 쓰이는 모든 무용을 법무(불교무용)라 하는데, 그 중에서 흔히 알려진 것으로 법고무(法鼓舞)·바라무·나비춤 등이 있고, 불교에서 기원하여 속화(俗化)된 승무(僧舞)가 있다.

법고무

[편집]

法鼓舞

절에서 영산재(靈山齋)와 같은 의식에 쓰이는 불교무용의 하나. 큰 법고를 세우고 장삼을 입고 양손에 북채를 들고 북굴레와 북통을 치면서 춘다. 법고무는 속화하여 승무·구고무(九鼓舞)에 영향을 주었다. 절에서 추는 원형은 반주음악이 없고, 속화된 것은 반염불(도드리)·굿거리와 같은 것을 쓴다. 북가락은 자진모리가 주로 쓰인다.

바라무

[편집]

절에서 영산재와 같은 의식에 추는 불교무용의 하나. 고깔을 쓰고 장삼을 입고 양손에 바리를 들고 치면서 춤을 춘다. 절에서 추는 원형은 타악기만의 반주로 타령 비슷한 장단을 쓴다. 속화된 것은 반염불굿거리 타령이 쓰인다.

나비춤

[편집]

절에서 영산재와 같은 의식에 추는 불교무용의 하나. 큰 고깔을 쓰고 나비처럼 긴 소매가 달린 누런 장삼을 입고 양손에 연화지(蓮花枝)를 들고 춘다.

승무

[편집]

僧舞

불교무용에 영향을 받은 민속무용의 하나. 절에서 추는 법고무 및 탈춤에서 노장춤(老丈舞)과 같은 무용과 관련이 있다. 고깔을 쓰고 장삼을 입고 가사를 두르고 도드리·굿거리·타령장단의 반주로 춤을 추다가 북을 치는데, 북가락은 속화된 법고무와 같이 자진모리로 친다. 무용음악은 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이다.

무무

[편집]

巫舞, 巫俗舞踊

무용의 굿에서 추는 무용을 통틀어 말한다. 무속무용은 지방마다 춤사위가 다르고 반주음악도 다르다. 한강 이북의 무속무용은 상하로 뛰는 격렬한 도무(跳舞)가 많다. 반주는 도드리·굿거리·타령·당악(자진타령) 장단이 쓰이고, 반주음악으로 반염불·허튼타령·굿거리·당악이 쓰인다. 경기도 및 충청도의 무속무용은 오금을 밭고, 허리를 굽혀 어깨를 세워 손을 수평으로 뻗고 몸과 팔이 좌우로 도는 진중한 춤이 많다. 장단은 도살풀이·굿거리·진쇠·푸살·오림채 등이 쓰인다. 전라도는 춤사위가 충청도와 같으나 살풀이·자진살풀이·굿거리장단이 많이 쓰이고, 반주음악은 도살풀이·굿거리·자진굿거리가 쓰인다. 전라도는 춤사위가 충청도와 같으나 살풀이·자진살풀이·남도굿거리가 쓰인다. 경상도와 강원도의 동해안 지방은 팔을 머리 위로 쭉 뻗고 좌우로 흔드는 춤이 많으며, 장단은 '도장' 장단과 '동살풀이' 장단이 많이 쓰인다. 무무에서 직접 영향을 받은 춤은 무당춤·살풀이춤·시녑춤이 있고, 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춤은 부채춤·장구춤·태평무(太平舞) 등이 있다.

무당춤

[편집]

巫堂舞

경기도굿의 무속무용을 무대화(舞臺化)시킨 것이다. 쾌자를 입고 깃을 꽂은 관(혹은 절립)을 쓰고 한 손에 방울을, 한 손에 삼불제석을 그린 부채를 들고 춘다. 굿거리의 흥겨운 춤과 당악의 빠른 도무가 중심이 된다. 장단은 도드리·굿거리·타령·당악 등이 쓰이고, 무용음악은 반염불·허튼타령·굿거리·당악 등이다.

부채춤

[편집]

근래에 생긴 민속무용의 하나. 무당춤의 변형으로 생각된다. 한복이나 당의(唐衣)를 입고 양손에 부채를 들고 추는데, 요즈음은 마스게임식 군무(群舞)가 많다. 반주음악은 창부타령이나 한강수타령을 기악화해서 쓴다.

살풀이춤

[편집]

민속무용의 하나. 전라도·충청도 지방의 무속무용에서 유래되어 민속무용으로 발달된 것이다. 한복에 붉은 수건을 들고 춘다. 움직임과 머무름의 폭이 크고 춤사위가 매우 기교를 필요로 하며 감정표현이 강한 춤이다. 반주음악은 살풀이·자진살풀이다.

민속놀이춤

[편집]

民俗演藝舞踊

가면극·농악·줄타기·사당놀이·땅재주·북청사자놀이·줄다리기 등 여러 민속놀이에 딸린 춤이다. 가면극에 사자춤(獅子舞)·노장춤·먹중춤·덧백이춤 등이 있고, 농악에 소고춤(小鼓舞)·설장구·상모놀이·진법놀이·무동춤 등이 있으며, 사당놀이에 한량무(閑良舞) 등이 있다. 주로 남자들이 많이 추며, 씩씩하고 구성진 춤이 많다.

탈춤

[편집]

假面舞

양주산대·봉산탈춤·오광대·인형극·덧배기 등 가면극에 딸린 춤. 양주산대·봉산탈춤·인형극은 도드리·굿거리·타령·당악 등의 장단이 쓰이고, 무용음악은 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 등이 쓰인다. 오광대는 굿거리 타령이 많이 쓰이고 덧배기는 굿거리·타령이 쓰인다.

사자춤

[편집]

獅子舞

민속무용의 하나. 사자춤은 서역에서 발생하여 일찍이 우리나라에 들어왔던 것으로, 궁중과 민간에서 추던 춤이다. 오늘날 사자춤은 북청사자놀이·봉산탈춤·수영들놀이 등에 남아 있다. 실물크기의 전신(全身) 사자가면을 만들고, 앞채비 한 사람이 머리와 앞발을, 뒷채비가 뒷발과 허리·꼬리를 조정한다. 북청사자놀이는 느린타령 장단이 쓰이고, 봉산탈춤 사자춤은 굿거리·타리·당악이 쓰이며, 수영 오광대 사자춤은 굿거리장단이 쓰인다.

한량무

[편집]

閑良舞

민속무용의 하나. 남사당에서 추어졌다고 전한다. 이 춤은 한량·별감·승려·기생으로 분장한 무동들이 장정(壯丁) 사당의 어깨 위에서 연출하던 무용극인데, 내용은 탈춤의 노장춤과 비슷하다.

남무

[편집]

南舞

민속무용의 하나. 남자와 여자로 분장한 두 사람이 서로 포옹하고 교태를 부리는 것을 연출한다. 무용음악은 삼현영산회상이다.

강강수월래

[편집]

민속무용의 하나. 전라도 남해안 지방의 부녀자들이 달밤에 손에 손을 잡고 빙빙 돌며 <멍석말이> 등 진풀이와 같은 춤을 춘다. 무용음악은 따로 없고 강강수월래를 부르며 춤추는데, 그 장단은 중모리·굿거리·자진굿거리이다.

한국의 무용음악

[편집]

韓國-舞踊音樂

제례(祭禮)와 궁중연례(宮中宴禮)에는 그 제도가 악(樂)·가(歌)·무(舞)라 하여, 기악과 성악과 춤이 삼위일체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일무(佾舞)와 궁중무용(呈才)은 무용음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궁중음악은 거의 모두가 무용음악으로도 쓰인다. 민속무용음악은 타악기만으로 연주되는 예도 있고, 관현악기로 편성된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되는 예도 있다. 타악기로만 연주하는 무용음악은 그 곡 이름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굿거리·타령 등과 같이 장단 이름이 같은 경우(예: 굿거리·자진굿거리·살풀이·자진살풀이)와 곡 이름과 장단 이름이 다른 경우(예: 반염불-도드리, 허튼타령-타령, 당악-볶는타령)가 있다. 일무와 정재의 무용음악은 많은 특수악기가 동원된 대편성으로 웅장하고 장중한 표현력을 갖는데, 민속무용음악은 소편성으로 간결하고 재치있는 표현력을 갖는다. 일무의 무용음악은 아정하고 현묘하며, 정재의 무용음악은 장중하고 화려하고, 민속무용의 무용음악은 흥겹고 구성지다.

제례무용음악

[편집]

祭禮舞踊(佾舞)音樂

응안지악(凝安之樂)·명안지악(明樂之樂)·서안지악(舒安之樂)은 문묘의 문무(文舞)에 쓰이고, 성안지악(成安之樂)은 문묘의 무무(武舞)에 쓰인다. 보태평(保太平)은 종묘의 문무에, 정대업(定大業)은 종묘의 무무에 쓰인다.

궁중무용음악

[편집]

宮中舞踊(呈才)音樂

수제천(壽齊天)은 처용무(處容舞)·아박무(牙拍舞)에 쓰이고, 여민락(與民樂)-본령(本令-太平春之曲)은 문덕곡(文德曲)·복무(福舞)에 쓰이고, 보허자(步虛子-長春不老之曲)는 수연장(壽延長)·헌선도(獻仙桃)·오양선(五羊仙)·향발무·몽금척(夢金尺) 등에 쓰이며, 삼현도드리(三絃還入-咸寧之曲)는 포구락(抛毬樂)·무고(舞鼓)·무애무(無▩舞)·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등에 쓰이고 향당교주(鄕唐交奏-豊慶曲)는

광수무(廣袖舞)·망선문(望仙門)·헌천화(獻天花)·심향무(沈香舞) 등에 쓰인다. 또 길타령(日昇春之曲)은 학무(鶴舞)에, 평조회상(平調會相-(柳初新之曲)은 춘앵전에, 염불타령(念佛打令-獻天壽)은 사자무(獅子舞)에 쓰이고, 삼현풍류(三絃風流-表正萬方之曲)는 위의 여러 무용음악에 곁들여 쓰인다. 궁중무용에서 자주 쓰이는 무용음악은 보허자·삼현도드리·향당교주·삼현풍류 등이고 많이 쓰이지 않지만 훌륭한 곡으로 치는 것은 수제천·평조회상·본령이라 하겠다.

민속무용음악

[편집]

民俗舞踊音樂

민속무용 반주에 쓰이는 음악은 꽹과리·징·장구·북 등 타악기가 중심이 되고 여기에 호적·나팔을 곁들이는 경우와 피리·대금·해금이 중심이 되고 여기에 장구·좌고 혹은 장을 곁들이는 이른바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있다. 뒤의 것은 경기도·충청도·전라도 및 그 인접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음악으로, 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살풀이·도살풀이 등이 있다. 앞의 것은 전국적으로 어디나 쓰이며, 뒤의 것은 변방으로 갈수록 쓰는 예가 드물다.

반염불

[편집]

念佛打令

궁중무용에도 간혹 쓰이는 예가 있지만, 주로 민속무용에 두루 쓰이는 느리고 장중한 무용음악이다. 삼현육각이 표준이나 네 악기 정도로 연주되는 수가 많다. 이 음악은 줄풍류에서 염불, 행악(行樂)에서 길염불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6박 장단인 '도드리' 장단이고, 5음계로 구성되며 솔(sol)로 마친다. 3장(章)으로 구성되었는데, 각 장이 도드리 두 장단으로 구성되어 매우 짧다. 3장·1장·2장 순서로 연주하며, 몇번이고 되풀이한다. 반염불이 쓰이는 무용은 무당춤·승무·검무 등과 봉산탈춤·양주산대·인형극 등 도드리장단이 쓰이는 민속무용은 거의가 반염불이 연주된다.

굿거리

[편집]

민속무용 반주에 쓰이는 무용음악의 하나. 민속무용음악의 대표적인 곡으로 흥겹고 구성지다. 악기편성은 삼현육각이 표준이지만, 피리·젓대·해금·장구로 편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장단은 굿거리이고, 가락은 5음계이며 솔(sol)로 마친다. 7마루로 구성되었으며, 먼저 한 장단의 반마루로 시작해서 한 장단의 제5마루, 두 장단의 제6마루, 두 장단의 제7마루, 두 장단의 제1마루, 한 장단의 제2마루, 두 장단의 제3마루, 두 장단의 제4마루를 연주하고, 다시 처음 반마루로 되풀이된다. '굿거리' 무용음악이 쓰이는 무용은 무당춤·승무·검무 등이며 봉산탈춤·양주산대·인형극 등 민속극에서도 쓰인다.

허튼타령

[편집]

민속무용 반주에 쓰이는 무용음악의 하나. 줄풍류 타령·삼현풍류 타령과도 관련이 있는 곡으로 경쾌하고 구성지다. 줄풍류처럼 악기들이 제주(齊奏)하는 것이 아니고, 각 악기들의 가락이 조금씩 달리 되어 있어 가락이 흐트러져 들린다. 악기편성은 삼현육각이 표준이지만, 흔히 피리·대금·해금·장구로 편성된다. 장단은 타령장단이고, 가락은 5음계 구성으로 솔(sol)로 마친다. 허튼타령은 느린허튼타령·중허튼타령·자진허튼타령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느린허튼타령은 12장단이고, 중허튼타령이나 자진허튼타령은 24장단으로 느린허튼타령을 배로 확대한 것이다. 악기편성은 굿거리와 같다. 장단은 느린타령이고 가락은 5음계이다. 허튼타령이 무용음악으로 쓰이는 무용은 무당춤·검무 등이고,

봉산탈춤·양주산대·인형극

등에도

쓰인다.

당악(휘모리)

[편집]

민속무용의 반주에 쓰이는 무용음악의 하나. 빠른 동작으로 격렬하게 뛰는 도무(跳舞)에 쓰이는 음악으로 경쾌하고 익살스럽다. 악기편성은 굿거리와 같다. 장단은 자진타령 혹은 휘모리 장단이고, 5음계 구성이며 라(la)로 마친다. 당악이 무용음악으로 쓰이는 무용은 무당춤·검무 등이고, 봉산탈춤·꼭두각시 같은 민속극에도 쓰인다.

살풀이

[편집]

민속무용 반주에 쓰이는 무용음악의 하나. 전라도에 살풀이 무속음악이 있다. 한을 느끼는 슬픈 가락이지만, 흐늘거리고 멋드러진다. 음악적 특징은 시나위와 같다. 악기편성은 피리·대금·해금·장구·징이 원칙이다. 장단은 살풀이 장단이고, 가락은 시나위 가락과 같다. 살풀이 가락은 비고정가락(非古定旋律)이므로, 대개 즉흥적인 가락을 연주하고, 장이나 마루의 구분도 없다. 살풀이춤의 무용음악으로 쓰인다.

자진살풀이

[편집]

민속무용음악의 하나. 반드시 살풀이에 이어서 연주된다. 살풀이에 비해서 경쾌하고 구성지다. 장단이 자진모리와 비슷한 자진살풀이 장단인 것을 제외하고 음악적 특징은 살풀이와 같다. 살풀이춤에 쓰인다.

<李 輔 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