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민 요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민요[편집]

民謠

예로부터 민중들 사이에 불려오는 전통적인 소박한 노래이다. 작사자와 작곡가가 따로 없이 언제부터인가 불려지기 시작하여, 민중들의 입과 입을 거쳐 내려오는 동안에 그들의 사상·생활·감정에서 우러나온 사설들이 담겨지고 토속적인 가락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국민요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1절, 2절하고 바꿔 부르는 장절형식(章節形式)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한국민요는 전파(轉播) 정도와 음악적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와 창민요(唱民謠)로 구분할 수 있고, 불리는 지방에 따라 남도민요·경서민요(京西民謠) 등 지방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토속민요[편집]

土俗民謠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는 매우 소박한 민요로,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소박하고 향토적이다. 특히 지역적인 차이가 심하여 고개 하나 내 하나 건너도 가락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노동요(勞動謠)·부녀요(婦女謠)·동요(童謠) 등에 많은데 예를 들면 경상도 모내기·전라도 김매기·제주도 해녀노래·경상도 메나리·각 지방 상여소리 등을 들 수 있다.

창민요[편집]

唱民謠

일명 유행민요 또는 예술민요라고도 불리며, 그 기원은 토속민요에 둔 것이 많은 바 이것이 잡가를 전문으로 부르는 소리꾼에 의하여 음악적으로 매우 세련되고, 또 여러 지방에 전파되어 널리 알려진 민요이다. 사설은 옛 시구(詩句)나 중국 고사(故事)를 인용하는 등 세련되어 있거나 인위적인 조작이 많고, 가락은 장절(章節)마다 달리 변주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전라도 육자배기·평안도 수심가·경기도 창부타령·남도의 성주풀이 등이다.

민요의 지방적 분류[편집]

民謠-地方的分類

한국의 창민요는 지방마다 가락이 다르므로 가락의 차이에 의해서 민요가 분류된다. 크게 나누면 경서도 민요(京西道民謠)와 남도민요(南道民謠)로 나누어지고, 경서도 민요는 경기 민요와 서도 민요로 나누어진다. 제주도는 따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다시 행정구역과 비슷하게 각 도 민요로 세분하기도 한다.

경기도 민요[편집]

京畿道民謠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도와 그 주변에서 불리는 민요. 장단은 굿거리·자진타령·세마치 등이 쓰인다. 가락은 전음 5음계로 되었고 비교적 음의 편중이 적다. 솔(Sol)로 마치는 창부타령형(倡夫打令型), 라(La)로 마치는 한강수타령, 도(Do)로 마치는 경복궁타령형이 있다. 경기민요는 대개 흥겹고 구성지고 경쾌하다. 민요의 종류로는 노랫가락·창부타령·이별가·청춘가·도라지타령·사발가·베틀가·오봉산타령·오돌또기·양류가·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양산도·한강수타령·경복궁타령·개성난봉가·닐니리아·군밤타령·는실타령·건드렁타령·아리랑·긴아리랑·청춘가·노들강변

등이며, 대표적인 것은 창부타령과 방아타령이다.

노랫가락[편집]

경기민요의 하나. 본래 경기지방에서 불리던 장절무가(章節巫歌)였는데, 민요화되어서 널리 불리고 있다. 노랫가락은 시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노랫가락이 시조의 원형이라는 설도 있고, 궁중무 의식(宮中巫儀式)에 시조가 불리면서 이것이 노랫가락으로 변하여, 지금 경기무가(巫歌)에 남았고, 다시 민요화되었다는 설도 있다. 사설은 시조와 같고 '하리라', '어이리' 등 종장 말구(終章末句)가 생략되는 것도 시조와 같고, 원형은 장단이 초장(初章) 5·8·8·5·8, 중장(中章) 5·8·8·5·8, 종장(終章) 5·8·8·5·8로 시조와 거의 같으나, 민요화된 노랫가락은 초장 5·8·8·5·6, 중장 5·8·8·5·6으로 되었다.

창부타령[편집]

倡夫打令

경기민요의 하나. 경기도 한강 이북에서 불리던 장절무가가 민요화된 것이다 옛날에는 무가 사설을 그대로 부르는 것이 많았으나, 근래에는 순수한 민요 사설을 부른다. 장단은 굿거리 장단으로 매우 흥겹고 구성진 민요이다. 5음계로 구성되었고, 솔(Sol)로 마치며 선율형은 하행형이 많다.

도라지타령[편집]

-打令

경기민요의 하나. 경기입창에도 도라지타령이 있으나, 경기민요 도라지타령은 이것과 다른 것으로, 구한말부터 불린 신민요라 한다. 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 되었고 5음계이며, (솔)로 종지되는 창부타령형 가락으로 된 구성진 민요이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심심 산천에 백도라지

한두뿌리만 캐어도/대바구니로 반실만 되누나

2.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강원도 금강산 백도라지

도라지 캐는 아가씨들/손맵씨도 멋드러졌네

3.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이 도라지를 캐어다가

마늘, 파, 깨소금 양념하여/어른님 공경에 힘을 쓰세후렴 에헤요 에헤요 에헤야/이여라 난다 지화자 좋다

저기 저산 밑에 도라지가 한들한들

아리랑[편집]

경기민요의 하나. 각 지방에 아리랑이라는 말이 붙은 민요가 흩어져 있다. 강원도아리랑·밀양아리랑·진도아리랑·긴아리랑 등 일반적으로 아리랑 하면 보조아리랑이라고도 불리는 이 민요를 가리킨다. 장단은 세마치이고 도로 마친다. 각 지방 아리랑의 원류같이 생각하기 쉬우나, 음조로 봐서는 다른 아리랑에서 변형된 신민요일 것이다. 이 민요가 유명한 것은 일제시대 널리 애창되어 당시 우리 민족의 뜻을 대변하는 구실을 했기 때문인 것 같다. 때로는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소개되기도 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2.

수수밭 도조(度組)는 내 물어 줄게/구시월까지만 참아 다오

3.

가자 가자 어서 가자/백두산 덜미에 해 저물어간다

4.

풍년이 온다네 풍년이 와요/삼천리 이 강산 풍년이 와요

5.

백두산 천왕봉 맑은 용왕담/이천리 구비쳐서 흘러흘러

압록강

6.

한라산 백록담 좋은 경치/남국의 운치요, 제주의 자랑

7.

청천(靑天) 하늘엔 별도 많고/이내 가슴엔 수심도 많다

8.

산 좋고 물 맑은 금수강산/꽃 피고 새 울어 봄철일세

9.

백사장 해당화 여자의 자태/눈 속에 푸른 솔 남아의 기상

10.

꽃 피어 방실방실 벌나비 춤추고/시냇물 졸졸 흘러 계곡

을 감도네

11. 십오야 뜬 달이 왜 이리 밝아/산란한 내 가슴 누를 길 없네

12. 쓰라린 가슴을 움켜잡고/백두산 고개로 넘어간다

13. 산신령 까마귀 깍깍 짖고/우리 님 병세는 날로 깊어

14. 인왕산 뻐꾸기 밤 새워 울고/가신 님 생각에 눈물지네

15. 희망찬 앞날을 다짐하고/힘차고 용감히 싸워 보세

16. 황량한 벌판에 해는 지고/앞으로 남은 길 천리만리

방아타령[편집]

-打令

경기도 민요의 하나. 경기입창에 뒤를 이어 부르던 것으로 가락은 양산도와 비슷하며 각 지방에 여러 가지 방아노래가 있으나, 리듬의 변화와 선율선(旋律線)으로 봐서 이것이 가장 우수한 민요로 보인다. 장단은 세마치이고, 오음계로 구성되었으며 솔로 마친다. 매우 구성지고 씩씩한 민요이다.

자진방아타령[편집]

-打令

경기도 민요의 하나. 경기입창에서 긴 방아타령에 이어서 불린다. 후렴(받는 소리)은 두 가지로 되어 있어, 절마다 엇바꾸어 부른다. 장단은 5음계 도(Do)로 마치는 경쾌하고 씩씩한 민요이다.

양산도[편집]

陽山道

경기도 민요의 하나. 경기입창에 잇대어 불리던 민요로, 방아타령과 가락이 비슷하다. 이것의 유래는 양산가설(楊山歌說)·조선 개국 칭송가설·양산도설(梁山刀說)·경복궁설이 있으나 믿기 어렵다. 장단은 세마치이고 5음계로 구성되고 솔(Sol)로 마친다. 리듬이 재미있게 변하고 선율선이 균형이 잡혀 우수한 민요라 하겠다. 매우 구성지고 씩씩한 민요이다.

한강수타령[편집]

漢江水打令

경기도 민요의 하나. 장단은 굿거리이며 5음계 구성, 라로 마친다. 구성지고 흥겨운 민요이다.

경복궁타령[편집]

景福宮打令

경기도 민요의 하나.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할 무렵에 생긴 민요라 하며, 대원군에 대한 원망을 풍자적으로 나타낸 노래다. 장단은 자진타령 장단이며 5음계 구성으로 도(Do)로 마친다. 선율형은 난봉가 계통 민요와 비슷하다. 매우 구성지고 씩씩한 민요이다.

개성난봉가(박연폭 포)[편집]

開城難逢歌 경기도 민요의 하나. 황해도 지방에 흩어져 있는 난봉가 계통 민요와 관계가 있다. 장단은 굿거리이며, 5음계 구성 도(Do)로 마친다. 흥겹고 구성진 민요이다.

사설난봉가[편집]

辭說難逢歌

경기도 민요의 하나. 황해도에 흩어져 있는 난봉가 계통 민요와 관계가 있다. 병신난봉가와 비슷한 점이 있다. '개타령'이라고도 불리던 구조 사설난봉가에서 유래된 것 같다. 사설이라 함은 '엮음' 혹은 '휘모리'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사설을 한꺼번에 휘몰아 촘촘히 붙여 엮어나가는 형태를 말한다. 대개 엮음형태 노래가 그렇듯이 사설 내용이 풍자적이고 해학적이다. 장단은 자진타령이고 5음계구성 도(Do)로 마친다.

닐니리아[편집]

경기도 민요의 하나. 청춘가와 마찬가지로 구한말에 생긴 신민요이다. 장단은 굿거리이고, 5음계 구성 솔로 마치며, 선율형은 창부타령형이다. 사설이 대마디에 붙기 때문에 창부타령과 같이 구성진 느낌은 덜하다.

군밤타령[편집]

-打令

경기도 민요의 하나. 구한말에 생긴 신민요이다. 장단은 자진타령이고, 5음계 구성이며, 도로 마친다. 군밤타령의 특징은 리듬이 재미있게 변화하는 데 있다. 사설로 봐서는 5개의 장단이 한 악절을 구성하게 되어 있으나, 이것이 네 장단에 몰아붙여 부르므로 리듬이 장단마다 변화가 있어 매우 생기 있고 해학적인 민요이다.

충청도 민요[편집]

忠淸道民謠

충청도에서 불리는 창민요는 경기도 민요를 부르거나 전라도 혹은 강원도 민요를 부르기 때문에 충청도 창민요가 따로 없다. 경기흥타령이 첫마루 사설에 천안삼거리라는 지명이 나온다 하여 충청도 민요로 알려진 것 같다.

천안삼거리[편집]

天安三巨里(흥타령:興打令)

충청도 민요로 알려져 있으나, 경기흥타령이라 해야 맞겠다. 장단은 굿거리이고, 5음계 구성으로 도로 마친다. 흥겹고 구성진 민요이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천안 삼거리 흥-/능수야 버들은 흥- 제멋에 겨워서 흥-/축 늘어졌구나 흥-후렴 에루화 좋구나 흥-/성화가 났구나 흥-

평안도 민요[편집]

平安道民謠

평안도에서 불리는 민요는 사설이 길고 후렴이 없어서 잡가와 같이 된 것이 많고(예: 수심가, 배따라기), 자유리듬이나 불규칙장단으로 된 것이 많다(예: 수심가, 배따라기, 긴아리랑). 한편 짧은 사설에 고정장단으로 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도드리 장단이 쓰인다. 가락은 수심가형(愁心歌型)으로 되었다. 널리 알려진 평안도 창민요는 수심가·엮음수심가·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긴아리·자진아리·안주애원곡 등이 있다. 평안도 민요는 애절하고 흐느끼는 듯한 느낌이 있다.

수심가[편집]

愁心歌

평안도 민요의 하나. 평안도의 대표적 민요일 뿐 아니라, 남(南)에 '육자배기', 북(北)에 '수심가'라 하듯이 서도민요의 대표적인 것이라 하겠다. 수심가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병자호란 무렵 성천(成川) 명기(名技) 부용(芙蓉)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설과 조선 때 서북인)의 차별을 한탄하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모두 확실하지 않다. 무장단(無長短)으로 부르거나 소리에 따라 적당히 맺어 치는 불규칙장단으로 친다. 가락은 이른바 수심가형이며, 후렴이 붙지 않는 장절형식이다. 허무한 인생을 한탄하는 사설이 많고, 가락도 매우 애절하다. 장절마다 형식이 다양하고 가락의 선(線)이 유연하고 서정적인 표현이 강하여, 남쪽의 육자배기와 함께 한국민요의 쌍벽이라 하겠다.

수심가형 선율[편집]

愁心歌型旋律

서도지방 민요에 두루 쓰이는 선율형. 5음계 구성으로 되었으며 라나 레로 마친다. 라는 항상 강하게 떨고, 레는 떨지 않는다.

엮음수심가[편집]

-愁心歌

평안도 민요의 하나. 수심가의 변형이다. 사설이 길어진 것을 빠른 가락으로 촘촘히 엮다가, 끝에는 수심가 가락으로 느긋하게 여미는 것이 특색이다. 이런 변주형은 정선아리랑(엮음아리랑)·휘모리잡가(首雜歌)에서도 볼 수 있다. 장단은 불규칙 장단으로 3박·4박·5박·6박 등으로 소리에 따라 맺어 준다. 가락은 수심가형이다.

배따라기[편집]

평안도 민요의 하나. 민요라기보다 장절형잡가(章節型雜歌)로 보는 게 좋다. 배따라기는 '배떠나기'가 와전된 것이라 한다. 사설 내용은, 뱃사람의 고달픈 생활을 서사체(敍事體)로 엮고 있다. 후렴이 붙지 않는 장절형식이다.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고, 가락은 수심가형이 주가 되나, 경기잡가의 영향이 보인다고 하겠다. 비장(悲壯)한 민요이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옛날가사 :

정거혜(碇擧兮)여 선리(船離)하니/차시거혜(此時去兮)여 하시래

(何時來)오

만경창파(萬頃滄波) 거사회(去似廻)라

(닻 올리자 배 떠나니 이제 가면 언제 오소. 만경창파에 가시는

듯 돌아오소)현재 불리는 가사 :

지화자자 좋다/요내 춘색(春色)은 다 지나가고

황국단풍(黃菊丹楓) 돌아왔구나…

자진배따라기[편집]

평안도 민요의 하나. 배따라기에 이어서 부르는 빠른 장단으로 된 배따라기이다. 긴 배따라기가 뱃사공의 고달픈 생활을 그리는 비장한 노래인 반면, 자진배따라기는 풍어를 기뻐하는 노래로 고기잡이가 잘되어 봉죽(鳳竹)을 박고 오는 노래라 해서 봉죽타령(鳳竹打令)이라고도 한다. 장단은 세마치장단이고 가락은 수심가형이 주가 되고 잡가목이 끼여 있다. 후렴이 붙는 장절형식이다. 매우 씩씩하고 장쾌한 민요이다.

안주애원곡[편집]

安州哀怨曲

평안도 민요의 하나.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노래로, 장단은 도드리이고 가락은 수심가형이다.

황해도 민요[편집]

黃海道民謠

황해도에서 불리는 민요들은 중모리 장단, 빠른 것은 자진굿거리 장단으로 친다. 가락은 수심가형이 많으나 목 구성이 다르고 어떤 것은 경기도 경복궁타령이나 한강수타령과 비슷한 데가 보이기도 한다. 평안도 민요처럼 처절하지 않고, 보다 밝고 서정적이며, 한편 구성진 가락도 보인다. 산염불·자진염불·긴난봉가·자진난봉가·사리원난봉가·병신난봉가·몽금포타령·수천난봉가 등이 있다. 산염불, 긴난봉가가 대표적이라 하겠다.

몽금포타령[편집]

夢金浦打令

황해도 민요의 하나. 장단은 중모리이고, 선율은 수심가형이다. 요즘에는 신민요형으로 편곡하여 널리 보급된 민요이다. 경쾌하고 구성지다.

강원도 민요[편집]

江原道民謠

강원도에서 불리는 민요 중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강원도 민요·정선아리랑·한오백년 등이다. 이 세 민요들은 모두 아리랑과 관계가 있는 민요인 것으로 봐서, 각도에 흩어진 아리랑 민요들의 원형이 강원도 민요에 나왔다고 하겠다.

강원도 민요에는 5박 장단(강원도아리랑)·세마치(정선아리랑)·중모리(한오백년)가 있지만, 어느 것이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가락은 이른바 '메나리조'로 되었고, 느린가락은 퍽 애절한 느낌을 준다.

강원도아리랑[편집]

江原道-

강원도 민요의 하나. 강원도의 대표적 민요로 아리랑의 원형이 아닌가 추정된다. 장단은 5박으로, 5박 장단은 판소리에 엇모리를 비롯하여 전라도·충청도·경기도·경상도·강원도 무속음악에 두루 보이는 장단이며, 가락은 메나리조이다. 소박하고 서정적인 민요로, 이 민요의 원형이 강원도 노동요에 보인다. 그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후렴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요/아리아리 얼시구 노다가세

1. 아주까리 동백아 여지 마라/누구를 꾀자고 머리에 기름

2. 열라는 콩 팥은 왜 아니 열고/아주까리 동백만 여는가

3. 붉게 핀 동백꽃 보기도 좋고/수줍은 처녀의 정열도 같네

4. 사랑에 겨워서 등을 밀었더니/가고나 영절에 무소식이로다

5. 흙물의 연꽃은 곱기만 하다/세상이 흐려도 나 살 탓이지

6. 감꽃을 주으며 헤어진 사랑/그 감이 익을 땐 오시마 한 사

7. 봄바람 불어서 꽃피건마는/고달픈 이 신세 봄 오나마나

8. 영창에 비친 달 다 지도록/온다던 그 님은 왜 아니 오나

9.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보세/아주까리 정자로 만나 보세

10. 산중의 귀물은 머루나 다래/인간의 귀물은 나 하나라 11. 십오야 뜬 달이 왜 이리 밝아/산란한 이 마음 달랠 길 없

네 12. 풀벌레 구슬피 우는 밤에/다듬이 소리도 처량하구나

정선아리랑[편집]

旌善-

강원도 민요의 하나. 일명 '엮음아리랑'이라고 불린다. 긴 사설을 빠른 가락으로 촘촘히 엮어가다가 뒷부분에서 높은 소리로 한가락 길게 빼는 재미있는 민요이다. 원마루에서는 무장단 자유리듬으로 사설을 촘촘히 부르고, 후렴에서는 느린 세마치로 부른다. 가락은 메나리조이며, 후렴이 붙고 원마루가 긴 장절형식이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 주오

1.강원도 금강산 일만이천봉/팔남구암자 유점사 법당 뒤에

칠성단도 두모고 팔자에 없는

아들딸 나 달라고 석달열흘 녹음에

정선을 말고 타관객리 외로히 난 사람 괄시를 마라

2.세파에 시달린 몸 만사에 뜻이 없어

홀연히 다 떨치고 청려를 의지하여

지향없이 가노라니 풍광은 예와 달라

만물이 소연한데 해저무는 저녁노을

무심히 바라보며 옛일을 추억하고

시름없이 있노라니 눈앞에

왼갖 것이 모다 시름뿐이라

3. 달은 밝고 명랑한데 동해를 구비치는 관동 명승 경포대

호수에 물이 맑고 백사청송 좋은 경을 무심히 바라볼 제

스며드는 찬 바람이 옷깃을 스칠 적에

임 여읜 내 가슴엔 번민과 고통으로

아름다운 이 풍경도 좋은 줄을 모르니

닥쳐 올 이 설움을 어이 참아 볼까

4. 느티나무 그늘 아래 둘이 만나 속삭일 제

옷고름 서로 매고 굳은 언약 맺었더니

조물이 시기하여 맹세 또한 허사로다

적막한 빈 방안에 홀로 앉아 생각하니

지나간 일 꿈이런 듯 하염없이

긴 한숨만 쉴 새 없이 나오니

답답한 이 심사를 어이 달래 볼까

한오백년[편집]

-五百年

강원도 민요의 하나. 한오백년은 후렴 '한오백년 사자는데'를 따 부르는 것이다. 아리랑 계통 민요의 변형으로 오래된 민요는 아니라 한다. 장단은 원래 느린 세마치이나, 요새는 중모리로 친다. 가락은 메나리조이다.

함경도 민요[편집]

咸鏡道民謠

함경도에서 불리는 민요 중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신고산타령·애원성·궁초댕기 등이다. 함경도 민요 가락은 강원도 민요 가락과 비슷하다. 강원도 민요는 느린가락으로, 애절한 가락이 많으나, 함경도 민요는 비교적 빨라서 애절한 중에도 거세게 들린다. 장단은 볶는타령(신고산타령) 혹은 잦은 굿거리(애원성)가 쓰인다. 선율은 강원도 메나리조와 비슷하나 음 조직과 시김새가 좀 다르다.

신고산타령[편집]

新高山他令

함경도 민요의 하나. 원명은 어랑타령이다. 어랑타령이라 함은 후렴에서 '어랑 어랑 어허야' 하는 데서 나온 말이며, '신고산타령'이란 말은 첫사설 '신고산이 우루루'에서 나온 말이다. 함경도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민요이다. 장단은 볶는타령이고, 가락은 메나리조의 변형이다. 애절하면서도 씩씩하고 구성진 민요이다.

궁초댕기[편집]

함경도 민요의 하나. 신고산타령에서 변형된 민요라 한다. 장단은 볶는타령이고, 가락은 메나리조의 변형이다. 후렴이 붙는 장절형식인데, 후렴이 원마루보다 길다. 후렴에서 길게 빼며 늘어지는 가락은 메나리조의 특징대로 한결 애절한 느낌을 준다.

애원성[편집]

哀怨聲

함경도 민요의 하나. 오래된 민요로 함경도 민속음악 토리의 원형이라 하겠다. 애원성이라 함은 슬픈 가락이라는 뜻이다. 장단은 자진굿거리이고, 가락은 메나리조이나, 강원도와 시김새가 좀 다르다. 애절한 민요이다.

경상도 민요[편집]

慶尙道民謠

경상도 지방에서 불리는 토속민요는 강원도와 같이 느린 것도 있으나(메나리, 초부가) 대개는 빠른 가락이 많다. 세마치(밀양아리랑)·굿거리(골패타령)·굿거리(쾌지나칭칭) 등이 쓰인다. 가락은 강원도와 같이 메나리조로 되었으나, 빠른 가락으로 된 것들은 슬픈 느낌보다 오히려 씩씩하고 꿋꿋하다.

경상도 지방에서 널리 알려진 창민요는 밀양아리랑·울산아가씨·쾌지나칭칭·뱃노래·튀전타령·골패타령·담바구타령 등이 있다. 토속민요로 메나리, 초부가 따위가 알려졌고, 근래에는 이 지방 토속민요가 개발되어 보리타작·상주모내기·통영개타령 따위가 알려졌다. 성주풀이는 경상도 민요로 치나 근원은 다른 데에 있는 것 같다.

메나리[편집]

山有花歌

경상도 민요의 하나. 메나리는 경상북도에서 김맬 때 부르는 토속민요로, 타지방에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으나 메나리조라는 말이 이 민요에서 비롯되고, 또 산유화가(山有化歌)가 고전에 자주 인용됨으로써 알려진 민요곡이다. 느리고 자유리듬에 이른바 메나리조 가락으로 한없이 뽑으면 산천초목도 운다는 애절한 민요이다.

메나리조[편집]

山有花歌調

경상도·강원도 지방의 민요나 무가에 두루 쓰이는 선율형으로, 강원도 아리랑·쾌지나칭칭과 같은 민요에서 볼 수 있다. 느린가락으로 부르면 매우 슬프게 들린다고 한다. 5음계로 구성되었으나 주요음(主要音)은 '레-도-라'가 되기도 하고 '도-라-미'가 되기도 한다. 라 혹은 미로 마친다.

밀양아리랑[편집]

密陽-

경상도 민요의 하나. 이 민요 발생설(發生說)에 밀양의 아랑(阿娘) 전설을 관련시켜서 유명해졌다. 장단은 세마치이고, 가락은 원래 메나리조이나, 요새는 경기(京畿)목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리듬이 생동하여 매우 꿋꿋하고 경쾌한 민요이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날좀보조 날좀보조 날좀보소/동지섣달 꽃본듯이 날좀보소

2. 영남루 명승을 찾아가니/아랑(阿娘)의 애화가 전해 있네

3. 저 건너 대숲은 의의(依依)한데/아랑의 설은 넋이다

4. 남천강 구비쳐서 영남루를 감돌고

벽공(碧空)에 걸린 달은 아랑각(阿娘閣)을 비추네

5. 팔각정인 영남루 웅장한 모습/반공(半空)에 우뚝서 기관을

자랑

6. 채색으로 단청(丹靑)된 아랑각은/아랑의 유혼이 깃들여 있네

7. 송운대사 비각을 구경하고/경치 좋은 표충사(表忠寺) 들러

나 갈까

8. 송림 속에 우는 새 처량도 하다/아랑의 원혼을 네 설워 우

느냐

9. 영남루 비친 달빛 교교한데/남천강 말없이 흘러만 간다 10. 아랑의 굳은 절개 죽음으로 씻었고/고결한 높은 지조 천추

에 빛난다후렴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 주소

쾌지나칭칭[편집]

경상도 민요의 하나. 이 민요의 발생설에 임진왜란과 가토오(加藤淸正)를 들기도 하나 믿을 수 없다. 느린 굿거리장단으로 치나, 빨리 몰아갈 때는 볶는타령장단이 어울린다. 가락은 메나리조이다. 두 장단을 매기면 두 장단을 후렴으로 받는데 여럿이 주고받음이 재미가 있다. 매우 구성지고 씩씩한 민요이다.

보리타작·옹헤야[편집]

경상도 민요의 하나. 경상도 남부지방에 두루 불리는 도리깨질하는 노동요를 근년에 새로 편곡하여 부르면서부터 널리 알려져, 요새는 민요로 일반화되었다. 장단은 자진모리로도 치지만, 요새는 느린 닷모리 즉 2분박-4박자로 치고 있다. 가락은 메나리조이다. 도리깨질 리듬과 같이 한 장단을 매기면 한 장단을 받는 매우 씩씩한 민요이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옹헤야(옹헤야) 모두 같이(옹헤야) 즐거웁게

(옹헤야) 노래하세(옹헤야) 에헤에헤(옹헤야)

2. 두리둥실(옹헤야) 밝은 달아(옹헤야)휘영청청

(옹헤야) 높이 떴네(옹헤야) 에헤에헤(옹헤야)

3. 물도 맑고(옹헤야) 산도 좋은(옹헤야) 살기 좋은

(옹헤야) 우리 고장(옹헤야) 에헤에헤(옹헤야)

4. 금수강산(옹헤야) 삼천리가(옹헤야) 금년에도

(옹헤야) 풍년일세(옹헤야) 에헤에헤(옹헤야)

5. 아침에도(옹헤야) 저녁에도(옹헤야) 모두 같이

(옹헤야) 노래하세(옹헤야) 에헤에헤(옹헤야)후렴

어절씨구(옹헤야) 잘도 한다(옹헤야)

전라도 민요[편집]

全羅道民謠

전라도에서 불리는 민요들은 토속민요와 창민요가 가락이 다른 것이 많다. 창민요들은 선율이 거의가 이른바 육자배기형인데, 토속민요는 육자배기형이 아닌 것들이 많이 있어서 주목을 끈다. 창민요의 장단들은 중모리(흥타령·긴농부가), 중중모리-굿거리(개구리타령·자진농부)가 가장 많다고 하며, 진양(육자배기)과 자진모리(까투리타령)도 있다. 느린 가락으로 된 민요는 슬픈 느낌을 준다. 빠른 가락으로 된 민요는 구성지고 멋스럽다.

육자배기형 선율[편집]

六字-型旋律

전라도의 대표적인 민요 육자배기와 같이 선율형을 말하는 것으로, 전라도 창민요 및 무속음악 선율이 거의 이 가락으로 되었다. 마침음(終止音)을 라로 본다면, 육자배기가락의 주요음은 라와 4도 아래음인 미와 2도 위음인 시가 된다.

시 위에는 레에서 도에 이르는 미분음들이 시에 흘러내린다. 이 밖에 청이 바뀌어지면 4도 위음 레와 7도 위음 솔에서 솔 올림 같은 음들이 쓰인다. 느린 가락은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은 구성지고 멋스런 느낌을 준다.

육자배기[편집]

六字-

전라도 민요의 하나. 전라도의 대표적인 민요일 뿐 아니라 북의 수심가와 함께 한국 민요의 쌍벽이다. 장단은 진양이고 가락은 육자배기형이다. 느리고 유연하게 뻗으면서도 가락이 장절마다 변화가 있어서 예술적 가치는 음넓이가 넓고 높다. 흘러내리는 미분음 및 시김새에 따른 목구성이 독특하여 전라도 사람 외에는 하기 힘들다. 한스럽고 서정적인 민요이다.

육자배기라 함은 진양 한각인 6박을 짚어 간다는 데서 연유한다고 한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산이로구나 헤 사람이 살면은/몇백이나 사드란 말이냐

죽음에 들어서 남녀노소 있느냐

살아서 생전시에/각기 맘대로 놀거나 헤

2. 우연히 수양버들을 거꾸로 잡아

주루룩 훑어 앞내 강변 세모래밭에

시르르 던졌더니마는 그것이 모두 다/수양버들이로구나 헤

3. 연당의 밝은 달 아래 고기잡는 아이들아

십리장강 배를 띄워 물결이 곱다 자랑마라

그물 후에 잠든 용이 깨고 보면은

풍파일까 염려로구나 헤

4. 성성제혈 염화지에 애를 끊는 저 두견아

허다공산 다 버리고 이내 문전에 왜 우느냐

나도 임 이별하고 수심 만단 쌓였노라

5. 창해월명 두우성은 님 계신 곳 비쳐 있고

회포는 심란한데 해는 어이 수이 가노

잘 새는 집을 찾아 무리무리 돌아들고

야색은 창망하여 먼 나무 그늘이 희미한데

경경히 그리는 것은 간장 썩은 눈물이로구나

6. 저 달은 떠 대장되고 견우직녀성은 후군이로구나

태극성은 네 어서 급히 행군 취타를 재촉하여라

자진육자배기[편집]

-六字-

전라도 민요의 하나. 긴육자배기에 이어서 '어허야' 하는 입타령을 부르고 나서 자진육자배기를 한다. 긴육자배기는 빠른 장단으로 불리고 사설도 약간 길어졌다. 장단은 느린 세마치(양산도 장단보다 느리다)로 치고, 가락은 육자배기형이다. 긴육자배기 6박을 3박으로 축소한 것으로, 선율형은 긴육자배기와 다름이 없다. 긴육자배기보다 구성지고 흐늘거린다.

흥타령[편집]

興打令

전라도 민요의 하나. 한국 민요에 흥타령은 세종류가 있다. <천안삼거리>라 불리는 <경기흥타령>과 <감내기>라 불리는 <서도흥타령>, 그리고 <남도 흥타령>이 있다. 이것들은 후렴의 사설이 비슷할 뿐, 가락은 같은 점이 없다. 흥타령은 흔히 긴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에 이어서 부른다. 장단은 중모리이고 가락은 육자배기형이다. 애절하고 한스러운 민요이다.

진도아리랑[편집]

珍島-

전라도 진도지방 민요의 하나. 부요적(婦謠的) 성격이 강한 서정민요이다. 현지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부른다. 진도에서 발생된 노래이나 지금은 전국적으로 불린다. 사설의 기본성격은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하고 있다. 사설 내용에 욕·상소리·한탄·익살 등이 응집되어 부인네들의 야성을 거침없이 노출시키고 있으며, 도서지방의 지역성을 표출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사설의 형식은 2행 1연으로 되어 있는 짧은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이루어지는 분장체(分章體) 장가(長歌)이다. 가창방식은 기존 사설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사설이 창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덧붙여질 수 있는 선후창 형식의 돌림노래(輪唱)이다. 돌림노래란 여럿이 부를 때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메김소리를 하고, 나머지는 맞는소리(맞음소리)를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창방식은 집단 노동요의 전형적인 가창방식과 일치한다. 대표적인 가사는 다음과 같다후렴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1. 문경새재는 왠 고갠고/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구나.

2. 서산에 지는 해는 지고 싶어 지느냐

날 두고 가신 임은 가고 싶어 가느냐

3. 니정 내정은 정태산 같은데/원수년의 탄광 모집이 니정 내

정을 띤다

4. 저 강에 뜬 윤선은 바람심으로 놀고/점방의 유성기는 기계

심으로 논다

5. 오동나무 열매는 감실감실/ 큰애기 젖통은 몽실몽실

제주도 민요[편집]

濟州道民謠

제주도에서는 수많은 민요가 불리되 대부분이 토속민요이다. 제주도에서 불리는 창민요 중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오돌또기와 이야홍타령이다. 제주도 토속민요는 자유리듬이 많고, 굿거리 장단과 같은 고정 리듬도 있다. 가락은 대개 레로 마치는 것이 많다.

오돌또기[편집]

제주도 민요의 하나. 제주도 민요 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민요이다. 장단은 굿거리로 치고, 가락은 5음계 레(Re)선법이다. 경쾌하고 구성진 민요이다. 그 노랫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오돌또기 제주도라 한라산 푸른 숲 새로

잘도 달리는 노루들 둥구데 당실

둥구데 당실 백록담에 풍덩 들어가

미역 감고서 해돋는 구경가거라

2. 오돌또기 제주도라 서귀포 푸른 바다로

전복따러 간 해녀들 둥구데 당실

둥구데 당실 물밑에서 생각하면은

물 밖 세상이 하늘나라와 같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