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시 조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시조[편집]

時調

가곡과 같이 시조시를 얹어 부르는 성악형식의 하나. 가곡이 5장으로 구분되는 데 반하여 시조는 3장으로 구분하고 종장 끝의 3자를 생략한다. 가곡은 우조 및 계면조로 되었으나 시조는 계면조로만 되었고, 보다 간결하고 향토적인 가락으로 되었다. 장단은 5박과 8박을 섞어 치고 장고로 반주한다. 시조는 느려서 유유하고 한가한 느낌을 준다. 음악적인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또 지방에 따라 여러 향제(鄕制)가 있다.

시조의 연혁[편집]

時調-沿革

시조에 대한 최고 문헌은 조선 영조 때의 시인 신광수(申光洙)의 <관서악부(關西樂府)>에 "이세춘이 시조의 장단을 엮었다(初唱聞皆說太眞 至今如恨馬嵬塵一般時調挑長短 來自長安李世春)"는 기록이 가장 오래이고, 서유구(徐有渠)의 <유예지(遊藝志)> 및 이규경(李圭景)의 <구라철사금보(歐邏鐵絲琴譜)>라는 악보에 실린 것이 가장 오래이다. 시조는 가곡과 같이 평시조가 먼저 생겼고, 여기에서 변형된 지름시조·사설시조 등이 파생되었으며, 또 각 지방에 퍼져 완제·영제 등의 향제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시조의 종류[편집]

時調-種類

가곡이 이수대엽(二數大葉)에서 여러 가지 변형의 곡으로 파생되었듯이, 시조는 평시조에서 선율선(旋律線)을 변형시키거나 장단을 빨리 하여 사설을 촘촘히 엮음으로써 여러 가지 종류가 생겼다.

시조의 종류에는 평시조·중허리시조·지름시조·여창지름시조·엇시조·엇엮음시조(수잡가)·엮음시조(휘모리잡가) 등 여러 변형이 있다. 휘몰이잡가는 너무 속가형으로 변형되어 민속음악의 잡가로 친다.

평시조[편집]

平時調

시조의 한 종류. 모든 시조의 원형으로 머리를 평평하게 낸다 하여 평시조라 부른다. 따라서 '막내는 놈'이라고도 부른다. 평시조는 반드시 짧은 시조시로 부르며, 첫음을 중려(仲呂-Ab)로 낸다. 가락은 계면조에 속하며, 장단은 다음과 같이 친다.

초장 5박·8박·8박·5박·8박

중장 5박·8박·8박·5박·8박

종장 5박·8박·5박·8박

중허리시조[편집]

中擧時調

시조의 한 종류. 가곡의 중거와 같이 중허리, 즉 중간을 든다 하여 중거(中擧)라 하는데, 초장 외구(外句)를 청황종(淸黃鍾-eb)으로 드러낸다. 그 밖에는 장단·가락이 평시조와 같다. 중허리시조는 그다지 특징이 없으므로 별로 불리지 않는다.

지름시조[편집]

頭擧時調

시조의 한 종류. 보통 평지름시조(平擧時調) 혹은 남창(男娼) 지름시조라고 부른다. 가곡의 두거(頭擧)·삼수대엽(三數大葉)과 같이 머리를 높이 질러낸다 하여 지름 혹은 두거시조라고 하는데, 초장 머리를 청태주(靑太簇-f1)로 질러낸다. 청태주에서 청황종(eb)·임종(林鐘-Bb)을 거쳐 초장 끝에서 중려에 이른다. 장단은 평시조와 같다. 중장·종장은 평시조와 장단 및 가락이 똑같다. 지름시조는 보다 장엄하고 진지하다.

여창지름시조[편집]

女唱頭擧時調

시조의 한 종류. 지름시조, 즉 남창지름시조와 비슷하나, 첫머리를 청태주 높은 음으로 꼿꼿이 내지 않고, 여창(女唱)에 알맞게 첫머리는 중려로 평평하게 내다가 청황종으로 오른 다음 속청(假聲)을 써서 곱게 올려 청중려(淸仲呂-a

b)까지 올라갔다가 차츰 내려와 초장 끝에 중려로 머문다. 장단은 평시조와 같다.

엇시조[편집]

시조의 한 종류. 흔히 사설지름시조(辭說頭擧時調)라 한다. 가곡의 얼롱(言弄) 혹은 얼락(言樂)과 같이 앞 뒤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장단이 연장되기도 하는 형이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초장은 지름시조와 같고, 중장은 장단수가 많아지고, 종장은 평시조와 같은 형이다.

엇엮음시조(수잡가)[편집]

言編時調(首雜歌)

시조의 한 종류. 흔히 수잡가라 부르나 음악적 특징으로 보아 엇엮음시조로 부르는 것이다. 엇시조와 같은 앞뒤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장단이 연장되기도 하는 형태에 사설을 엮는 엮음시조 즉 휘모리잡가의 특징을 겸하였다.

그리하여 수잡가 및 엇엮음시조라 부른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초장은 지름시조 비슷하게 내고, 중장까지 6/8박자로 장단을 바꾸어 사설을 촘촘히 엮다가, 종장에서 평시조와 같이 느리게 부르는 형이다.

엮음시조·휘몰이잡가[편집]

編時調·-雜歌

형태상으로는 시조의 변형으로 되었으나, 분류상 잡가로 분류한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긴 사설을 빠른 장단으로 촘촘히 엮어 가다가, 끝에 가서 평시조 종장과 같이 느리게 부르는 형이다.

시조의 향제[편집]

時調-鄕制

시조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그 특징을 달리하는데, 경제(京制)·영제(嶺制)·완제(完制)·내포제(內浦制)가 있다. 향제는 모두 경제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완제[편집]

完制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시조의 제. 전주를 완산(完山)이라 하는 데서 완제라 한다.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불리고 있다. 음악적 형태는 영제와 같으나, 느낌이 부드럽고 감칠맛이 있다.

종장과 중장은 평시조와 장단 및 가락이 똑같다.

경제[편집]

京制

서울·경기도 지방에서 불리는 시조의 제·경조(京調)·경판이라고도 부른다. 시조의 중심이 서울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조는 경제를 가리킨다.

경제의 특징은 향제에 비하여 속청을 쓰고, 장단이 정비되고, 평시조·중허리시조·지름시조·여창지름시조·엇시조(수잡가)·엇엮음시조(휘몰이잡가) 등 여러가지 변형의 종류를 갖춘 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시조의 일반적인 특색을 말할 때는 경제 시조를 가리킨다.

영제[편집]

嶺制 경상도 지방에서 불리는 시조의 제. 영남지방의 시조라 하여 영제라 한다. 영제 시조에서 평시조는 경제의 것과 같고, 사설시조는 경제의 엮음시조, 즉 휘몰이잡가와 변주형이 같으나 장단이 좀 다르다.

내포제[편집]

內浦制

충청도 지방에서 불리는 시조의 제. 충청도 서북지방을 내포 지방이라 하는 데서 내포제라 한다.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불리고 있다. 음악적 형태는 영제와 같으나, 느낌이 청명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