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판소리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판소리의 뜻[편집]

판소리의 뜻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해석되고 있다. 하나는 판소리의 '판'은 놀이가 행해지는 장소 즉 연희장소(演戱場所)이고, '소리'는 노래이므로 판소리는 '판'에서 불리는 '소리', 즉 연희장소에서 부르는 소리라고 한다. 또 하나의 해석은 판소리의 '판'은 한마당 전(全)판이란 뜻이고, 판소리는 전판을 부르는 소리라 한다. 일반적으로 앞의 것을 찬성하는 이가 많다.

판소리[편집]

판소리는 한 사람이 서서 '소리(唱)'와 '아니리(白)'와 '발림(科)'을 섞어 가며 서사적인 긴 사설(辭說)을 연출하고, 한 사람은 앉아서 북장단 쳐서 소리에 반주를 하며 '추임새'로 흥을 돋운다. 소리하는 사람을 가리켜 예전에는 가객(歌客)·광대(廣大)·창우(倡優)라는 말을 쓰기도 했으나, 아직은 두루 쓰이는 말이 없다. 북 치는 이는 고수(鼓手)라고 불린다.

소리[편집]

唱 일정한 장단에 소리가락(旋律)으로 사설을 불러 나가는 것을 말한다. 가끔 '말조'로 부르기도 하나, 일정한 장단에 얹은 것은 아니리라 하지 않는다.

아니리[편집]

일정한 장단이 없이 자유 리듬으로 부르는 것을 말하며, 아니리에는 말(口語)로 하는 '말조 아니리'와 소리(唱-聲音)로 하는 '소리조 아니리'가 있다.

발림[편집]

科 소리하는 이가 소리의 가락에 따라 또는 판소리 사설의 극적 내용에 따라 몸짓으로 형용동작(形容動作: mime)하는 것을 말하며, 이와 비슷한 말로 '너름새' 혹은 '사체'라는 말이 쓰인다.

추임새[편집]

북 치는 이가 판소리 가락에 따라 '으이 좋지' '얼씨구' 하며 감탄사로 흥을 돋우는 것을 말한다.

판소리의 연혁[편집]

-沿革

신라 화랑도에 판소리의 근원을 대기도 하나,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적어도 조선 초기 연예 형태인 '판노름'에는 판소리의 원시형태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원시형태는 오늘날 '배뱅이굿' 또는 '장대장타령(狀大狀打令)'과 같이 아니리를 주로 짜고 토막소리를 간간이 끼우는 이른바 '아니리 광대'의 소리였을 것이다.

이것이 조선 중기 숙종 무렵에는 소리의 기능이 발달되기 시작하여 이른바 판소리 12마당이 성립되었고 우춘대(禹春大), 하은담(河殷潭), 권삼득(權三得), 송흥록(宋興綠) 등의 명창들이

쏟아져 나와 영조 이후에는 아니리보다 소리에 중점을 두는 음악적으로 세련된 '소리광대'의 소리로 발달되었고 민속놀이, 홍패고사, 토호, 수령방 및 어전의 축하연에서 관민(官民)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정조 순조 무렵에는 권삼득(權三得), 송흥록(宋興綠), 염계달(廉季達), 모흥갑(牟興甲), 신만엽(申萬葉) 등 이른바 8명창이 나오고, 지방에 따라 특징을 달리하는 동편제(東便制)·서편제(西便制)·중고제 등 유파가 생겼으며, 명창들이 자기 특제(特製)를 제작(制作-作曲)하여 많은 '더늠'이 생겼다. 즉 권삼득의 <제비가>, 송흥록의 <옥중가>, 염계달의

<십장가> 등이 그것이다. 철종·고종 초기에는 박유전(朴裕全)·박만순(朴萬順)·김세종·이날치(李捺致) 등 후기 8명창 시대로서, 판소리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무렵, 판소리 이론가 신재효(申在孝)가 판소리 이론 확립에 공이 많았고 또 사설을 많이 개작했으나, 그의 사설은 별로 불리지 못했다. 고종 말기에는 김창환(金昌煥), 송만갑(宋萬甲), 이동백(李東伯), 김창룡(金昌龍), 정정렬(丁貞烈) 등 5명창 시대로서, 이 때는 판소리 12마당이 도태되어 5마당으로 줄었다. 순종 시에는 원각사에서 창극(唱劇)이 시작되어, 판소리가 전환기에 접어들었다.

일정 때에는 젊은 명창들이 주로 창극 및 무대공연에 힘을 쓰게 되어 판소리는 쇠퇴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일반 국민의 국악에 대한 소외로 날로 전승이 어려워지고 있다.

판소리 12마당[편집]

조선 순종 이전에 불리던 12종의 판소리.

① 춘향가(春香歌)

② 심청가(沈淸歌)

③ 흥보가(興甫歌-박타령)

④ 수궁가(水宮歌-토별가)

⑤ 적벽가(赤壁歌-華容道-三國誌)

⑥ 변강쇠가(가루지기타령-송장가)

⑦ 배비장타령(裵裨將打令)

⑧ 장끼타령

⑨ 옹고집타령(壅固執打令)

⑩ 강릉매화가(江陵梅花歌)

⑪ 무숙이타령(武叔-日字打令)

⑫ 가짜신선타령(-神仙-)

가짜신선타령은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으로 바꿔 꼽기도 하는 것으로 봐서, 실제 판소리는 12종이 더 되었을 것이다. 이춘풍전(李春風傳)·두껍전 등도 판소리 사설로 보는 이도 있다. 판소리 12마당 가운데 ①②③④⑤는 지금 판소리로 불리고 있고, ⑥⑦⑧⑨는 사설만이 전하고, ⑩⑪⑫는 사설마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숙영낭자전은 고종 때의 명창 정정렬 제가 지금도 불리고 있다.

판소리 5마당[편집]

현재 불리고 있는 판소리 5종. ① 춘향가 ② 심청가 ③ 흥보가 ④ 수궁가 ⑤ 적벽가.

춘향가[편집]

春香歌

판소리 5마당 중의 하나. 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퇴기 월매의 딸 춘향이와 사랑하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봉건사회의 모순에서 인간성의 광복을 부르짖은 내용으로 국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며, 조선 말 서민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판소리 5마당 가운데서 규모도 크고, 음악적으로 가장 뛰어나다. ① 초앞(廳-초비두) ② 광한루 경치 ③ 책방 독서 ④ 백년가약 ⑤ 이별가 ⑥ 신연맞이 ⑦ 기생점고 ⑧ 십장가 ⑨ 옥중가 ⑪ 과거장 ⑫ 어사행장 ⑬ 춘향편지 ⑭ 봉사해몽 ⑮ 어사상봉

어사출두

종결.

춘향가의 초앞에서 사랑가까지는 우조(羽調)가 많고, 이별가에서는 계면조(界面調)가 많다. 춘향가에서 음악적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적성가(赤城歌)(우조-진양), 천자(千字)풀이(중중모리), 긴 사랑가(우조-진양), 이별가(계면·경드름-진양·중중모리·중모리), 옥중가(獄中歌)(계면-진양) 군노사령(軍奴使令)(설렁제-중중모리), 박석틔(우제-진양), 어사(御使)와 장모(계면·경드름-중중모리). 춘향가에 뛰어난 명창은 송흥록, 고수관, 박만순, 김세종, 장자백, 정정렬 등을 들 수 있다.

심청가[편집]

沈淸歌

판소리 5마당 중의 하나. 황주 도화동 땅에 심학규라는 맹인의 무남독녀 심청이가 부친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하여 공양미 삼백석에 몸이 팔려 인당수에 빠졌으나 옥황상제의 구원으로 환생(還生)하여 왕후가 되고 부친의 눈을 뜨게 한다는 효도에 얽힌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매우 처절한 대목이 많아서 계면조가 많고, 감정을 품고 퍼붓는 창법이 많다. 춘향가 다음으로 음악적인 진지한 예술성이 있다 하여 '작은춘향가'로 비유하기도 한다. ① 초앞 ② 심청 탄생 ③ 심청모 출상(出喪) ④ 밥 비는데 ⑤ 장승상 댁 ⑥ 공양미 삼백석 ⑦ 범피중유 ⑧ 인당수 ⑨ 용궁 ⑩ 심왕후 자탄가 ⑪ 뺑덕이네 ⑫ 황성길 ⑬ 부녀상봉.

심청가에서 음악적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다. 시비따러 가는데(우조-진양), 중타령(계면-엇모리), 범피중류(우조-계면), 인당수폭풍(계면-자진모리), 화초가(우조-중중모리), 추월만정(계면-진양)

심청가에 뛰어난 명창은 박유전, 김창록(金昌祿), 김채만(金采萬) 등을 들 수 있다.

흥보가[편집]

興甫歌

판소리 5마당 중의 하나. 마음씨 고운 가난한 아우 흥보는 제비 다리를 고쳐주고, 제비가 가져다 준 박씨를 심어 박통에서 금은보화를 얻고, 심술궂은 부자 형 놀보는 제비다리를 분지르고 박씨를 얻어 박통에서 나온 잡색들에게 재산을 뺏긴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우화적인 이야기로 해학적인 장면이 많아서 소리는 비교적 가볍다. 따라서 음악적인 진지한 예술성은 적은 편이다. 후반에서는 토속적인 잡가가 많이 나온다. ① 초앞 ② 놀보심술 ③ 흥보 쫓겨나는데 ④ 가난타령 ⑤ 매품 팔이 ⑥ 중 집터 잡다 ⑦ 제비 다리 고치다 ⑧ 제비 노정기 ⑨ 박타령 ⑩ 놀보 흥보집 가다 ⑪ 제비 몰러 가는데 ⑫ 놀보 박타령 ⑬ 잡색이 나온다.

흥보가에서 음악적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다. 가난타령(계면-중모리), 중 집터 잡는 대목(우조·석화제-진양·중중모리), 제비 노정기(중중모리), 박타령(계면-진양·자진모리·휘모리), 제비 몰러 나가는데(설렁제-중중모리). 흥보가에 뛰어난 명창은 권삼득, 김창환, 송만갑을 들 수 있다.

수궁가[편집]

水宮歌

판소리 5마당 중의 하나이다. 남해 용왕이 병이 들어 별주부(자라)를 시켜 토끼간을 구하러 토끼를 꾀어 왔으나, 토끼는 꾀를 내어 세상으로 빠져 나온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우화적인 이야기로 해학적인 장면이 많아서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경쾌하다. 판소리 중에서 가장 담백한 맛이 있다. ① 초압(廳) ② 용왕 와병 ③ 도사 진맥 ④ 토끼 화상 ⑤ 자라, 세상에 나오다 ⑥ 짐승들 자리다툼 ⑦ 자라 토끼 유인 ⑧ 토끼 용왕을 속이다 ⑨ 토끼 세상에 나오다 ⑩ 토끼 자라를 조롱하다.

수궁가에서 음악적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다.

약성가(藥性歌)(중중모리), 용왕탄식(진양), 토끼화상(평조-중중모리), 고고천변(중중모리), 팔란세계(자진중모리), 가자 어서 가자(우조·석화제-진양·중중모리).

수궁가에 뛰어난 명창은 신만엽, 송우룡(宋雨龍), 유성준(劉成俊)을 들 수 있다.

적벽가[편집]

赤壁歌

판소리 5마당 중의 하나이다. 공명이 손권을 책동하여 조조 군사를 적병강에서 화공(火攻)으로 격파했다. 조조는 패한 중에 구사일생으로 살아나는 중국고사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뛰어난 용장(勇將)들이 격돌하는 대목이 많아서 소리에 우조가 많고, 몹시 거세어서 소리하는 이의 목이 서슬이 좋고 폭이 크지 않으면 불러내기 힘들다. ① 초압(廳) ② 삼고초려 ③ 공명, 주유경동 ④ 조조 군사 사향가(思鄕歌) ⑤ 조조, 군사 조련 ⑥ 동남풍 빌다 ⑦ 자룡이 활 쏘는데 ⑧ 적벽대전 ⑨ 조조 도망하는데 ⑩ 화룡도이다.

적벽가에서 음악적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다. 삼고초려(우조-중모리), 고당상(高堂上)(계면조-진양), 자룡이 활 쏘는데(자진모리), 적벽강 불지르는데(계면-자진모리), 적벽 새타령(계면-중모리). 적벽가에 유명한 명창으로는 모흥갑, 방만춘, 박기홍, 이동백, 김창룡 등을 들 수 있다.

판소리 장단[편집]

-長短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은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엇중모리, 세마치 등이 쓰인다. 휘중모리, 단중모리, 닷모리 등의 장단 명칭이 보이나, 이것은 다른 장단의 변형이다.

진양[편집]

진양조라고 한다.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이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이다. 18/8박자로 적으면 메트로놈

30-50이 된다. 6박(拍)이 한 각(刻)이 되고, 4각이 모여 한 장단, 24박이 된다. 박은 다시 3분된다. 예를 들어 춘향가에서 적성가, 적벽가에서 고당상(高堂上) 등이다

중모리[편집]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이는 조금 느린 장단으로 12박이다. 12/8박자로 표기하면 메트로놈

=60-80이 된다. 12박이 한 장단이 된다. 치는 법은 12박으로 치며, 구음(口音)은 '쿵 궁 딱, 궁 딱

딱딱, 궁 궁 딱, 궁 웅궁'이 된다. 예를 들어 춘향가의 쑥대머리, 흥부가의 가난타령 등이다.

중중모리[편집]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이는 조금 빠른 장단으로 12박이다. 12/8로 적으면 메트로놈

=90-180이 된다. 12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 궁 딱, 궁 딱 딱, 궁 궁 딱, 궁 웅 궁'이 된다. 3분박자이다. 춘향가의 군노사령, 수궁가의 토끼화상에서 보여진다.

자진모리[편집]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이는 빠른 장단이며, 4박이다. 12/8박자로 적으면 메트로놈

=80-110이 된다. 4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 궁 궁딱 궁' 혹은 '쿵딱 궁땅 궁딱 궁딱'이 된다. 3분박자이다. 춘향가의 어사출도, 적벽가의 자룡이 활 쏘는 데에서 나타난다.

휘모리[편집]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이는 가장 빠른 장단으로 4박이다. 4/4박자로 적으면 메트로놈

=120-200이 된다. 4박 혹은 단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 궁 궁딱 궁'이다. 2분박으로 흥보가의 쏟아 놓고 돌아서서에서 보여진다.

엇모리[편집]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으로, 조금 빠른 장단이다. 10/8박자로 적으면 메트로놈

=180-210이 된다. 구음은 '쿵 궁딱 궁 딱딱'이 된다. 엇모리는 3분박과 2분박이 교차되는 (3·2·3·2) 혼합박자이다. 예를 들어 심청가의 중나려 온다, 수궁가의 수궁풍류 등에서 보여진다.

엇중모리[편집]

판소리에서 쓰이는 보통 속도의 장단으로 6박이다. 6/4박자로 적으면 메트로놈

=60-90이 된다. 6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 궁 딱 궁 딱 궁'이다. 대개 2분박이다. 춘향가 중에서 회동 서참판께서, 수궁가에서 이내 근본을 들으라 등에 나온다.

세마치[편집]

판소리에서 쓰이는 장단으로 자진 진양이다. 18/8로

적으며 메트로놈

=90-110이 된다. 세마치는 고제(古制) 판소리에서 볼 수 있다. 치는 법과 구음은 진양과 같다.

판소리의 조[편집]

-調

판소리에 쓰이는 조는 우조(羽調)·계면조(界面調)·평조(平調)·경드름(京調)·설렁제(덜렁제·드렁조)·석화제·추천목 등이 있다. 판소리에 쓰이는 조는 가락의 구성음(構成音)·가락형(旋律型) 및 악상(樂想) 표현방식에 따른 특징으로 결정된다.

우조[편집]

羽調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5음계(솔라도레미)가 주된 구성음이며, 변청에서는 다른 음도 나타난다. '도'로 종지되는 수가 많고, '솔'로 종지되기도 한다. 악상은 남성적, 영웅적이고, 꿋꿋하고 호탕하다. 춘향가의 적성가, 박석틔, 심청가의 범피중류, 적벽가의 삼고초려 등에서 보여진다.

계면조[편집]

界面調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미·라·시 3음계가 주된 구성음이고, 시(Si) 위에 레(Re)에서 도(Do)에 이르는 미분음(微分音)이 있어 시(Si)에 흘러내린다. 변청에서는 많은 다른 음들이 나타난다. 라(La)로 마치는 수가 많고, 미(Mi)로 마치기도 한다. 악상은 여성적이고, 한(恨)스럽고, 처절하고, 부드럽다. 춘향가 중에서 옥중가, 흥보가 중에서 가난타령, 심청가 중에서 추월만정, 적벽가 중에서 고당상에 나타난다.

평조[편집]

平調

정악에서는 평조라는 말을 많이 쓰나 판소리에서는 평조라는 말이 애매하다. 판소리에서 평조라고 지목되는 대목은 우조 대목 중에서 평으로 시작하는 대목이거나(예: 춘향가 중에서 긴사랑가) 중중모리로 화창하게 부르는 대목이다. 춘향가 중의 기산영수에서 보여진다. 판소리에서의 평조와 우조의 구별은 구성음 차이보다 가락형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경드름[편집]

京調·京制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순조 때 염계달이 제작했다. 5음계 솔·라·도·레·미로 구성되었고 솔로 마친다. 가락은 대개 위에서 순차적으로 내려오는 하행형이 많다. 악상은 경쾌하고 이색적이다. 경드름은 경기도 민속음악 조라는 뜻이며 경기도 창부타령조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춘향가 중에서 남원골 한량, 오냐 춘향아 울지 마라 등에서 보여진다.

설렁제·덜렁제[편집]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정조 때 권삼득이 제작했다. 5음계 솔·라·도·레·미로 구성되었고 라 혹은 솔로 마친다. 가락형은 라로 반복되는 지속음과 라에서 아래 라로 뛰는(라·미·라) 도약적(跳躍的) 가락이 많다. 악상은 경쾌하고 무사적(武士的)이고 거드럭거린다. 춘향가 중에서 군노사령, 흥보가 중에서 제비 후리러 나가는 데에서 보여진다.

석화제[편집]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판소리에 가야금 병창제와 같은 조를 석화제라 한다. 순조 때 김제철, 신만엽이 제작하였다. 석화제 대목은 평조대목 중에 중중모리 대목과 일치하기도 한다. 5음계 구성으로 도로 마친다. 악상은 화평스럽고 우아하고 경쾌하다. 수궁가 중에서 소지노화, 부엉이 허허 웃고에서 보여진다.

추천목[편집]

판소리에 쓰이는 조의 하나. 순조 때 염계달이 제작하였다. 5음계 구성으로 라로 마친다. 악상은 경쾌하고 구성지다. 춘향가 중에서 네그른 내력을 들어들 봐라, 자진 사랑가 등에서 보여진다.

판소리 유파[편집]

-流派 판소리 명창들의 출신지에 따라 창법, 조의 구성, 가락형의 차이에 의한 동편제·서편제·중고제의 세 유파로 나누어진다.

동편제[편집]

東便制

판소리 유파의 하나. 송흥록의 법제를 이어받은 유파로, 운봉(雲峰)·구례(求禮)·순창(淳昌)·흥덕(興德) 등지에서 성행하였다. 창법은 웅건(雄建)·청담(淸談)하고 발성초(發聲初) 극히 신중하며, 구절(句節)의 끝마침이 대단히 명확하며, 쇠망치로 내리치듯 한다. 우조에 장하다. 동편제 명창은 송흥록, 박만순, 김세종, 정춘풍, 김창록, 김찬업, 박기홍을 들 수 있다.

서편제[편집]

西便制

판소리 유파의 하나. 박유전의 법제를 이어받은 유파로, 광주(光州)·나주(羅州)·보성(寶城)·해남(海南) 등지에서 성행하였다. 창법은 유연애절(柔軟哀切)하고 소리가 맛있으며, 꼬리가 길다. 계면조에 장하다. 서편제 명창은 박유전, 이날치, 정창업, 김창환, 김채만 등을 들 수 있다.

중고제[편집]

中高制

판소리 유파의 하나. 염계달, 김성옥의 법제를 이어받은 유파로, 경기도 남부와 충청도에서 성행하였다. 창법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중간이며, 상하성(上下聲)이 분명하고 소리에 경드름이 진하다. 중고제 명창은 김성옥, 염계달, 모흥갑, 고소관, 김제철, 한송학(韓松鶴), 김석창(金碩昌), 김정근(金正根), 김창룡(金昌龍) 등을 들 수 있다.

강산제[편집]

江山制

판소리 유파의 하나. 강산제는 박유전의 정통 유파이므로 서편제의 한 갈래이다. 박유전의 거주지 보성에서 전승되어 온 유파이다. 창법은 서편제의 창법에 동편제의 웅건함과 중고제의 분명한 성음이 간직되었다. 강산제 명창은 박유전, 정재근(鄭在根), 정응민(鄭應珉) 등을 들 수 있다.

판소리 목과 성[편집]

-聲

판소리에서 부르는 이의 음질(音質), 창법 및 가락형에 따라 무슨 목, 무슨 성하고 이름지어 부른다. 대개 목은 가락형과 창법에 관계가 깊고, 성(聲)은 음질과 관계가 깊다.

노랑목[편집]

가볍게 발성하고 가락에 물을 들인다 하여 여러 가지 장식적인 맛을 들이는 것으로, 육자배기와 같은 가락장식이나 창법을 쓰는 것을 말하는데, 명창들은 이를 꺼리고 있다.

외가집목[편집]

어느 조에서 그 조의 일반적인 구성음이 아닌 음이 쓰이거나 일시적인 변청이 되는 것을 말한다.

수리성[편집]

좀 껄껄하고 쉰 듯하여 설득력이 강한 명창의 음질. 송만갑, 정정렬이 수리성이었다.

쇠옥성[편집]

금이나 옥을 굴리는 듯 맑은 소리를 말한다.

단가[편집]

短歌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소리하는 이의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를 말한다. 이것은 <이조가요집(李朝歌謠集)>에서 보이는 단가와는 다르다. 사설로 보아서는 가사(歌詞)나 잡가(雜歌)처럼 장가(長歌)에 들겠으나, 판소리라는 매우 긴 사설에 비하여 짧다는 뜻으로 단가라 부른다. 단가의 사설은 산천풍월(山川風月)이나 고사(故事)를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단가의 장단은 중모리가 거의 대부분이고(만고강산, 진국명산), 중중모리(고고천변)·엇중모리(사창화림풍)도 쓰인다. 단가의 장단은 원래 엇중모리로 쳤던 것이 중중모리로, 다시 중모리로 바뀌었다. 단가의 조(調)는 평우조(平羽調)로 부르는 것이 원칙이나, 계면(界面)을 섞어 부르기도 하고(김채만(金采萬) 제), 경드름으로 부르기도 한다(송만갑(宋萬甲) 제). 단가의 종류는 매우 많아서 4, 50종에 이르나, 요새 흔히 부르는 것을 추리면, 만고강산(萬古江山), 진국명산(鎭國名山), 고고천변(皐皐天邊), 죽장망혜(竹杖芒鞋), 운담풍경(雲談風輕), 강상풍월(江上風月), 불수빈(不須嚬), 홍문연가(鴻門宴歌), 백수한(白首恨), 편시춘(片時春), 장부한(丈夫恨), 호남가(湖南歌) 등을 들 수 있다. 단가는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서적음악(序的音樂)으로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담담하게 되어 있다. 소리하는 이가 단가에서 판소리 기교를 부리는 것은 법통이 아니라 한다.

진국명산[편집]

鎭國名山

단가의 하나. 송만재(宋晩載), 관우희(觀優戱)에게 보이고, 명창들의 일화에 인용되는 것으로 봐서 매우 오래된 단가라 하겠다. 이 사설은 서울 산세를 찬양하고, 군주(君主)의 만세태평과 백성의 격앙가를 노래한 송가이다. 이 사설은 가곡 편수대엽(歌曲編數大葉)에도 있고, 선소리나 무가(巫歌) 등 고요(古謠)에도 단편이 보인다. 군주시대에는 많이 불린 사설 같다. 장단은 중모리이고, 평우조로 부른다. 명창 송만갑(宋萬甲)이 잘 불렀던 매우 진지하고 씩씩한 단가이다.

운담풍경[편집]

雲淡風輕

단가의 하나. 이 단가를 운담풍경이라 함은 첫머리에 송나라 정명도(程明道)의 시 "운담풍경근오천(雲談風輕近午川), 방화수류과전천(訪花隨柳過前川)"을 인용한 때문이다. 이 단가는 근래 명창 김초향(金楚香)과 강태홍(姜太弘)의 합작이라는 설이 있는 만큼, 그리 오래된 단가는 아닌 것 같다. 장단은 중모리이고, 평우조로 부른다. 담담하고 화창한 단가이다.

호남가[편집]

湖南歌

단가의 하나. 함평·광주·제주·해남 등 호남지방 50여 지명을 넣어서 문장식으로 엮은 것이다. 이 사설은 순조 때의 이서구(李書九)가 지은 것이라고도 하고 모씨의 작이라고도 하여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근래 명창 임방울(林芳蔚)이 불러 널리 알려졌다. 장단은 중모리이고, 평조에 계면을 섞어 부른다. 서정적 단가이다.

백구가[편집]

白鷗歌

단가의 하나. 첫머리가 고요(古謠) 백구사(白鷗詞)와 같은 사설로 시작하고, 뒤에는 일반 단가와 같이 인생사를 노래한다. 요새는 부르는 이가 드물지만, 옛날에는 많이 불리었다 한다. 장단은 중모리, 평우조로 부르지만 명창 송만갑은 경드름을 섞어 불렀다. 담담하고 화창한 단가이다.

고고천변[편집]

皐皐天邊

단가의 하나. 판소리 수궁가의 한 대목에 이 노래가 불린다. 별주부가 용왕의 병을 고치고자 토끼간을 구하러 세상에 나왔다가 산천 경치에 찬탄하는 대목으로, 경기잡가 유산가(遊山歌)와 사설이 비슷하다. 순조시 명창 송흥록의 더늠 천봉만학가(千峯萬壑歌)와 비슷한 점으로 봐서 이 단가는 송흥록의 더늠이 내려온 것 같다. 장단은 중중모리이고 조는 평조로 부르는 이도 있고, 계면을 섞어 부르기도 한다. 많은 명창들이 애창하던 노래로, 명창 송만갑이 부른 것이 걸작이다. 매우 장쾌하고 발랄한 단가이다.

광대가[편집]

廣大歌

단가의 하나. 이것은 판소리의 이론가이며 후원자인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로서, 실제로 노래로 불리는 일은 거의 없지만, 판소리 이론에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음악적으로나 국문학적으로 귀중한 단가이다.

창극[편집]

唱劇

오페라와 같이 여러 사람이 배역을 분담하여 무대에서 연기를 하며, 판소리 가락으로 대본을 얹어 부르는 극음악이다. 국극(國劇)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는 순종 때 원각사(圓覺社)에서 판소리 사설과 가락을 두고 배역을 나누어 분창(分唱)을 하던 것이 후에 차차 연극에 가까워지고 창작 대본에 판소리조 가락으로 부르게 되면서 본격적인 창극이 시작되었다. 창극에는 판소리의 사설과 가락을 그대로 살려 부르는 판소리계 창극이 있고(예: 창극 춘향전, 창극 흥부가, 창극 적벽가), 대본을 새로 만들어 판소리 가락으로 얹어 부르는 창작 창극이 있다. (예: 장화홍련전, 만리장성, 해님달님). 광복 직후 배역을 여성만으로 구성한 이른바 여성국극단이 성행하였으나 1960년 이후에는 거의 쇠퇴하고 말았다.

<李 輔 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