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예기/대학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대학에서 넘어옴)

위대한 학문의 도

[편집]

0-1.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0-1. 위대한 학문의 길(道)은 (자신 내부에 본래부터 존재하는) 밝은 덕을 밝히는 것에 있으며, (백성들 각자 내부에 본래부터 존재하는 밝은 덕을 밝히는 것을 도와) 백성들을 새롭게 하는 것에 있으며, (모두가 자신 내부의 밝은 덕을 밝힌 상태인) 지극한 선(善)에 도달하여 머무는 것에 있다.

0-2.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0-2. 도달하여 그쳐야 할 곳을 안 뒤에야 (마음에 그 가야 할 목표를 향한) 결정함이 있게 되고, (마음에 그 가야 할 목표를) 결정함이 있은 뒤에야 (마음이) 고요해질 수 있고, (마음이) 고요해질 수 있은 뒤에야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고,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은 뒤에야 (마음이 깊이) 생각할 수 있으며, (마음이 깊이) 생각할 수 있은 뒤에야 (자신 내부에 있는 밝은 덕을 밝히는 것을) 성취할 수 있다.

0-3.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0-3. 사물(事物)에는 핵심(= 원인)과 지엽(= 결과)이 있으며 시작과 끝이 있다. 그러므로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안다면 (위대한 학문의) 도(道)에 가까워질 것이다.

0-4.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

0-4. 옛날에 밝은 덕을 온 세상에 밝히고자 하였던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먼저 하였으며, 자신의 나라를 다스리고자 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먼저 하였으며, 자신의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고자 했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닦는 것을 먼저 하였으며, 자기 자신을 닦고자 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을 먼저 하였으며,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고자 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의지를 진실되게 하는 일을 먼저 하였으며, 자신의 의지를 진실되게 하고자 했던 사람들은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에 대한) 자신의 앎을 지극하게 하는 것을 먼저 하였는데,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에 대한) 앎을 지극하게 하는 것은 (모든) 사물의 바른 자리를 궁구하는 것에 있(었으며 또한 지금도 그러하)다.

0-5.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修 身修而后家齊 家齊而后國治 國治而后天下平。

0-5. 사물의 바른 자리가 궁구되어진[격물] 이후에라야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에 대한) 자신의 앎이 지극해질 수 있으며[치지],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에 대한) 앎이 지극해진 이후에라야 자신의 의지가 진실해질 수 있으며[성의], 자신의 의지가 진실하게 되어진 이후에라야 자신의 마음이 바르게 되어질 수 있으며[정심], 자신의 마음이 바르게 되어진 이후에라야 자기 자신이 닦여질 수 있으며[수신], 자기 자신이 닦여진 이후에라야 집안이 가지런하게 될 수 있으며[제가], 집안이 가지런하게 된 이후에라야 나라가 다스려질 수 있으며[치국], 나라가 다스려진 이후에라야 온 세상이 평화롭게 되어질 수 있다[평천하].

0-6. 自天子以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為本。

0-6. 한 나라의 지도자(天子)로부터 일반 서민(庶人)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에게서 (격물 치지 성의 정심으로) 자기 자신을 닦는 것이 핵심적인 일이(며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나라가 다스려지고, 천하가 평화롭게 되는 것은 이 핵심을 두텁게 한 결과이)다.

0-7. 其本亂而末治者否矣 其所厚者薄 而其所薄者厚 未之有也。

0-7. 그 원인(= 핵심 = 자기 자신을 닦는 것)이 어지러운데 바른 결과(= 가지런한 집안, 다스려진 나라, 평화로운 천하)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없다. 두텁게 해야 할 것을 박하게 하고 박하게 해야 할 것을 두텁게 하(는데 바른 결과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강고편에서 말하길

[편집]

1-1. 康誥曰 克明德。

1-1. 서경(書經)의 강고(康誥)편에서는 "(주나라문왕께서는) 능히 덕을 밝히셨다"고 말하고 있다.

1-2. 太甲曰 顧諟天之明命。

1-2. 서경(書經)의 태갑상(太甲上)편에서는 "(상나라탕임금께서는) 이 하늘의 밝은 명령(明命)에 항상 자신의 눈을 두셨다"고 말하고 있다.

1-3. 帝典曰 克明峻德。

1-3. 서경(書經)의 요전(堯典)편에서는 "(요임금께서는) 능히 큰 덕을 밝히셨다"고 말하고 있다.

1-4. 皆自明也。

1-4. 이 말씀들은 모두 (옛 성현들께서 밝히신 것은 모든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기 자신(의 내부에 있는 밝은 덕)을 밝히신 것임을 말씀하신 것이다.

탕임금의 세수대야에

[편집]

2-1. 之盤銘曰 茍日新 日日新 又日新。

2-1. 탕임금의 세수대야에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다: "진실로 (밝은 덕을 밝혀 자기 자신을) 새로워지(게 하여 지극한 선에 도달하)고자 한다면 매일 매일 (밝은 덕을 밝혀 자기 자신을 더욱) 새롭게 하고 또 매일 (밝은 덕을 밝혀 자기 자신을 더욱) 새롭게 하라."

2-2. 康誥曰 作新民。

2-2. 서경(書經)의 강고(康誥)편에서는 (주나라무왕께서 제후인 자신의 동생 봉(封)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국민들을 북돋아서 (국민들이 자신들 내부의 밝은 덕을 밝혀 자기 자신을) 새로워지게 하라."

2-3. 周雖舊邦 其命惟新

2-3. 시경(詩經)의 대아 문왕(大雅 文王)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주나라가 비록 (건국된지는) 오래된 나라이지만 (하느님(上帝)으로부터 받은) 천명(天命)은 (그 실천과 밝혀짐이 매일) 새로울 뿐이다."

2-4. 是故君子無所不用其極。

2-4. 이렇기 때문에(= 천명을 실천하는 것 즉 밝은 덕을 완전히 밝혀 지극한 선에 이르는 것은 이와 같이 매일 매일 그리고 또 매일 밝은 덕으로 자기 자신을 새롭게 함에 의해서만 성취되는 것이기 때문에) 위대한 학문을 공부하는 사람(君子)은 (자신 내부의 밝은 덕을 밝히기 위해 매일 매일) 자신의 최대한의 노력을 성심으로 다하는 것이다.

나라의 땅 사방 천 리가

[편집]

3-1. 邦畿千里,惟民所止

3-1. 시경(詩經)의 상송 현조(商頌 玄鳥)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밝은 덕이 있는 조화롭고 평화로운) 나라의 땅 사방 천 리가 백성들(즉, 자신의 매일의 격물의 노력들)이 도달하여 머물러야 할 곳이다(즉, 가야 할 목표이자 비전이니 이 그쳐야 할 자리를 알아야 한다)."

3-2. 《詩》-{云}-:「緡蠻黃鳥,止于丘隅。」子曰:「於止,知其所止,可以人而不如鳥乎?」

3-3. 《詩》-{云}-:「穆穆文王,於緝熙敬止!」為人君,止於仁;為人臣,止於敬;為人子,止於孝;為人父,止於慈;與國人交,止於信。

3-4. 《詩》-{云}-:「瞻彼淇澳,菉竹猗猗。有斐君子,如切如磋,如琢如磨。瑟兮僴兮,赫兮喧兮。有斐君子,終不可諠兮!」「如切如磋」者,道學也;“如琢如磨”者,自修也;「瑟兮僴兮」者,恂栗也;「赫兮喧兮」者,威儀也;「有斐君子,終不可諠兮」者,道盛德至善,民之不能忘也。

3-5. 《詩》-{云}-:「於戲前王不忘!」君子賢其賢而親其親,小人樂其樂而利其利,此以沒世不忘也。



4-1. 子曰:「聽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無情者不得盡其辭,大畏民志。此謂知本。


5-1. 此謂知之至也。 이를 일컬어 앎이 지극하다는 것이다.


6-1. 所謂誠其意者,毋自欺也,如惡惡臭,如好好色,此之謂自謙,故君子必慎其獨也!

6-2. 小人閒居為不善,無所不至,見君子而後厭然,掩其不善,而著其善。人之視己,如見其肺肝然,則何益矣!此謂誠於中,形於外,故君子必慎其獨也。

6-3. 曾子曰:「十目所視,十手所指,其嚴乎!」

6-4. 富潤屋,德潤身,心廣體胖,故君子必誠其意。


7-1. 所謂修身在正其心者:身有所忿懥,則不得其正;有所恐懼,則不得其正;有所好樂,則不得其正;有所憂患,則不得其正。

7-2. 心不在焉,視而不見,聽而不聞,食而不知其味。

7-3. 此謂修身在正其心。


8-1.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人之其所親愛而辟焉,之其所賤惡而辟焉,之其所畏敬而辟焉,之其所哀矜而辟焉,之其所敖惰而辟焉。故好而知其惡,惡而知其美者,天下鮮矣!

8-2. 故諺有之曰:「人莫知其子之惡,莫知其苗之碩。」

8-3. 此謂身不修不可以齊其家。


9-1. 所謂治國必先齊其家者,其家不可教而能教人者,無之。故君子不出家而成教於國:孝者,所以事君也;弟者,所以事長也;慈者,所以使眾也。

9-2. 《康誥》曰:「如保赤子」,心誠求之,雖不中不遠矣。未有學養子而後嫁者也!

9-3. 一家仁,一國興仁;一家讓,一國興讓;一人貪戾,一國作亂。其機如此。此謂一言僨事,一人定國。

9-4. 堯、舜率天下以仁,而民從之;桀、紂率天下以暴,而民從之。其所令反其所好,而民不從。是故君子有諸己而後求諸人,無諸己而後非諸人。所藏乎身不恕,而能喻諸人者,未之有也。

9-5. 故治國在齊其家。

9-6. 《詩》-{云}-:「桃之夭夭,其葉蓁蓁;之子-{于}-歸,宜其家人。」宜其家人,而後可以教國人。

9-7. 《詩》云:「宜兄宜弟。」宜兄宜弟,而後可以教國人。

9-8. 《詩》-{云}-:「其儀不忒,正是四國。」其為父子兄弟足法,而後民法之也。

9-9. 此謂治國在齊其家。



10-1. 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

10-2. 所惡於上,毋以使下;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所惡於後,毋以從前;所惡於右,毋以交於左;所惡於左,毋以交於右。此之謂絜矩之道。

10-3. 《詩》-{云}-:「樂只君子,民之父母。」民之所好好之,民之所惡惡之,此之謂民之父母。

10-4. 《詩》-{云}-:「節彼南山,維石巖巖。赫赫師尹,民具爾瞻。」有國者不可以不慎,辟則為天下戮矣。

10-5. 《詩》-{云}-:「殷之未喪師,克配上帝。儀監于殷,峻命不易。」道得眾則得國,失眾則失國。

10-6. 是故君子先慎乎德。有德此有人,有人此有土,有土此有財,有財此有用。

10-7. 德者本也,財者末也,

10-8. 外本內末,爭民施奪。

10-9. 是故財聚則民散,財散刖民聚。

10-10. 是故言悖而出者,亦悖而入;貨悖而入者,亦悖而出。

10-11. 《康誥》曰:「惟命不于常!」道善則得之,不善則失之矣。

10-12. 楚書曰:「楚國無以為寶,惟善以為寶。」

10-13. 舅犯曰:「亡人無以為寶,仁親以為寶。」

10-14. 《秦誓》曰:「若有一介臣,斷斷兮無他技,其心休休焉,其如有容焉。人之有技,若己有之;人之彥聖,其心好之,不啻若自其口出。實能容之,以能保我子孫黎民,尚亦有利哉!人之有技,媢嫉以惡之;人之彥聖,而違之俾不通。實不能容,以不能保我子孫黎民,亦曰殆哉!」

10-15. 唯仁人放流之,迸諸四夷,不與同中國,此謂唯仁人為能愛人,能惡人。

10-16. 見賢而不能舉,舉而不能先,命也;見不善而不能退,退而不能遠,過也。

10-17. 好人之所惡,惡人之所好,是謂拂人之性,菑必逮夫身。

10-18. 是故君子有大道,必忠信以得之,驕泰以失之。

10-19. 生財有大道。生之者眾,食之者寡,為之者疾,用之者舒,則財恒足矣。

10-20. 仁者以財發身,不仁者以身發財。

10-21. 未有上好仁而下不好義者也,未有好義其事不終者也,未有府庫財非其財者也。

10-22. 孟獻子曰:「畜馬乘,不察於雞豚;伐冰之家,不畜牛羊;百乘之家,不畜聚斂之臣。與其有聚斂之臣,寧有盜臣。」此謂國不以利為利,以義為利也。

10-23. 長國家而務財用者,必自小人矣。彼為善之,小人之使為國家,菑害竝至。雖有善者,亦無如之何矣!此謂國不以利為利,以義為利也。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