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중간본/권1/섭뇌양
- 聶耒陽이 以僕의 阻水로 書致酒肉ᄒᆞ야 療飢荒江ᄒᆞ야ᄂᆞᆯ 詩得代懷ᄒᆞ야 興盡本韻ᄒᆞ야 至縣呈聶令ᄒᆞ노라 陸路ᄂᆞᆫ 去方田驛四十里오 舟行一日이니 時屬江漲ᄒᆞ야 泊于方田호라
耒陽馳尺素 見訪荒江渺 【尺素ᄂᆞᆫ 書也ㅣ라 ○ 耒陽이 글워ᄅᆞᆯ ᄃᆞᆯ여 거츤 므리 아ᄋᆞ라ᄒᆞᆫᄃᆡ 訪問호ᄆᆞᆯ 뵈ᄂᆞ다】
義士烈女家 風流吾賢紹 【어딘 士와 貞烈ᄒᆞᆫ 겨지븨 家門이로소니 뎌의 遺風ᄋᆞᆯ 그ᄃᆡ 니엣도다】
昨見狄相孫 許公人倫表 【狄相孫ᄋᆞᆫ 狄仁傑ᄋᆡ 孫兼謩ㅣ라 ○ 어제 狄相公ᄋᆡ 孫子ᄅᆞᆯ 보니 그ᄃᆡᄅᆞᆯ 人倫ㅅ 儀表이라 許ᄒᆞ더라】
前期翰林後 屈跡縣邑小 【前朝ㅅ 翰林의 後孫이로소니 죠고맛 ᄀᆞ올ᄒᆡ 자최ᄅᆞᆯ 구펴왯도다】
知我礙湍濤 半旬獲浩溔 【溔ᄂᆞᆫ 大水貌ㅣ라 ○ 내ᄋᆡ 믌겨레 ᄀᆞ리여 半旬ᄋᆞᆯ 한 믈 어더 이쇼ᄆᆞᆯ 아도다】
麾下殺元戎 湖邊有飛旐 【殺元戎ᄋᆞᆫ 卽上애 臧玠殺崔瓘이라 ○ 麾下ㅣ 元戎을 주기니 믌ᄀᆞ애 ᄂᆞᆯ이ᄂᆞᆫ 銘旌이 잇도다】
孤舟增鬱鬱 僻路殊悄悄 側驚猿猱捷 仰羨鸛鶴矯 【此四句ᄂᆞᆫ 言水漲不得去故로 鬱鬱悄悄而恨不如猿猱鸛鶴也ㅣ라 ○ 외로왼 ᄇᆡ예셔 더욱 답답ᄒᆞ고 幽僻ᄒᆞᆫ 길헤 ᄀᆞ장 시름호라 나ᄇᆡ ᄂᆞᆯ내 ᄃᆞ로ᄆᆞᆯ 기우시 놀라고 鸛鶴ᄋᆡ 노피 ᄂᆞ로ᄆᆞᆯ 울워러 부노라】
禮過宰肥羊 愁當置淸醥 【날 對接ᄒᆞ논 禮ᄂᆞᆫ ᄉᆞᆯ진 羊 자보ᄆᆞᆯ 너무 ᄒᆞᄂᆞ니 내 시ᄅᆞᆷ 잇거든 ᄆᆞᆯᄀᆞᆫ 수를 두고 머구믈 當ᄒᆞ노라】
人非西喩蜀 興在北坑趙 【喩蜀ᄋᆞᆫ 漢武時예 巴蜀이 亂커ᄂᆞᆯ 相如ㅣ 作檄ᄒᆞ야 以喩ᄒᆞ니라 坑趙ᄂᆞᆫ 白起坑殺趙卒四萬人ᄒᆞ니라 此ᄂᆞᆫ 言臧玠之徒ᄂᆞᆫ 不可以言喩ㅣ니 宜悉坑之也ㅣ니라 ○ 뎌 사ᄅᆞᄆᆞᆫ 西ㅅ녀크로 蜀 알외ᄃᆞᆺ 몯ᄒᆞ리로소니 내 興ᄋᆞᆫ 北녀크로 趙卒ᄋᆞᆯ 坑殺ᄐᆞᆺ 호매 이쇼라】
方行郴岸靜 未話長沙擾 【郴州ㅅ 江岸이 安靜ᄒᆞᆫ ᄃᆡ 뵈야ᄒᆞ로 녀논디라 長沙ᄋᆡ 擾亂호ᄆᆞᆯ 니ᄅᆞ디 아니ᄒᆞ노라】
崔師乞已至 澧卒用矜少 【崔侍御의 軍師ㅣ 비러 ᄒᆞ마 오ᄂᆞ니 澧州ㅅ 士卒ᄋᆞᆫ ᄡᅳ메 저거도 矜誇ᄒᆞ얌직 ᄒᆞ니라】
問罪消息眞 開顏憩亭沼 【此ᄂᆞᆫ 謂喜叛徒之將擒ᄒᆞ야 得以開顏而憩也ㅣ라 ○ 罪 묻논 消息이 올ᄒᆞᆯᄉᆡ 우움 웃고 亭沼애셔 쉬노라】
저작권
[편집]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