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중간본/권1/차만주
보이기
- 次晩洲
參錯雲石稠 坡陀風濤壯 【坡陀ᄂᆞᆫ 高大貌ㅣ라 ○ 섯겟ᄂᆞᆫ 구름 ᄭᅵᆫ 돌히 하고 놉고 큰 ᄇᆞᄅᆞ맷 믌겨리 壯ᄒᆞ도다】
晩洲適知名 秀色固異狀 【異狀ᄋᆞᆫ 言其狀ㅣ 不一이라 ○ 晩洲ᄅᆞᆯ 마초아 일후믈 아로니 됴ᄒᆞᆫ 비치 진실로 形狀이 다ᄅᆞ도다】
棹經垂猿把 身在度鳥上 【垂猿把ᄂᆞᆫ 猿이 把樹枝而垂也ㅣ라 度鳥上ᄋᆞᆫ 言水漲而船行ㅣ 高也ㅣ라 ○ ᄇᆡᆺ ᄇᆡᄎᆞᆫ 남ᄀᆞᆯ 자바 드리옛ᄂᆞᆫ 나ᄇᆡ 서리로 디나가고 모ᄆᆞᆫ 디나가ᄂᆞᆫ 새 우희 이쇼라】
擺浪散帙妨 危沙折花當 【擺ᄂᆞᆫ 振也ㅣ라 花當ᄋᆞᆫ 花根이라 ○ 들잇ᄂᆞᆫ 믌겨렏 ᄇᆡ예 헤톗ᄂᆞᆫ 書帙이 妨害코 믈어디ᄂᆞᆫ 몰애옌 곳 불휘 것거뎻도다】
羈離暫愉悅 羸老反惆悵 【暫愉悅ᄋᆞᆫ 次晩洲而賞佳景이오 反惆悵ᄋᆞᆫ 歎行路之辛苦ㅣ라 ○ 나그내로 艱難히 ᄃᆞᆫ뇨매 자ᇝ간 즐겨ᄒᆞ고 시드럽고 늘고매 도ᄅᆞ혀 슬허ᄒᆞ노라】
中原未解兵 吾得終疏放 【此二句ᄂᆞᆫ 言時尙亂離ᄒᆞ니 豈得終疎放而不憂悶且流落乎ㅣ리오 ○ 中原에 ᄉᆞᆫᄌᆡ 兵亂이 解散티 몯ᄒᆞ얏ᄂᆞ니 내 시러곰 내죵내 疎放ᄒᆞ야리아】
저작권
[편집]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