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중간본/권2
보이기
기행(紀行) 하(下)
[편집]율시(律詩)
[편집]- 거촉(去蜀)
- 한별(恨別)
- 유자(遊子)
- 행차염정현(行次鹽亭縣)
- 자낭주(自閬州)
- 유주후엄육시어(渝州候嚴六侍御)
- 선과기주곽숙(船過夔州郭宿)
- 대력삼년춘(大曆三年春)
- 방선(放船)
- 산관(山館)
- 회도(回棹)
- 행차고성점(行次古城店)
- 주중출강릉(舟中出江陵)
- 효발공안(曉發公安)
- 박악양성하(泊岳陽城下)
- 남선고풍(纜船苦風)
- 과남옥입동정호(過南嶽入洞庭湖)
- 숙청초호(宿靑草湖)
- 숙백사역(宿白沙驛)
- 야망(野望)
- 입교구(入喬口)
- 동관저수풍(銅官渚守風)
- 북풍(北風)
- 발담주(發潭州)
- 쌍풍포(雙楓浦)
- 등주장적한양(登舟將適漢陽)
- 주중(舟中)
- 남정(南征)
- 구객(久客)
- 원유(遠遊)
- 객야(客夜)
- 객정(客亭)
- 만행구호(晩行口號)
- 지우(地隅)
- 과동정(過洞庭)
술회(述懷) 상(上)
[편집]- 술회(述懷)
- 자경부봉선현영회(自京赴奉先縣詠懷)
- 장유(壯遊)
- 견회(遣懷)
- 상수견회(上水遣懷)
- 주중고열견회(舟中苦熱遣懷)
- 영회(詠懷)
- 사회(寫懷)
- 견우(遣遇)
- 석민(釋悶)
- 해우(解憂)
- 병적(屛跡)
- 도난(逃難)
- 강촌(羌村)
- 견흥(遣興)
- 견흥5수(遣興五首)
저작권
[편집]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