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 (중간본)/권3/술고
- 述古 三首
赤驥頓長纓 非無萬里姿 【赤驥ᄂᆞᆫ 周穆王ㅅ 八駿之一이라 ○ 赤驥ㅣ 긴 노히 눌러 ᄆᆡ여 이시나 萬里ᄅᆞᆯ 갈 姿質이 업순디 아니니라】
悲鳴淚至地 爲問馭者誰 【슬허 우러 누ᇇ므리 ᄯᅡ해 니르ᄂᆞ니 爲ᄒᆞ야 묻노라 ᄐᆞ리ᄂᆞᆫ 누고】
鳳凰從天來 何意復高飛 【鳳凰이 하ᄂᆞᆯ로브터셔 오니 어느 ᄆᆞᄋᆞᄆᆞ로 다시 노피 ᄂᆞᆯ리오】
竹花不結實 念子忍朝饑 【子ᄂᆞᆫ 指鳳凰ᄒᆞ다 ○ 댓 고지 여르미 ᄆᆡᆺ디 아니ᄒᆞ니 네의 아ᄎᆞᆷ 주으륨 ᄎᆞ모ᄆᆞᆯ 思念ᄒᆞ노라】
古時君臣合 可以物理推 賢人識定分 進退固其宜 【此篇ᄋᆞᆫ 言驥不遇伯樂이면 必困於長纓ᄒᆞ며 鳳不得竹實이면 必困於飢餒ㅣ니 比君子ㅣ 不逢明主이면 必至窮約ᄒᆞ니 故로 君臣遇合ᄋᆞᆯ 可以物理로 推明ᄒᆞ야 進退ᄅᆞᆯ 合於義니라 ○ 녯 ᄢᅴᆺ 님금과 臣下ㅣ 相合호ᄆᆞᆯ 可히 物理로ᄡᆡ 推明이니 어딘 사ᄅᆞᆷᄆᆞᆫ 定分ᄋᆞᆯ 아라 進退호ᄆᆞᆯ 진실로 맛당히 ᄒᆞᄂᆞ니라】
市人日中集 於利競錐刀 置膏烈火上 哀哀自煎熬 【錐刀之末ᄋᆞᆫ 喩至所也ㅣ라 ○ 져젯 사ᄅᆞ미 나ᄌᆡ 모다 利欲애 錐刀ᄅᆞᆯ ᄃᆞ토ᄂᆞ니 기르믈 븓ᄂᆞᆫ 블 우희 노ᄒᆞ니 슬피 제 글탈ᄂᆞᆫ ᄃᆞᆺ도다】
農人望歲稔 相率除蓬蒿 所務穀爲本 邪贏無乃勞 【邪贏ᄋᆞᆫ 邪僞餘利也ㅣ라 ○ 녀름지을 사ᄅᆞᆷᄆᆞᆫ ᄒᆡ 穀食 니고ᄆᆞᆯ ᄇᆞ라셔 서르 더브러 기으믈 더ᄂᆞ니 힘ᄡᅳᄂᆞᆫ 바ᄂᆞᆫ 穀食ᄋᆞᆯ 읏듬 삼ᄂᆞ니 邪僞히 나ᄆᆞᆫ 利를 어두미 아니 ᄀᆞᆺᄇᆞ녀】
舜擧十六相 身尊道何高 秦時任商鞅 法令如牛毛 【如牛毛ᄂᆞᆫ 喩多也ㅣ라 此篇ᄂᆞᆫ 欲時君ᄋᆡ 敦本抑末ᄒᆞ니 言市人ᄋᆡ 逐末而爭利ᄂᆞᆫ 如膏火相煎이오 農人ᄋᆞᆫ 力穡ᄒᆞ야 竟至有秋ᄒᆞᄂᆞ니 舜이 任賢而天下ㅣ 治ᄒᆞ니 此ᄂᆞᆫ 敦本之效이오 秦ᄋᆞᆫ 尙法而亂ᄒᆞ니 此ㅣ 逐末之所致也ㅣ라 ○ 舜ᄋᆞᆫ 열여슷 도올 사ᄅᆞᆷᄆᆞᆯ 드러 ᄡᅳ니 모미 尊ᄒᆞ고 道理 ᄌᆞ모 놉고 秦ㅅ 時節에 商鞅ᄋᆞᆯ 브리니 法令이 ᄉᆈ터리ᄀᆞ티 하니라】
漢光得天下 祚永固有開 【漢ㅅ 光武ㅣ 天下ᄅᆞᆯ 어드시니 國祚ᄋᆡ 기로미 진실로 여러 내요미 잇ᄂᆞ니】
豈惟高祖聖 功自蕭曹來 【엇뎨 ᄒᆞᆫ갓 高祖ㅅ 聖德 ᄲᅮ니리오 功이 蕭何 曹參의 도오모로브터 오니라】
經綸中興業 何代無良才 【다시 니ᄅᆞ왇ᄂᆞᆫ 王業 다ᄉᆞ료미 어느 代예 어딘 ᄌᆡ죄 업스리오】
吾慕寇鄧勳 濟時信良哉 【나ᄂᆞᆫ 寇恂鄧禹의 功ᄋᆞᆯ 思慕ᄒᆞ노니 時節 거리츄믈 眞實로 잘 ᄒᆞ니라】
耿賈亦宗臣 羽翼共徘徊 【羽翼ᄋᆞᆫ 猶輔佐ㅣ라 ○ 耿弇 賈復이 ᄯᅩ 큰 臣下ㅣ니 도와 다ᄆᆞᆺ 머므니라】
休運終四百 圖畵在雲臺 【此篇ᄂᆞᆫ 言漢祚之永이 皆由蕭曹㓂鄧諸人의 相與輔佐而亦各圖形雲臺ᄒᆞ니 傷今諸將之不如也ㅣ니라 ○ 나랏 죠ᄒᆞᆫ 運이 四百年에 ᄆᆞᄎᆞ니 진양이 그리여 雲臺예 잇도다】
저작권
[편집]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