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륜가 (박인로)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오륜가(五倫歌)
저자: 박인로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꼴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일부 문자가 깨진 글자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父子有親(부자유친)

[편집]

아비ᄂᆞᆫ 나ᄋᆞ시고 어미ᄂᆞᆫ 치옵시니
昊天罔極(호천망극)이라 갑흘 길이 어려우니
大舜(대순)의 終身誠孝(종신성효)도 못다한가 ᄒᆞ노라

人生(인생) 百歲中(백세중)에 疾病(질병)이 다 이시니
父母(부모)를 섬기다 몃 ᄒᆡ를 섬길넌고
아마도 못다ᄒᆞᆯ 誠孝(성효)를 일즉 벼퍼 보렷로라

父母(부모) 섬기기를 至誠(지성)으로 셤기리라
鷄鳴(계명)에 盥漱(관수)ᄒᆞ고 燠寒(욱한)을 믓ᄌᆞ오며
날마다 侍側奉養(시측봉양)을 沒身不衰(몰신불쇠) ᄒᆞ오리라

世上(세상) 사ᄅᆞᆷ들아 父母(부모) 恩德(은덕) 아ᄂᆞ산다
父母(부모) 곳 아니면 이 몸이 이실 소냐
生死葬祭(생사장제)예 禮(예)로ᄡᅥ 終始(종시) 갓게 섬겨서라

三千(삼천) 罪惡中(죄악중)에 不孝(불효)애 더니 업다
夫子(부자)의 이 말ᄉᆞᆷ 萬古(만고)애 大法(대법) 삼아
아모려 下愚不移(하우불이)도 밋처 알게 ᄒᆞ렷로라

君臣有義(군신유의)

[편집]

聖恩(성은)이 罔極(망극)ᄒᆞᆫ 줄 사ᄅᆞᆷ들아 아ᄂᆞᄉᆞᆫ다
聖恩(성은) 곳 안니면 萬民(만민)이 살로소냐
이 몸은 罔極(망극)ᄒᆞᆫ 聖恩(성은)을 갑고 말려 ᄒᆞ노라

稷契(직계)도 안닌 몸애 聖恩(성은)도 罔極(망극)ᄒᆞᆯ샤
百(백)번을 죽어도 갑흘 닐이 업것마ᄂᆞᆫ
窮達(궁달)이 길이 달나 못 뫼압고 설웟로라

사ᄅᆞᆷ 삼기실제 君父(군부) 갓게 삼겨시니
君父(군부)ㅣ 一致(일치)라 輕重(경중)을 두로소냐
이 몸은 忠孝(충효) 두 사이예 늘글 주를 모ᄅᆞ로라

深山(심산)의 밤이 드니 北風(북풍)이 더옥 차다
玉樓高處(옥루고처)에도 이 ᄇᆞᄅᆞᆷ 부ᄂᆞᆫ게오
긴 밤의 치우신가 北斗(북두) 비겨 바ᄅᆡ로라

이 몸이 죽은 後(후)에 忠誠(충성)이 넉시 되야
놉히놉히 ᄂᆞ라 올라 閶闔(창합)을 블너 열고
上帝(상제)ᄭᅴ 우리 聖主(성주)를 壽萬歲(수만세)케 비로리라

夫婦有別(부부유별)

[편집]

夫婦(부부)ㅣ 이신 後(후)에 父子兄弟(부자형제) 삼겨시니
夫婦(부부) 곳 아니면 五倫(오륜)이 가즐 소냐
이 中(중)에 生民(생민)이 비롯ᄒᆞ니 夫婦(부부) 크다 ᄒᆞ로라

사람 내실 적의 夫婦(부부) ᄀᆞᆺ게 삼겨시니
天定配匹(천정배필)이라 夫婦(부부)ᄀᆞᆺ치 重(중)ᄒᆞᆯ 소나
百年(백년)을 아적 삼아 如鼓瑟琴(여고슬금) ᄒᆞ렷로라

夫婦(부부)을 重(중)타 ᄒᆞᆫᄃᆞᆯ 情(정)만 重(중)케 가질 것가
禮別(예별) 업시 居處(거처)ᄒᆞ며 恭敬(공경) 업시 조ᄒᆞᆯ 소냐
一生(일생)애 敬待如賓(경대여빈)을 冀缺(기결)갓치 ᄒᆞ오리라

夫婦(부부) 삼길 적의 하重(중)케 삼겨시니
夫唱婦隨(부창부수)ᄒᆞ야 一家天地(일가천지) 和(화)ᄒᆞ리라
날마다 擧顏齊眉(거안제미)을 孟光(맹광)ᄀᆞᆺ게 ᄒᆞ여라

남으로 삼긴 거시 夫婦(부부)ᄀᆞᆺ치 重(중)ᄒᆞᆯ넌가
사ᄅᆞᆷ의 百福(백복)이 夫婦(부부)에 가잣거든
이리 重(중)ᄒᆞᆫ ᄉᆞ이에 아니 和(화)코 엇지 ᄒᆞ리

兄弟有愛(형제유애)

[편집]

兄弟(형제) 내실 적의 同氣(동기)로 삼겨시니
骨肉至親(골육지친)이 兄弟(형제)ᄀᆞᆺ치 重(중)ᄒᆞᆯ넌가
一生(일생)애 友愛之情(우애지정)을 ᄒᆞᆫ 몸 ᄀᆞᆺ치 ᄒᆞ리라

爭財(쟁재)예 失性(실성)ᄒᆞ야 同氣不睦(동기불목) 마라ᄉᆞ라
田地(전지)와 奴婢(노비)ᄂᆞᆫ 갑슬 주면 살련이와
아모려 萬金(만금)인들 兄弟(형제) 살 ᄃᆡ 잇ᄂᆞ냐

友愛(우애)를 尤篤(우독)ᄒᆞ야 百年(백년)을 ᄒᆞᆫᄐᆡ 살며
ᄒᆞᆫ 옷 ᄒᆞᆫ 밥을 논하 닙고 논하 먹고
白髮(백발)애 아뮈 줄 모ᄅᆞ도록 ᄒᆞᆷ긔 늘쟈 ᄒᆞ노라

同氣(동기)로 셋 몸 되야 ᄒᆞᆫ 몸 가치 지ᄂᆡ다가
두 아은 어ᄃᆡ 가셔 도라올 줄 모ᄅᆞᄂᆞᆫ고
날마다 夕陽門外(석양문외)예 한숨 계워 ᄒᆞ노라

友愛(우애) 깁흔 ᄯᅳ지 表裏(표리) 업시 ᄒᆞᆫ ᄯᅳᆺ 되야
이 中(중)에 和兄弟(화형제)를 우린가 너겨ᄯᅥᄂᆡ
엇지라 白首隻鴈(백수척안)이 혼자 울 줄 알리오

朋友有信(붕우유신)

[편집]

벗을 사괼딘ᄃᆡᆫ 有信(유신)케 사괴리라
信(신) 업시 사괴며 恭敬(공경) 업시 지ᄂᆡᆯ소냐
一生(일생)애 久而敬之(구이경지)을 始終(시종) 업게 ᄒᆞ오리라

言忠行篤(언충행독)ᄒᆞ고 벗 사고기 삼가오면
내 몸애 辱(욕) 업고 외다 ᄒᆞ리 적거이와
진실로 삼가지 못ᄒᆞ면 辱及其親(욕급기친) ᄒᆞ오리라

三章(3장) 缺(결)

總論(총론)

[편집]

天地間(천지간) 萬物中(만물중)에 사ᄅᆞᆷ이 最貴(최귀)ᄒᆞ니
最貴(최귀)ᄒᆞᆫ 바ᄂᆞᆫ 五倫(오륜)이 아니온가
사ᄅᆞᆷ이 五倫(오륜)을 모ᄅᆞ면 不遠禽獸(불원금수)ᄒᆞ리라

幸茲秉彝心(행자병이심)이 古今(고금) 업시 다 이실ᄉᆡ
爰輯舊聞(원집구문)ᄒᆞ야 二三篇(이삼편) 지어시니
嗟哉(차재) 後生(후생)들아 살펴보고 힘서 ᄒᆞ라

仔細(자세)히 살펴보면 뉘 아니 感激(감격)ᄒᆞ리
文字(문자)ᄂᆞᆫ 拙(졸)ᄒᆞ되 誠敬(성경)을 삭여시니
진실로 熟讀詳味(숙독상미)ᄒᆞ면 不無一助(불무일조)ᄒᆞ리라

저작권

[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미국을 포함하여 저자가 사망한 후 10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저작물이 미국에서도 자유 라이선스 또는 퍼블릭 도메인인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여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