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저작권 토론
저작권 토론 |
이 문서는 위키문헌의 저작권 정책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이는 문헌에 관하여 논의하는 장소입니다. 논의에 앞서 위키문헌의 서버는 물리적으로 미국에 위치하여 있다는 특징으로 미국의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음을 기억해 주십시오. 이미 진행 중인 논의에 참여하는 것과 새 논의를 시작하는 것 모두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명백하게 저작권을 침해하는 문서의 경우 이 문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키미디어 재단을 법적 책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저작권 상태에 관해 상당한 의심이 있는 경우는 바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토론 문서에 주제를 추가할 때는 해당 문서에 |
![]() | 이 토론의 전부 혹은 일부는 틀토론:세계법제정보센터#저작권 문제에서 가져왔습니다. |
@HappyMidnight: 2015년 당시 저작권 정책에 따르면 "즉,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었으므로, 공공누리 중에서도 제1유형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재에도 제1유형이 붙은 것이 있는 반면, 2·3·4유형이 붙은 경우도 있으므로 해당 틀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각 문서별로 저작권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2:38 (KST)
- 안녕하세요? 법제처 말고, 세계법제정보센터의 저작권 정책에 따르면, "공공데이터 정책에 따라 ‘세계법제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세계법제정보는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으며, 제공된 세계법제정보는 영리 목적의 이용을 포함하여 자유로운 활용이 보장됩니다."라고 하고 있습니다만. 세계법제정보센터의 저작권 정책 HappyMidnight (토론) 2025년 3월 9일 (일) 18:55 (KST)
- @HappyMidnight: 언급하신 링크가 제가 처음에 언급한 링크와 같은 링크인데, 리다이렉트가 자동으로 된거였네요. 다시 확인해보니 말씀하신 내용이 담겨있는 것은 2017년 10월 31일에 보존된 것이 마지막으로 보존되어 있네요. 2017년 12월 7일 이전에 홈페이지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때부터는 법제처 홈페이지의 저작권 정책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때를 기준으로 저작권 정책이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1:26 (KST)
- @Namoroka: 그렇다면, 2017년 이전에 저작권이 선언된 것과 그 이후의 것을 구별해야 할 것 같네요.HappyMidnight (토론) 2025년 3월 10일 (월) 15:39 (KST)
- @HappyMidnight: 언급하신 링크가 제가 처음에 언급한 링크와 같은 링크인데, 리다이렉트가 자동으로 된거였네요. 다시 확인해보니 말씀하신 내용이 담겨있는 것은 2017년 10월 31일에 보존된 것이 마지막으로 보존되어 있네요. 2017년 12월 7일 이전에 홈페이지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때부터는 법제처 홈페이지의 저작권 정책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때를 기준으로 저작권 정책이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1:26 (KST)
![]() | 이 토론의 전부 혹은 일부는 틀토론:우리역사넷#저작권 문제에서 가져왔습니다. |
@HappyMidnight, Aspere, Vpark45: 2016년 저작권 정책에서는 "그러므로 저작권법 제25조의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이외의 목적에는 임의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현 저작권 정책에서는 "단, 자유이용의 경우 학술, 연구 등의 개인적인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라고 말하고 있으므로 자유 이용이 허가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3:30 (KST)
- @Namoroka: 저도 우리역사넷 자체의 저작권 정책이 보존문서로 넘어간 것은 지금 알았습니다. 분명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냥 봤던 것 같은데... 그런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그건 아닐 것 같습니다. 먼저 제일 위의 문구를 보면,
공공 데이터 개방은 민간이 공공 데이터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관련 산업 및 서비스의 육성과 경제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역사넷>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중 일부 데이터도 공개·개방되고 있습니다.
- 라고 적혀 있는데, 이를 보면 이는 상업적 이용을 허가하는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말씀하신 맨 밑의 문구도 전체적인 맥락을 보면,
따라서 <우리역사넷>의 콘텐츠 중 저작권이 개방된 ‘역사 속 오늘’, ‘역대 국사 교과서’ 중 국정 교과서, ‘한국의 역사와 지리’를 제외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저작권법 제25조의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이외의 목적에는 임의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 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 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적혀 있는 것을 보면 "개방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경우에는 (경우에만) 25조 이외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9:15 (KST)
- 그런데 별개로 이렇게 써 있는 저작권 정책이 사라진 것이니 배포를 철회한 것으로 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게 법적으로 철회가 가능한 건지도 잘 모르겠고... --Aspere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9:18 (KST)
- 제가 조건문을 제대로 안 읽어보았군요. 말씀하신 사항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저작권 정책이 바뀌었으므로, 저작권 정책이 변경되기 이전 내용은 계속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또한 이런 경우라면 "너 고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건지 의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처럼 초기에 미리 공식적으로 저작권 관련 허락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문의를 넣으면 담당 공무원으로부터 당연히 상업적 이용 및 재배포 등이 안 된다고 답이 올 것 같다는 예상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19:52 (KST)
- 그런데 별개로 이렇게 써 있는 저작권 정책이 사라진 것이니 배포를 철회한 것으로 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게 법적으로 철회가 가능한 건지도 잘 모르겠고... --Aspere (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9:18 (KST)
아래 내용은 종료된 토론을 보존해둔 것입니다. | |||
---|---|---|---|
삭제. 공용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저자에 대한 정보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휘문고 교장을 지냈으며 1956년에 55살이었고[1], 1982년에도 아마? 사망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2] [3] [4] [5]--Namoroka (토론) 2025년 3월 29일 (토) 00:00 (KST)
이 책의 저자인 李載壎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렵지만, 1973년에 철학책 '프라토: 철학과 정치'를 낸 사람과 동일한 분 같습니다. 따라서 아직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Z.Lemon (토론) 2025년 3월 2일 (일) 17:01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
수당연의 및 색인:슈당연의.djvu
[편집]아래 내용은 종료된 토론을 보존해둔 것입니다. | |
---|---|
복구. commons:Commons:Undeletion_requests/Archive/2025-03#File:슈당연의.djvu 공용에서 복구가 완료되었습니다. 또한 추가로 관련된 내용을 발견하여서 링크를 걸어둡니다.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생기기 전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著作者는 글쓴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펴낸이 내지 엮은이 정도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6] --Namoroka (토론) 2025년 3월 28일 (금) 23:36 (KST) 본 문서 도입 전 이미 {{저작권 의심}}이 부착되어 있던 점과, 해당 파일이 공용에서 삭제된 점을 들어 발제합니다. (공용에서의 삭제 토론 문서) 한국어 위키문헌이라도 이론적으로 미국 저작권법을 따르는 특성 상, 한국에서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았더라도 로컬에 파일을 다시 올리는 방법으로 우회 가능합니다.[수당연의 1] 만약 괜찮다는 쪽으로 총의가 모이고 미국법 상 저작권이 만료된 것이 확실하면 그 방법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otoko C. K.: 공용에서의 삭제 토론 발제자께도 안내 차 알림드립니다.
commons:Commons:Undeletion requests/Current requests#File:슈당연의.djvu 복구 토론을 열었습니다. 한국어로 의견을 남기셔도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22일 (토) 01:34 (KST)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