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페이지 나누기
← 위키문헌:도움말 | 페이지 나누기 |
이 문서에서는 페이지 이름공간의 문서 여럿을 끼워넣을 때 각 페이지를 나누는 부분에서 생길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
페이지 문서를 일반 이름공간에 끼워넣을 때, 페이지 문서 각각에서는 표시에 문제가 없더라도 끼워넣은 후 페이지를 나누는 부분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여러 페이지에 걸친 틀 사용
[편집]여러 페이지에 걸치게 틀을 사용할 경우, 틀 시작을 앞 페이지에서 한 다음({{왼쪽 여백|1em|
) 뒤 페이지에서 닫는(}}
) 식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가 먼저 각 페이지별로 렌더링을 진행한 다음 결과를 합쳐서 표시하기 때문에 뒤 페이지에서 틀이 닫혔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러면 틀이 아니라 평문 텍스트처럼 취급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틀의 "시작" 및 "끝" 형식과, 각 페이지 문서의 "머리말" 및 "꼬리말" 입력창을 사용해야 합니다. (머리말과 꼬리말이 보이지 않을 때는 입력창 상단의 "교정 도구"에 있는 표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러면 결과적으로 끼워넣기 이후 결과물은 맨 앞의 "시작" 틀 하나와 맨 뒤의 "끝" 틀 하나만 남기게 되며, 사이의 텍스트 자체는 틀 바깥에 있는 것처럼 처리합니다. "머리말"과 "꼬리말"을 사용하면 각 페이지 문서에서도 올바르게 표시되게끔 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편집]앞 페이지
[편집]- 본문
{{왼쪽 여백/시작|1em}}
앞 페이지 본문
- 꼬리말
{{왼쪽 여백/끝}}
중간 페이지
[편집]- 머리말
{{왼쪽 여백/시작|1em}}
- 본문
중간 페이지 본문
- 꼬리말
{{왼쪽 여백/끝}}
뒤 페이지
[편집]- 머리말
{{왼쪽 여백/시작|1em}}
- 본문
뒤 페이지 본문
{{왼쪽 여백/끝}}
이 방식을 사용하는 틀
[편집]위와 같이 시작 틀과 끝 틀로 나누는 방식은 블록 요소를 사용하는 틀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작게}} 등 인라인(span) 요소는 끝나더라도 강제 개행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라인 요소를 사용하는 틀을 여러 페이지에 걸쳐야 할 경우, 단순히 첫 페이지에서 틀을 끝낸 다음 다음 페이지에서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블록 요소에 속하는 대표적인 틀은 다음이 있습니다.
만약 사용하고자 하는 블록 틀이 시작·끝으로 나누어지지 않은 경우 위 틀 예시를 참조하여 새로 만들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페이지에 걸친 표 사용
[편집]표는 근본적으로 위의 틀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틀 대신 표 문법({|
및 |}
)을 사용합니다.
방법
[편집]이 방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둘 모두 ProofreadPage 확장프로그램이 개행 없이 두 페이지를 붙이는 방식과 관계가 있습니다.
- {{nopt}}: 표 문법(
|-
또는|}
)이 새 줄에서 시작하게끔 강제 (표 문법으로 인식되기 위해서 필요) - 새 행 기호(
|-
)를 뒤 페이지의 시작 부분에 부착: 앞 페이지의 끝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페이지 숫자를 표기할 경우 제대로 표기하기 위해서입니다.[1]
페이지 | 위치 | 내용 |
---|---|---|
앞 페이지 | 본문 | {| class="_class"
|-
| 표 본문
|
꼬리말 | {{nopt}}
|}
<references/> <!--있는 경우-->
{{nopt}}가 없을 경우 꼬리말 내용이 표 안에 전부 포함되게 됩니다. 이 경우 각주 등 꼬리말에 포함된 내용의 렌더링에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2] | |
중간 페이지 | 머리말 | {| class="_class" (첫 페이지와 같아야 합니다. 서로 다르면 페이지 문서에서 다르게 표시됩니다.)
|-<!-- 표 최상단에 내용이 있을 경우에 사용 -->
|
본문 | {{nopt}}
|-
| 표 본문
| |
꼬리말 | {{nopt}}
|}
<references/> <!--있는 경우-->
| |
뒤 페이지 | 머리말 | {| class="_class" (첫 페이지와 같아야 합니다. 서로 다르면 페이지 문서에서 다르게 표시됩니다.)
|-<!-- 표 최상단에 내용이 있을 경우에 사용 -->
|
본문 | {{nopt}}
|-
| 표 본문
|}
|
여러 페이지에 걸친 시
[편집]<poem>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모든 페이지에서 항상 태그를 열고 닫아야 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습니다.
<br/>
등을 사용하여 직접 양식을 만드는 경우, 특별히 다르게 적용할 서식은 없습니다.
{{블록 가운데}} 틀을 사용할 경우 위 틀 방식처럼 페이지에 걸쳐 틀을 나누어야 합니다.
페이지 | 위치 | 내용 |
---|---|---|
앞 페이지 | 본문 | {{블록 가운데/시작}}<poem>
1절 1행
1절 2행
<br/><!-- 절 구분용 -->
</poem>
|
꼬리말 | {{블록 가운데/끝}}
| |
중간 페이지 | 머리말 | {{블록 가운데/시작}}
|
본문 | <poem>
2절 1행
2절 2행
</poem><!-- 이 경우 새 절이 생기지 않음 -->
| |
꼬리말 | {{블록 가운데/끝}}
| |
뒤 페이지 | 머리말 | {{블록 가운데/시작}}
|
본문 | <poem>
2절 3행
2절 4행
</poem>
{{블록 가운데/끝}}
|
여러 페이지에 걸친 주석 사용
[편집]페이지 2개 이상에서 사용하는 주석은 일반 주석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면 페이지 문서 각각과 끼워넣기 후의 일반 문서에서 모두 올바르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방법
[편집]첫 페이지
[편집]- 본문
Lorem ipsum dolor sit amet,<ref name="p76">dolorem ipsum, quia dolor sit amet,</ref>
- 꼬리말
<references/>
이후 페이지
[편집]- 본문
…est laborum.<ref follow="p76">consectetur, adipisci velit…</ref>
- 꼬리말
<references/>
문제점
[편집]- 주석 태그의 이름(
<ref name=…>
)은 다른 주석과 겹치지만 않으면 어떠한 이름이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혼동을 막기 위해 페이지 번호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는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ref follow=…>
는 페이지 아래쪽에 위치하지만 끼워넣는 문서가 서로 다를 경우 주석 태그가 페이지 제일 위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끼워넣어지지 않습니다. - 주석이 길어질 경우 문단이 여럿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두 번 줄바꿈하는 방법은 주석 태그 내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단락 나누기}} 틀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br/>
이나<p></p>
태그는 PDF 등 전자책 형태로 내보냈을 때 반영되지 않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3] - 두 주석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띄어쓰기가 삽입됩니다. 띄어쓰기를 없애기 위해서는 앞 페이지 주석 끝에 {{upe}} 틀을 사용하면 됩니다.
여러 페이지에 걸친 목록
[편집]목록의 내용 자체가 여러 페이지에 걸칠 경우 일반적으로 간단한 해결책은 없습니다.
뒤 페이지에 추가 항목이 있는 경우
[편집]앞 페이지의 내용을 뒤 페이지의 머리말에 넣지 말고 본문에 <noinclude></noinclude>
태그를 이용해 직접 넣어야 합니다. 이 뒤에는 반드시 코드 주석(<!-- -->
)이 있어야 합니다.[4] 이 이후 이어지는 목록 항목은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하게 작성하면 됩니다.
- 앞 페이지의 본문
* 상위 목록. ** 첫 번째 하위 목록.
- 뒤 페이지의 본문
<noinclude>* 상위 목록.</noinclude><!-- 이 코드 주석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
** 두 번째 하위 목록.
목록 본문이 이어지는 경우
[편집]- 앞 페이지의 본문
* 상위 목록의 본문...
- 뒤 페이지의 본문
<noinclude>* 상위 목록의 본문...<br></noinclude>...을 이렇게 적으면 이어집니다.<!-- --> ** 하위 목록.
문단 태그를 삽입해야 한다면 앞 페이지 목록 뒤와 뒤 페이지 noinclude 영역 사이에 삽입해야 합니다. 문단 태그와 noinclude 사이에는 문단 태그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링크
[편집]링크가 여러 페이지에 걸쳐 있다면, 앞 페이지에는 {{lps}}, 뒤 페이지에는 {{lpe}}를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Lorem ipsum"을 치려고 할 때 단어가 중간에서 끊긴다면, 앞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lps|링크=Lorem ipsum|Lorem|ipsum}}
뒤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lpe|링크=Lorem ipsum|Lorem|ipsum}}
텍스트 자체를 꾸미고 싶다면 위키 문법은 이 틀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Lorem ipsum"을 굵은 글씨로 표시하고 싶다면,
{{lps|링크=Lorem ipsum|'''Lorem'''|'''ipsum'''}}
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개행, 띄어쓰기, 하이픈
[편집]페이지 문서를 끼워넣을 때는 일괄적으로 두 페이지 사이에 띄어쓰기 하나가 추가됩니다. 이를 상황에 따라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하는 틀이 몇 있습니다.
- {{페이지 간 붙여 쓰기}} 또는 {{upe}}: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는 띄어쓰기를 제거합니다.
- {{nop}}: 다음 페이지가 다음 줄에서 시작되게끔 하는 강제 개행 틀입니다.
각주
[편집]- ↑ 이 기호를 페이지 뒷 부분에 부착하면 페이지 번호의 위치가 테이블 행 중간에 끼이게 되는데, 이는 잘못된 HTML 오류로서 포스터 상속 린트 오류를 일으킵니다. 관련된 파브리케이터 기록은 phab:T232477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위와 같이 포스터 상속 린트 오류가 일어나거나, 아에 표의 한 행인 것처럼 취급될 수 있습니다.
- ↑ 관련한 파브리케이터 기록은 phab:T49544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머리말의 끝 부분에 적용되는 강제 이중 개행으로 인해 머리말 항목에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phab:T275388을 참고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