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자판)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머리말[편집]

本會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制定하야 이에 一般 社會에 發表한다。

이 統一案이 이루어짐에 대하야 그 經過의 槪略을 말하면、 一九三〇年 十 二月 十 三日 本會 總會의 决議로 한글 마춤법의 統一案을 制定하기로 되어、 처음에 委員 十 二人(權悳奎 金允經 朴顯植 申明均 李克魯 李秉岐 李允宰 李熙昇 張志暎 鄭烈模 鄭寅燮 崔鉉培)으로써 二個年間 審議를 거듭하야 一九三二年 十 二月에 이르러 마춤법 原案의 作成을 마치었다。 그러고 또 委員 六人(金善琪 李鉀 李萬珪 李常春 李世楨 李鐸)을 增選하야 모두 十 八人의 委員으로써 開城에서 會議(一九三二年 十 二月 二十 五日――一九三三年 一月 四日)를 열어 그 原案을 逐條討議하야 第一讀會를 마치고、 이를 다시 修正하기 위하야 修正委員 十人(權悳奎 金善琪 金允經 申明均 李克魯 李允宰 李熙昇 張志暎 鄭寅燮 崔鉉培)에게 맡기었다。 그 후 六個月을 지나 대체의 修正이 끝났으므로、 또 委員 全體로써 다시 華溪寺에서 會議(一九三三年 七月 二十 五日――八月 三日)를 열어 그 修正案을 다시 檢討하야 第二讀會를 마치고、 또 이를 全體的으로 整理하기 위하야 整理委員 九人(權悳奎 金善琪 金允經 申明均 李克魯 李允宰 李熙昇 鄭寅燮 崔鉉培)에게 맡기어 最終의 整理가 다 마치었으며、 本年 十月 十 九日 本會 臨時總會를 거치어 이를 施行하기로 决議되니、 이로써 이 한글 마춤법 통일안이 비로소 完成을 告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이 統一案이 完成하기까지에 三個年의 時日을 걸치어、 一百 二十 五回의 會 議가 있었으며、 그 所要의 時間數로는 실로 四百 三十 三時間이란 적지 아니한 時間에 마치었으니、 과연 文字 整理란 그리 容易한 일이 아님을 알겠다。 우리는 이러ㅎ듯 가장 嚴正한 態度와 가장 愼重한 處理로써 끝까지 最善의 努力을 다하야 이제 이 統一案을 만들어서 우리 民衆의 앞에 내어 놓기를 躊躇하지 아니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것이 다만 오늘날까지 混亂하게 써오던 우리글을 한번 整理하는 첫 試驗으로 아나니、 여기에는 또한 不備한 點이 아주 없으리라고 스스로 斷定하기 어려울것이다。 더구나 時代의 進步로 여러가지 學術이 날로 달라감을 따라 이 한글에 있어서도 그 影響이 없지 아니할것이다。 그러므로 本會는 앞으로 더욱 이에 留意를 더하고저 하는것이니、 一般 社會에서도 때로 많은 가르침이 있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統一案이 完成함에 이르기까지 精神的 乃至 物質的으로 많은 聲援과 두터운 賛助를 주신 京鄕 有志人士에게、 특히 孔濯 宋鎭禹 金性洙 其他 諸氏와 各 報道機關 및 漢城圖書株式會社에 對하야 깊이 感謝의 뜻을 表한다。

한글 頒布 第 四百 八十 七回 記念日

朝 鮮 語 學 會

한글 마춤법 통일안

總 論[편집]

一、 한글 마춤법(綴字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語法에 맞도록 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二、 표준말은 大體로 現在 中流 社會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三、 文章의 各 單語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 말에 붙여 쓴다。

各 論[편집]

第一章 字母[편집]

第一節 字母의 數와 그 順序[편집]

第一項 한글의 字母의 數는 二十 四字로 하고、 그 順序는 다음과 같이 定한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附記] 前記의 字母로써 적을수가 없는 소리는 두개 以上의 字母를 어울러서 적기로 한다。
ㄲ ㄸ ㅃ ㅆ ㅉ ㅐ ㅔ ㅚ ㅟ ㅒ ㅖ ㅘ ㅝ ㅙ ㅞ ㅢ

第二節 字母의 이름[편집]

第二項 字母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定한다。

ㄱ 기역  ㄴ 니은  ㄷ 디귿  ㄹ 리을  ㅁ 미음  ㅂ 비읍
ㅅ 시옷  ㅇ 이응  ㅈ 지읒  ㅊ 치읓  ㅋ 키읔  ㅌ 티읕
ㅍ 피읖  ㅎ 히읗  ㅏ 아  ㅑ 야  ㅓ 어  ㅕ 여  ㅗ 오  ㅛ 요
ㅜ 우  ㅠ 유  ㅡ 으  ㅣ 이

[附記] 다음의 글자들은 아래와 같이 이름을 定한다。

ㄲ 쌍기역  ㄸ 쌍디귿  ㅃ 쌍비읍  ㅆ 쌍시옷  ㅉ 쌍지읒

第二章 聲音에 關한것[편집]

第一節 된소리[편집]

第三項 한 單語 안에서 아무 뜻이 없는 두 音節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는 모두 아래 音節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아빠 압바
오빠 옵바
어깨 엇개
토끼 톳기
새끼 샛기
깨끗하다 깻긋하다
어떠하다 엇더하다
어찌하다 엇지하다
여쭙다 엿줍다
나부끼다 나붓기다
아끼다 앗기다
부끄럽다 붓글업다
거꾸루 것구루

第二節 舌側音 ㄹ[편집]

第四項 在來에 舌側音 ㄹ을 ㄹㄴ으로 적던것을 ㄹㄹ로 적기로 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걸레 걸네
날린다 날닌다
흘러 흘너
빨리 빨니
얼른 얼는

第三節 口盖音化[편집]

第五項 한글의 字母는 다 제 音價대로 읽음을 原則으로 한다。 따라서 「댜 뎌 됴 듀 디」를 「자 저 조 주 지」로、 「탸 텨 툐 튜 티」를 「차 처 초 추 치」로 읽음을 認定하지 아니한다。

[附記 一] ㄷ ㅌ으로 끝난 말 아래에 從屬的 關係를 가진 「이」나 「히」가 올적에는 그 ㄷ ㅌ이 口盖音化되는것을 例外로 認定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밭이 바치
굳이 구지
핥이다 할치다
걷히다 거치다
묻히다 무치다
닫히다 다치다
[附記 二] ㄴ은 ㅣ(ㅑ ㅕ ㅛ ㅠ) 우에서 口盖音化되는것을 認定한다。

저녁 바구니 누구뇨 가더냐

第四節 ㄷ 바침 소리[편집]

第六項 아무 까닭이 없이 ㄷ 바침으로 나는 말 가운데 ㄷ으로만 나는것이나 ㅅ으로도 나는것이나를 勿論하고 在來의 버릇을 따라 ㅅ으로 統一하야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一) ㄷ으로만 나는 바침

例 (1) 副詞的 接頭語

짓밟다 짇밟다
짓몰다 짇몰다
덧붙이다 덛붙이다
엇먹다 얻먹다
빗나다 빋나다
헛되다 헏되다

(2) 冠形詞

(3) 副詞

그릇 그륻
무릇 무륻
사뭇 사묻
얼핏 얼핃
걸핏하면 걸핃하면
자칫하면 자칟하면

(二) ㅅ으로도 나는 바침

따뜻하다 따뜯하다
빙긋빙긋 빙귿빙귿
반듯하다 반듣하다
잘못하다 잘몯하다

第三章 文法에 關한것[편집]

第一節 體言과 토[편집]

第七項 體言과 토가 어우를적에는 소리가 變하거나 아니하거나를 勿論하고 다 제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곬이 골시
밭이 바치
꽃에 꼬체

第二節 語幹과 語尾[편집]

第八項 用言의 語幹과 語尾는 區別하야 적는다.

먹다 먹고 먹으니 먹어서 먹은 먹을
할고 할가 할지

[附記] 다음과 같은 말들은 그 語源이 分明한것은 본 語幹과 語尾를 區別하야 적고、 그 語源이 分明하지 아니한것은 본 語幹과 語尾를 區別하야 적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그 語源이 分明한것

넘어지다 너머지다
늘어지다 느러지다
떨어지다 떠러지다
돌아가다 도라가다
들어가다 드러가다
엎어지다 어퍼지다
흩어지다 흐터지다

(2) 그 語源이 分明하지 아니한것

나타나다 낱아나다
불거지다 붉어지다
부러지다 불어지다
자빠지다 잦바지다
쓰러지다 쓸어지다

第三節 規則 用言[편집]

第九項 다음과 같은 動詞는 그 語幹 아래에 다른 소리가 붙어서 그 뜻을 바꿀적에 소리가 變하거나 아니하거나를 묻지 아니하고 다 그 原形을 밝히어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맡기다 맛기다
쫓기다 쫏기다
솟구다 소꾸다
갈리다 갈니다
걸리다 걸니다
먹이다 머기다
보이다 보히다
낚이다 낙기다
핥이다 할치다
돋우다 도두다
닫히다 다치다
잡히다 자피다
묻히다 무치다

第四節 變格 用言[편집]

第一〇項 다음과 같은 變格 用言을 認定하고、 각각 그 特有한 變則을 좇아서 語幹과 語尾가 變함을 認定하고 變한대로 적는다。

(一) 語幹의 끝 ㄹ이 ㄴ ㅂ과 「오」 우에서 주는 말

例 (1) ㄴ 우에서

울다 우나 우니
길다 기나 기니

(2) ㅂ 우에서

놀다 놉니다
갈다 갑니다

(3) 오 우에서

놀다 노오니
갈다 가오니
[附記] ㄹ ㄷ ㅅ ㅈ 우에서도 주는 일이 있지마는 안 주는것으로 原則을 삼되、 尊敬의 「시」와 未來의 ㄹ 우에서는 도모지 나지 아니하는것으로 한다。

놀다(遊) 노시다 놀사람
알다(知) 아시다 알사람

(二) 語幹의 끝 ㅅ이 홀소리(母音) 우에서 줄어질적

잇다(續) 이어 이으니
낫다(癒) 나아 나으니

(三) 語幹의 끝 ㅎ이 줄어질적.

하얗다 햐야니 하얀 하야면

(四) 語幹의 끝 ㄷ이 홀소리 우에서 ㄹ로 變할적

듣다(聽) 들어 들으니
묻다(問) 물어 물으니

(五) 語幹의 끝 ㅂ이 홀소리 우에서 「우」나 「오」로 變할적

돕다(助) 도와 도우니
곱다(姸) 고와 고우니
눕다(臥) 누워 누우니
춥다(寒) 추워 추우니

(六) 語尾 「아」나 語幹의 아래에 오는 「았」이 「여」나 「였」으로 날적

하다 하여 하여도 하여야 하였으니 하였다

[附記] 「하야」의 경우 하나만은 또한 「야」도 認定한다。 (甲形은 認定하되 乙形은 모두 認定하지 아니한다)

그리하야 하야도 하얐으니 하얐다

(七) 語尾 「어」와 語幹 아래에 오는 「었」이 「러」나 「렀」으로 날적

이르다 이르러 이르렀다
푸르다 푸르러 푸르렀다
누르다 누르러 누르렀다

(八) 語幹의 끝 音節이 '르'의 다음에 語尾 「어」와 語幹 아래에 오는 「었」이 올적에 ㅡ가 줄고 ㄹ이 ㄹㄹ로 날적。

고르다 골라 골랐다
오르다 올라 올랐다
누르다 눌러 눌렀다
흐르다 흘러 흘렀다

第五節 바침[편집]

第一一項 ㄷ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 ㄳ ㄵ ㄶ ㄽ ㄾ ㄿ ㅀ ᇚ ㅄ의 열 여덟 바침을 더 쓰기로 한다。

ㄷ바침 걷다(捲) 곧다(直) 굳다(固) 낟(穀) 닫다(閉) 돋다(昇)
뜯다(摘) 맏(昆) 묻다(埋) 믿다(信) 받다(受) 벋다(延)
뻗다(伸) 쏟다(瀉) 얻다(得)
ㅈ바침 갖다(備) 꽂다(揷) 궂다(凶) 꾸짖다(叱) 낮(晝) 낮다(低)
늦다(晩) 맞다(迎) 버릊다(爬) 부르짖다(呌) 빚(債) 빚다(釀)
맺다(結) 애꿎다 잊다(忘) 잦다(涸) 젖(乳) 젖다(濕)
짖다(吠) 찢다(裂) 찾다(尋)
ㅊ바침 갗(皮膚) 꽃(花) 낯(顔) 닻(錨) 돛(帆) 몇(幾)
빛(光) 숯(炭) 옻(漆) 좇다(從) 쫓다(逐)
ㅋ바침 녘(方) 부엌(廚)
ㅌ바침 같다(如) 겉(表) 곁(傍) 끝(末) 낱(個) 돝(猪)
맡다(任) 머리맡(枕邊) 뭍(陸) 밑(底) 밭(田) 밭다(迫)
배앝다(吐) 볕(陽) 부릍다(腫) 붙다(付) 샅(股間) 솥(鼎)
숱(量) 얕다(淺) 옅다(淺) 팥(豆) 흩다(散)
ㅍ바침 갚다(報) 깊다(深) 높다(高) 늪(沼) 덮다(蓋) 무릎(膝)
섶(薪) 숲(林) 싶다(欲) 앞(前) 엎다(覆) 옆(側)
잎(葉) 짚(藁) 짚다(杖) 헝겊(布片)
ㅎ바침 낳다(産) 넣다(入) 놓다(放) 닿다(接) 땋다(辮) 빻다(碎)
쌓다(積) 좋다(好) 찧다(春)
ㄲ바침 깎다(削) 꺾다(折) 껶다(經) 낚다(釣) 닦다(拭) 덖다(添垢)
묶다(束) 밖(外) 볶다(炒) 섞다(混) 솎다(抄) 엮다(編)
ㅆ바침 겠다(未來) 았다(過去) 었다(過去) 있다(有)
ㄳ바침 넋(魄) 몫(配分) 삯(賃) 섟(결)
ㄵ바침 끼얹다(撤) 앉다(坐) 얹다(置上)
ㄶ바침 꼲다(訂) 괜찮다 귀찮다 끊다(絶) 많다(多) 언짢다
점잖다 하찮다
ㄽ바침 곬(向方) 돐(朞) 옰(代償)
ㅀ바침 곯다(未滿) 꿇다(跪) 끓다(沸) 닳다(耗) 뚫다(穿) 싫다(厭)
앓다(病) 옳다(可) 잃다(失)
ㄾ바침 핥다(舐) 훑다
ㄿ바침 읊다(詠)
ᇚ바침 구ᇚ(穴) 나ᇚ(木)
ㅄ바침 값(價) 가엾다(憐) 실없다(不實) 없다(無)

第六節 語源 表示[편집]

第一二項 語幹에 「이」가 붙어서 名詞나 副詞로 되고、 「음」이 붙어서 名詞로 轉成할적에는 口盖音化의 有無를 勿論하고 그 語幹의 原形을 變하지 아니한다。

먹이 벌이 길이 갈이 울음 웃음 걸음
미닫이 개구멍받이 쇠붙이 굳이 같이

第一三項 語幹에 ㅣ나 「음」 以外의 소리가 붙어서 他詞로 轉成할적에는 그 語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마개 주검 무덤 올개미 귀머거리 너무 비로소

第一四項 名詞 아래에 「이」가 붙어서 他詞로 轉成될적에는 口盖音化의 有無를 勿論하고 그 名詞의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집집이 곳곳이 샅샅이 곰배팔이 애꾸눈이
第一五項 名詞 아래에 「이」 以外의 딴 홀소리가 붙어서 他詞로 變하거나 뜻만이 變할적에는 그 말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끄트머리 지프래기 지붕

第一六項 名詞나 語幹의 아래에 닿소리로 첫 소리를 삼는 音節이 붙어서 他詞로 變하거나 본 뜻만이 變할적에는 그 名詞나 語幹의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낚시 옆댕이 잎사귀
옮기다 굵직하다 넓적하다 얽둑얽둑하다 얽죽얽죽하다

[附記] 左記의 말은 그 語源的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악죽악죽하다 각작각작하다 멀숙하다 멀숙하다 널직하다 말숙하다

第一七項 語幹에 「브」가 붙어서 他詞로 轉成하거나 뜻만이 變할적에는 그 語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슬프다 슳브다
아프다 앓브다
고프다 곯브다
미쁘다 믿브다
나쁘다 낮브다
구쁘다 궂브다
바쁘다 밭브다
기쁘다 깃브다
이쁘다 잇브다
가쁘다 갇브다

第一八項 動詞의 語幹에 「치」가 붙어서 된 말은 그 語幹의 原形을 밝히어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 丙을 버린다)

받치다(支) 밧치다 바치다
뻗치다 뻣치다 뻐치다
엎치다 업치다
덮치다 덥치다
놓치다 놋치다 노치다
第一九項 形容詞의 語幹 「이」나 「히」나 또는 「후」가 붙어서 動詞로 轉成한것은 그 語幹의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잦히다 자치다
낮히다 나치다
좁히다 조피다
밝히다 발키다
넓히다 널피다
높이다 노피다
갖후다 가추다
낮후다 나추다
늦후다 느추다
맞후다 마추다

第二〇項 語源的 語幹에 다른 소리가 붙어서 토로 轉成될적에는 그 語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조차 부터 마저

第二一項 「하다」가 붙어서 되는 用言의 語源的 語根에 「히」나 「이」가 붙어서 副詞나 名詞가 될적에는 그 語源을 밝히어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답답히 답다피
답답이 답다비
곰곰이 곰고미
반듯이 반드시
반듯반듯이 반듯반드시

[附記] 「하다」가 붙지 아니하는 語源的 語根에 「히」나 「이」나 또는 다른 소리가 붙어서 副詞나 名詞로 될적에는 그 語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군더더기 오라기

第二二項 語源的 語根에 「하다」가 붙어서 用言이 된 말은 그 語根의 原形을 바꾸지 아 니한다。

착하다 딱하다 급하다 속하다

第二三項 動詞의 語幹에 「이 히 기」가 붙을 적에 語幹의 끝 音節의 홀소리가 그 소리를 닮아서 달리 나는 일이 있을지라도 그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먹이다 멕이다
박이다 백이다
속이다 쇡이다
죽이다 쥑이다
뜨이다 띄이다
잡히다 잽히다
먹히다 멕히다
맡기다 맽기다
벗기다 벳기다
쫓기다 쬧기다
숨기다 쉼기다
뜯기다 띋기다

[附記] 이 境遇에 둘이 合하야 아주 딴 音節로만 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 丙을 버린다)

내다 내이다 나이다
깨다 깨이다 까이다
재다 재이다 자이다

第二四項 擬聲 擬態的 副詞나 「하다」가 붙어서 用言이 아니 되는 語根 아래에 「이」가 붙어서 名詞나 副詞로 될적에는 그 語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기러기 꾀꼬리 뻐꾸기 따짜구리 귀뜨라미 개구리
코끼리 가마귀 살사리 더퍼리 삐쭈기 얼루기 떠버리
第二五項 語源的 語根에 「이다」가 붙어서 된 用言은 그 語根을 밝히어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움즉이다 움즈기다
번득이다 번드기다
번적이다 번저기다

第二六項 用言의 語幹에 다른 소리가 붙어서 된것이라도 그 뜻이 아주 딴 말로 變한 것은 그 語幹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바치다(納) 드리다(獻) 부치다(寄) 이루다(成)

第二七項 받침이 있는 用言의 語根이나 語幹에 接尾辭가 붙어서 딴 獨立한 單語가 成立될적에는 그 接尾辭의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앟다(엏다)

발갛다 밝앟다
노랗다 놀앟다
파랗다 팔앟다
가맣다 감앟다
벌겋다 벍엏다
누렇다 눌엏다
퍼렇다 펄엏다
거멓다 검엏다

(2) 업다(읍다)

미덥다 믿업다
무섭다 뭇업다
우습다 웃읍다
드럽다 들업다
간지럽다 간질업다
서느럽다 서늘업다
부드럽다 부들업다
무겁다 묵업다
부끄럽다 부끌업다
시끄럽다 시끌업다
징그럽다 징글업다
어지럽다 어질업다

[附記] 「없다」만은 갈라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객없다 개겂다
시름없다 시르멊다
부질없다 부지럾다
숭없다
상없다

第七節 品詞 合成[편집]

第二八項 둘 以上의 品詞가 複合할적에는 소리가 接變하거나 아니하거나를 勿論하고 각각 그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一) 變하지 아니할적

문안 집안 방안 독안 밤알 닭의알 집오리 물오리 속옷 손아귀 홀아비

但 語源이 不分明할적에는 그 原形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오라비

(二) 變할적

例 (1) 닿소리와 닿소리 사이

밥물 국물 맞먹다 받내다 옆문 젖몸살

(2) 닿소리와 홀소리 「이」(야여요유) 사이 (이 境遇에는 아래의 홀소리의 첫 소리로 口盖音化한 ㄴ 소리가 덧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갓양 갓냥
잣엿 잣년
담요 담뇨
편윷 편늇
밭일 밭닐
앞일 앞닐
집일 집닐
공일 공닐(거저 하는 일)

[附記] 그 웃 品詞의 獨立한 소리 ㄴ이 變할적에는 변한대로 적되、 두 말을 區別하야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할아버지 한아버지
할머니 한어머니
第二九項 ㄹ바침이 있는 말과 딴 말과 어우를적에는, (1) 나기만 하는것은 나는대로 적고, (2) 도모지 나지 아니하는것은 아니 나는대로 적는다。

(1) 물새 불꽃
(2) 무자위 부삽

第三〇項 複合名詞 사이에서 나는 사이ㅅ은 홀소리 아래에서 날적에는 우의 홀소리에 ㅅ을 받치고、 닿소리와 닿소리 사이에서는 도모지 적지 아니한다。

例 홀소리 밑

뒷간 곳집 나룻배 담뱃대 잇몸 깃발

第三一項 다음과 같은 말은 소리대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좁쌀 조ㅂ쌀
찹쌀 차ㅂ쌀
멥쌀 메ㅂ쌀
햅쌀 해ㅂ쌀
수캐 숳개
암캐 아ᇡ개
조팝 좋밥
안팎 않밖

第八節 原詞와 接頭辭[편집]

第三十二項 接頭辭와 語根이 어울려서 한 單語를 이룰적에는 소리가 接變하거나 아니하거나 그 原形을 바꾸지 아니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짓이긴다 짓니긴다
엇나간다 언나간다
샛노랗다 샌노랗다
싯누렇다 신누렇다

第四章 漢字語[편집]

漢字音은 現在의 標準 發音을 쫓아서 表記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따라서 從來의 漢 字 字典에 規定된 子音을 아래와 같이 고치기로 한다。

第一節 홀소리만을 變記할것[편집]

第三三項 ㆍ字 音은 죄다 ㅏ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간친(懇親) ᄀᆞᆫ친
발해(渤海) ᄇᆞᆯᄒᆡ
사상(思想) ᄉᆞ샹
자녀(子女) ᄌᆞ녀

第三四項 ㆎ字 音은 모두 ㅐ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개량(改良) ᄀᆡ량
내외(內外) ᄂᆡ외
대용(代用) ᄃᆡ용
매일(每日) ᄆᆡ일
색채(色彩) ᄉᆡᆨ채
애석(愛惜) ᄋᆡ석
재능(才能) ᄌᆡ능
책자(冊子) ᄎᆡᆨᄌᆞ
태모(胎母) ᄐᆡ모
해변(海邊) ᄒᆡ변

第三五項 ㅅ ㅈ ㅊ을 첫소리로 삼는 ㅑ ㅕ ㅛ ㅠ를 ㅏ ㅓ ㅗ ㅜ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사회(社會) 샤회
서류(書類) 셔류
소년(少年) 쇼년
수석(水石) 슈석
장안(長安) 쟝안
정중(鄭重) 졍즁
조선(朝鮮) 죠션
중심(中心) 즁심
차륜(車輪) 챠륜
처자(妻子) 쳐ᄌᆞ
초부(樵夫) 쵸부
추수(秋收) 츄슈

第三六項 「계 례 몌 폐 혜」는 本音대로 적고、 「셰 졔 쳬」의 ㅖ는 ㅔ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계수(桂樹) 게슈
폐부(肺腑) 페부
혜택(惠澤) 헤택
연몌(連袂) 련메

例 (2)

세계(世界) 셰계
제도(制度) 졔도
체류(滯留) 쳬류

第三七項 ㅈ ㅊ ㅅ을 첫소리로 삼는 ㅡ를 가진 字音은 그 本音대로 내는것을 原則으로 삼고、 特別한 境遇에 限하여 例外를 둔다。

슬하(膝下) 습관(習慣) 승리(勝利) 즉시(卽時) 증인(證人) 증조(曾祖)
측량(測量) 층계(層階)

例外

금실(琴瑟) 질책(叱責) 편집(編輯) 법칙(法則) 친의(襯衣)

第三八項 ㅁ ㅂ ㅍ으로 첫소리를 삼는 ㅡ를 가진 字音은 그 母音을 ㅜ로 내는 것으로 原則을 삼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묵화(墨畵) 믁화
북극(北極) 븍극
붕우(朋友) 븡우
품질(品質) 픔질

第三九項 「의 희」의 字音은 本音대로 내는것을 原則으로 삼는다。

의원(醫員) 주의(主義) 희망(希望) 유희(遊戱)

第四〇項 「긔 븨 싀 츼」의 字音은 「기 비 시 치」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기차(汽車) 긔챠
일기(日氣) 일긔
곤비(困憊) 곤븨
시탄(柴炭) 싀탄
치중(輜重) 츼중

第四一項 「ᄉᆔ ᄎᆔ」의 字音은 「쉬 취」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쉬려(淬礪) ᄉᆔ려
취객(醉客) ᄎᆔᄀᆡᆨ

例外

수연(晬宴) ᄉᆔ연

第二節 닿소리만을 變記할것[편집]

第四二項 「냐 녀 뇨 뉴 니 녜」가 單語의 첫소리로 될적에는 그 發音을 따라 「야 여 요 유 이 예」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여자(女子) 녀자
영변(寧邊) 녕변
요도(尿道) 뇨도
육혈(衄血) 뉵혈
이토(泥土) 니토
예묘(禰廟) 녜묘
但 單語의 頭音 以外의 境遇에서는 本音대로 적는다。

남녀(男女) 부녀(婦女) 직뉴(織紐)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계집녀(女)

第四三項 「랴 려 료 류 리 례」의 字音이 頭音으로 올적에는 「야 여 요 유 이 예」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양심(良心) 량심
역사(歷史) 력ᄉᆞ
요리(料理) 료리
유수(流水) 류슈
이화(李花) 리화
예의(禮義) 례의

但 單語의 頭音 以外의 境遇에서 날적에는 그 發音을 따라 本音대로 적는다。

개량(改良) 선량(善良) 수력(水力) 협력(協力) 재료(材料) 염료(染料)
하류(下流) 급류(急流) 도리(桃李) 행리(行李) 사례(謝禮) 혼례(婚禮)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어질량(良)

第四四項 「라 로 루 르 래 뢰」의 字音이 頭音으로 올적에는 發音대로 「나 노 누 느 내 뇌」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낙원(樂園) 락원
노인(老人) 로인
누각(樓閣) 루각
능묘(陵墓) 릉묘
내일(來日) 래일
뇌성(雷聲) 뢰셩

但 單語의 頭音 以外의 境遇에서는 本音대로 적는다。

쾌락(快樂) 극락(極樂) 부로(父老) 연로(年老) 고루(高樓) 옥루(玉樓)
구릉(丘陵) 강릉(江陵) 거래(去來) 왕래(往來) 지뢰(地雷) 낙뢰(落雷)

또 漢字의 代表音은 本音으로 한다。

다락루(樓)

第3節 닿소리와 홀소리를 함께 變記할것[편집]

第四五項 「뎌 됴 듀 디 뎨」의 字音은 「저 조 주 지 제」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저급(低級) 뎌급
전답(田畓) 뎐답
조수(鳥獸) 됴슈
조정(調停) 됴뎡
주광(黈纊) 듀광
지구(地球) 디구
제자(弟子) 뎨ᄌᆞ
질탕(佚蕩) 딜탕

第四六項 「텨 툐 튜 톄」의 字音은 「처 초 추 체」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천지(天地) 텬디
철도(鐵道) 텰도
청중(聽衆) 텽즁
초미(貂尾) 툐미
촉루(髑髏) 툑루
체재(體裁) 톄재

第四節 俗音[편집]

第四七項 現行 字典에 아무 俗音 規定이 없으되, 俗音 한가지로 읽는 字音은 그 發音을 따라 俗音대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취미(趣味) 츄미
인쇄(印刷) 인솰
부모(父母) 부무

第四八項 두 홀소리 사이에서 (1) ㄴ이 ㄹ로만 나는 것은 ㄹ로 적고、 (2) ㄹ이 ㄴ으로만 나는 것은 ㄴ으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허락(許諾) 허낙
대로(大怒) 대노
회령(會寧) 회녕

例 (2)

의논(議論) 의론

第四九項 두 홀소리 사이에서 ㄴ이 ㄹ로도 나는 일이 있으되、 그것은 本音대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기념(記念) 기렴
기능(技能) 기릉

第五〇項 漢字音이 連發될적에 ㄴㄴ이 ㄹㄹ로도 나는 것은 本音을 原則으로 하고、 ㄹㄹ도 許容하되、 ㄴㄹ로 적는다。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을 許容한다)

관념(觀念) 관렴
곤난(困難) 곤란
안녕(安寧) 안령
본능(本能) 본릉
만년(萬年) 만련

第五一項 現行 字典에 아무 俗音 規定이 없으되、 本音과 俗音으로 읽는것은 그 發音대로 적는다。

本音 俗音
당분(糖粉) 사탕(砂糖)
팔월(八月) 파일(八日)
목근(木槿) 모과(木瓜)

第五章 略語[편집]

第五二項 말의 끝 音節의 끝 홀소리가 줄어지고 닿소리만 남은것은 그 우의 音節에 바침으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본말
아기야 악아 아가
기러기야 기럭아 기러가
애꾸눈이야 애꾸눈아 애꾸누나
어제저녁 엊저녁 어쩌녁
가지고 갖고 갓고
미치고 밎고 밋고
디디고 딛고 딧고
온가지 온갖 온갓
第五三項 토만이나 또는 토와 名詞가 함께 줄어진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본말 준말
나는
나를
너는
너를
무엇을 무얼
무엇은 무언
그것은 그건
그것을 그걸

第五四項 語幹의 끝 홀소리 ㅡ가 「어」 소리를 만나서 줄어질적에는 준대로 적는다。

본말 준말
건느어 건너
크어
기쁘어 기뻐
건느었다 건넜다
크었다 컸다
기쁘었다 기뻤다

第五五項 홀소리로 끝난 語幹의 밑에 「이 아 어」가 와서 어우를적에는 준대로 적을수도 있다。

例 (1)

본말 준말
뜨이다 띄다
쓰이다 씌다
보이다 뵈다
건느이다 건늬다

(2)

가아서 가서
오아
부어
그리어 그려

第五六項 語幹의 끝 音節 「하」의 ㅏ가 줄어질적에는 ㅎ을 中間에 놓기를 原則으로 하고、 또 우의 音節에 바침으로 씀도 許容한다。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도 許容하고 丙은 버린다)

본말
가하다 가ㅎ다 갛다 가타
부지런하다 부지런ㅎ다 부지럲다 부지런타
정결하다 정결ㅎ다 정겷다 정결타
다정하다 다정ㅎ다 다젛다 다정타

第五七項 다음의 말들은 그 語源的 原形을 밝히지 아니하고 소리대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결코 겷고
하마트면 하맣드면
第五八項 「시 지 치」로 끝난 語幹에 「어」가 와서 소리가 줄어 音節이 줄어질적에는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을 許容한다。

본말
오시어 오셔 오서
가지어 가져 가저
치어

第五九項 複合名詞 사이에 있는 「의」의 ㅡ가 줄어지고 ㅣ가 우나 아래의 홀소리에 섞여서 날적에는 소리대로 적는다。

쇠고기(소의고기) 달걀(닭의알)

第六章 外來語 表記[편집]

第六〇項 外來語를 表記할적에는 다음의 條件을 原則으로 한다。

(一) 새 文字나 符號를 쓰지 아니한다。
(二) 表音主義를 取한다。

第七章 띄어쓰기[편집]

第六一項 單語는 각각 띄어 쓰되、 토는 웃 말에 붙여 쓴다。

(一) 名詞와 토

例 (1) 사람은。 밥으로만。
   (2) 악아。   에꾸눈아。

(二) 用言의 語幹과 語尾

例 (1) 가면서 노래한다。 먹어 보아라。
   (2) 갖고。 및고。 했으니。

(三) 副詞와 토

例 퍽은。 늘이야。 잘이야。

第六二項 補助의 뜻을 가진 用言은 그 우의 用言에 붙여 쓴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먹어버린다 먹어 버린다
열어보다 열어 보다
잡아보다 잡아 보다
보아오다 보아 오다
견뎌내다 견뎌 내다

但 對立의 境遇에는 띄어 쓴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집어 버리다 집어버리다
열어 보다 열어보다

第六三項 다음과 같은 말들은 그 웃 말에 붙여 적는다。

例 (1)

를。 할가。 없는은。 될이다。 가는

(2)

하는。 될싶은。 될한。 하는

第六四項 命數辭는 그 웃 말에 붙여 쓰기로 한다。

例 한 붓 닷

第六五項 數를 우리글로 적을적에는 十進法에 依하야 띄어 쓴다。

例 일만 삼천 구백 오십 팔

附錄 一 標準語[편집]

一、 무릇 어떠한 品詞를 勿論하고 한가지 뜻을 나타내는 말이 두가지 以上 있음을 特別한 境遇에만 認定한다。

서  석  세(三)

二、 一定한 語根이나 語幹이 혹은 音이 脫落되고 혹은 군 소리가 더하여 다른 品詞로 익어버릴적에는 그 語根이나 語幹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나비(幅) 뭇(束)

三、 用言이 活用할적에는 그 語幹의 끝 音節의 홀소리가 ㅏ나 ㅗ일적에는 바침이 있거나 없거나 그 副詞形 語尾는 「아」로、 過去 時間辭는 「았」으로 定하고 그 홀소리가 ㅓ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ㅢ일적에는 「어」나 「었」으로만 定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1)

나아 나았다 나어 나었다
막아 막았다 막어 막었다
보아 보았다 보어 보었다
돌아 돌았다 돌어 돌었다

(2)

저어 저었다 저아 저았다
주어 주었다 주아 주았다
그어 그었다 그아 그았다
피어 피었다 피여 피였다
개어 개었다 개여 개였다
베어 베었다 베여 베였다
되어 되었다 되어 되었다
쉬어 쉬었다 쉬여 쉬였다
의어 의었다 의여 의였다

四、 語幹의 끝 音節이 닿소리 ㅅ ㅈ ㅊ의 바침으로 끝났을적에는 語尾의 ㅡ 소리가 ㅣ로 나는 일이 있으나、 이것은 모두 ㅡ로 統一한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갖은 갖인
있으니 있이니
좇으니 좇이니
앉으니 앉이니
궂은 궂인

五、 漢字語나 純 朝鮮語나를 勿論하고 副詞의 끝 音節이 「이」나 「히」로 混同될적에 限하야 그 말이 語源的으로 보아 「하다」가 붙을수가 있는것은 「히」로 하고、 그러ㅎ지 아니한것은 「이」로 한다。

히-심히  자연히  감히  심심히  덤덤히
이-헛되이  반가이

[附記 1] 分明히 「이」나 「히」로만 나는 것은 나는대로 적는다。

이-적이
히-극히  작히

[附記 2] 分明히 「히」나 「이」의 두가지가 다 있는 것은 上記 規則에 맞는 것을 原 則으로 하고、 그러ㅎ지 아니한쪽의 말은 許容한다。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도 許容한다)

답답히 답답이
똑똑히 똑똑이

六、 「이요」는 接續形이나 終止形이나 全部 「이요」로 하고、 「지요」는 「지요」로 統一한다。

이요-이것은 붓이요、 저것은 먹이요、 또 저것은 소요。
지요-갈 사람은 가지요。

七、 다음의 말은 甲을 原則으로 하고 乙을 許容하고 丙을 버린다。

삭이다 삭히다
시기다 시키다 식히다
박이다(使役) 박히다
박히다(被動) 박이다
[注意] 단순한 能動 「박다」의 뜻으로 「박이다」 「박히다」들을 씀은 認定하지 아니한다。

八、 다음의 말들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甲만 取하고 그 밖의 말들은 다 버린다。 (甲欄의 並記 括弧는 許容을 뜻하고、 下記 括弧는 註釋을 뜻한다) (音順)

가까스루 가까스로 (가)
가로(橫) 가루 거꾸루 거꾸로
가루(粉) 가로 거두다 걷우다
가슴 가심 (걷다)
가로되 가르대 거든 거던
가만히 가마니 겉(表)
가운대 가온데 겨우 겨오
가진(各色) 가즌 곁(傍)
갈모 갓모 계시다 게시다
갓(邊) 계집 게집
고루(均) 고로 너희 너이
고저 고자
골고루 골고로 놓치다 노치다
곳(處) 다음 다암
꽃(花) 꼿 (담)
구름 구룸 닻(錯)
끝(末) 더니 드니
나누다 노느다 더라 드라
(논다) 더라도 드라도
낟(穀) 더러 다려
낯(顔)
낱(個) 덮치다 덥치다
너무 너모 대(處)
(넘어) 데리고 다리고
데치다 뎃치다 (맘)
도루 돌오 마저 마자
도리어 도로혀 마주 마조
동곳(男簪) 동곧 마춤법(綴字法) 마침법
돛(帆) 마침(適) 마츰
돝(猪) 만나다 맛나다
되우(심히) 되오 맏(昆)
든지 던지 매우 매오
뜻(志) 머리맡(枕邊) 머리맛
려(보러 가다) 먼저 몬저
마땅히 맞당이 며느리 며누리
마디 마듸 며칠(幾日) 몇일
마음 마암 몇(幾)
모두 모다 벼(稻)
몫(配分) 뼈(骨)
뭍(陸) 볏(鏵)
밑(底) 볕(陽)
바늘 바눌 보리(麥) 버리
배우다 배호다 비다(空) 뷔다
밭(田) 비로소 비롯오
비추다(他動) 빛우다
뻐선 보선 비취다(被動) 빛외다
뻗치다 뻐치다 비치다(自動) 빛이다
벗(友) 빗(梳)
베다(枕) 비다 빚(債)
베다(斬) 버히다 빛(光)
베(布) 사뢰다 살외다
사슴 사심 숯(炭)
싸우다 싸호다 숱(量)
심다(植)
살갗(皮膚) 살갓 (시므다)
샅(股間) 아래 아레
새로 새루 아뢰다 알외다
서다(立) 스다 아버지 아바지
섬기다(事) 성기다 아직 아즉
세로(縱) 세루 어디 어듸
소금 소곰 어머니 어마니
소서 쇼셔 어찌 으찌
송곳(錐) 송곶 얼굴 얼골
솥(鼎) 없다 읎다
여덟 여듧 자주 자조
여우 여호 자취 자최
오늘 오날 저희(저의 복수) 저의
오줌 오좀 전혀 전여
오직 오즉 절루 절로
오히려 오이려 젓(醢)
외다(誦) 오이다 젖(乳)
옻(漆) 종이(紙) 조희
위(上) 처음 처엄
(우) (첨)
읍니다 음니다
(습니다) 키(높이)
이루 이로 팥(豆)
자루(柄) 자로 하는 하난
하늘 하날 하매 함애
하랴(反問) 하므로('하다'의 接續形) 함으로
하루 하로 (하는)데
합니다 함니다 행여 행혀
홀로 홀루 혹여 혹혀

附錄 二 文章 符號[편집]

文章에 쓰는 重要한 符號는 大畧 다음과 같이 定한다。


1 。 文章의 끝난것을 나타낼적에 그 끝에 쓴다。

2 ・ 西洋의 同一 人名이나 地名 사이에 쓰기로 한다。

3 、 停止하는 자리를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4  : 大體로 對等의 말을 並列할적에 그 사이에 쓴다。

5  ; 한 文章이 끝났으나 다음 文章과 意味上 連絡이 있을 境遇에 그 사이에 쓴다。

6 『』 引用을 나타낼적에 쓴다。 7 「」 二重 引用을 나타낼적에 쓴다。

8  ! 感歎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9  ? 疑問을 나타낼적에 그 말 다음에 쓴다。

10 = 單語의 中絶된것을 나타낼적에 쓴다。

11 ― 「곧」(卽)의 意味로 쓴다。

12 - - 우의 말을 다시 解釋하고 넘어갈적에 쓴다。

13 …… 말은 끝내고 뜻을 말 밖에 나타낼적에 쓴다。

이 밖에도 ( ) [ ] { } 等 符號를 쓴다。

14 固有名詞를 表示하고저 할적에는 縱書에서는 左傍에 單線을 긋고, 橫書에서는 下線을 긋는다。

15 疊用을 表示할적에는 筆記에 限하야 쓰되、 縱書에는 〻를 쓰고、 橫書에는 를 쓰기로한다。

16 長音票는 두 點을 글자의 왼쪽에 찍되、 다만 字典이나 聲音論 같은대에 聲音 符號로만 쓴다。

발〯  팔〯  경〯성(鏡城)

但 行文에서는 長音 符號를 特別히 表示하지 아니함을 原則으로 하고、 다만 外來語나 模倣語等을 特別히 表示할 必要가 있을 境遇에는 홀소리를 거듭 쓴다。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