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염사/춘향은 미인이 아니다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春香 (춘향)美人 (미인)이 아니다

—薄色 고개의 傳說—

춘향이! 춘향이! 조선에서 누가 제일 잘나고 누가 제일 이름이 많이 났느니 하여도 이 춘향이처럼 소설로 노래로 또는 연극으로 이름이 널리 전해저, 남녀노소 유식 무식 할 것 없이 누구나 잘 아는 인물은 없을 것이다. 다 죽게 된 조선 사람을 다시 살게 한 이충무공(李忠武公)의 이름은 몰라도 춘향의 이름은 모를 사람이 없고 조선 사람의 무식을 깨워 주기 위하여 한글을 창작한 세종대왕(世宗大王)은 몰라도 이 춘향이는 또한 모를 사람이 없을 것이다. 미인의 힘이란 참으로 위대하고 예술의 생명이란 정말 장원한 것이다. 소설(小說)에 나온 춘향이를 실제에 있느냐 없느냐 의문을 가지는 것도 우스운 일이요 또 이때까지 세상 사람이 천하 미인이요 열녀라고 떠드는 춘향이를 지금 와서 그가 미인이었드냐 아니었드냐 하고 논란하는 것도 역시 실없은 일 같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춘향이를 실재의 인물로 생각하고 심지어 어떤 사람은 남원(南原) 땅에 가서 고적(古蹟) 조사를 하는 때에 읍지(邑誌)를 가지고 춘향의 집터를 찾고 춘향의 무덤을 찾은 우스운 일도 있었고 재작년 여름에는 남원의 기생들이 군청에서 광한루(廣寒樓)를 수리하는 기회를 타서 마치 진주(晋州)의 기생들이 의기 논개(義妓 論介)의 사당을 지어놓듯이 춘향각(春香閣)까지 지어놓고 춘추 제향을 지내기까지 하게 된 바에야 이 춘향이를 미인이었느냐 하는 말을 쓰는 것도 과히 실없은 일은 아닐 것 같다. 그것이야 어찌 되었던 아직껏 이 세상에서는 누구나 물론하고 춘향이는 그 소설에 씨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천하의 미인이요 만고의 열녀로만 안다. 그러나 남원 부근에는 그와는 정반대 되는 한 이상한 전설이 지금껏 떠돌고 있다.

× ×

그 전설대로 말한다면 춘향이는 원래가 미인이 아니요 천하의 박색이었다. 시대는 역시 춘향전에 나타난 이조 숙종 대왕 시대와 틀림이 없고 관기(官妓) 월매의 딸인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얼굴은 춘향전에 있는 춘향과는 아주 반대의 만고박색이었다. 코는 지리병 같고 눈은 비탈에 돌아가는 도야지 눈 같고 머리는 몽당 빗자루 같고 손은 옴두꺼비의 발과 같고 목은 자라목 같고 몸집은 절구통 만한 데다가 그중에 마마를 몹시 한 탓으로 얽고 찌거매고 하여 박춘재(朴春載)의 곰보타령에 나오는 곰보 모양으로 우박 맞은 잿떼미도 같고 장마 치른 쇠똥도 같고 대추나무에 앉은 매암이 잔등도 같고 맹꽁이의 볼기짝 같아서 누구나 한 번만 치어다보면 십여 년 된 학질이 즉시에 떨어지게 무섭게 생긴 추물이었다. 그리고 보니 아무리 나이 二十이 넘어 三十줄에 가까워 온들 어떤 사람이 한번 치어다볼 이도 만무하고 더구나 통혼 같은 것은 문제도 없었다. 그러나 사람의 본능이란 어찌할 수 없는 법이라 하루는 광한루(廣寒樓) 앞 요천강(蓼川江)에서 빨래를 하다가 우연히 그 골 삿도(使道)의 아들 소위 이도령이 광한루에 놀이를 왔다가 그 강가로 지나가는 것을 보고 그의 잘난 풍채에 유혹이 되어 그만 정신을 잃어버리고 그대로 집에 돌아와서는 침식을 전폐하고 머리를 싸고 드러누웠었다. 소위 임 못 보와 생긴 병은 임 보기 전에는 못 고친다고 이도령에게 홀리어서 생긴 춘향의 병이야 아무 약을 쓴들 고칠 도리가 있으랴. 이럭저럭 수십 일이 되고 약이란 약을 쓸 대로 써도 도무지 동정이 없으며 병은 점점 기울어 가니 그가 잘났건 못났건 모성의 애야 남과 다를 이 없는 춘향의 모친은 항상 걱정에 걱정을 하다가 최후로 춘향에게 그 병난 원인을 물으니 춘향도 그 경우에 이르러서는 아무 속임도 없이 사실 그대로 고백하였다. 그러나 춘향이가 원래에 박색이니까 다른 사람도 못할 터인데 더군다나 그 골 삿도의 자제와야 말이나 걸어볼 수가 있으랴 그러나 원래 화류장에서 백전노기로 별의별 짓을 다해 본 춘향모는 문뜩 한 계책을 생각하였으니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이도령과 제일 가까이 있는 방자 놈을 돈을 주고 이도령을 꾀어서 자기의 집으로 놀러 오게 한 것이었다. 꾀는 방법은 물론 춘향전에 있는 그대로 이도령을 광한루로 놀러 오게 하고 자기의 부리는 종년에 어여쁘고 영리한 향단(香丹)을 말쑥하게 화장을 시켜서 월매의 딸이라 하고 광한루 근처에서 그네(鞦韆)를 뛰게 하여 이도령을 유인한 것이었다. 이도령이 자기의 집으로 온 뒤에는 향단으로 하여금 갖은 아양과 수단을 다 부려서 이도령을 취ㅎ도록 술을 잔뜩 먹여서 향단의 방에서 자게 하고 잠자는 밤을 타서 향단은 살짝 피하여 다른 방으로 가고 그 대신으로 춘향을 그 방으로 바꾸어 들어가게 한 것이었다. 취중에 무비일색이라고 이도령은 술 취하고 또 어둔 밤중에 어찌 향단과 춘향의 구별을 할 수 있으며 더구나 향단에게 정신을 홀짝 빼긴 이도령은 취중에 나무 등걸이나 이불 뭉치가 있어도 향단으로 알게 된 터에 그렇게 자서한 감찰도 할 여유도 없었다. 그리하여 하룻밤 동안을 춘향과 같이 단꿈을 꾸게 되었다. 그러다가 그 이튿날 아침에 이도령이 깨서 본즉 전날 밤에 보던 향단은 간 곳이 없고 천만 뜻밖에 평생에 보지 못하던 천하 추녀자가 옆에 누워 있다. 이도령은 깜짝 놀라서 혼자 생각하기를 이것이 귀신이냐 사람이냐 내가 어찌 이 여자와 같이 자게 되었으며 어젯밤 초저녁에 같이 놀다가 자던 향단은 어디로 갔노 하고 혼자말로 세상에 별일도 다 있다 하고 마치 도깨비에 홀렸던 사람 모양으로 정신이 얼떨떨하다가 그만 일어나서 몸을 뜰치고 밖으로 나가려고 하였다.

× ×

이때다. 춘향의 모는 미리 미리 그럴 줄 알고 문밖에서 등대하고 있다가 땅에 엎디며 여봅쇼 도령님 죽을죄를 용서하여 주십시요 하고 그 전후의 사실을 다 자백한 후에 또 말하기를 일이 기왕 이렇게 되었사온즉 춘향이를 영구히 사랑하여 주시면 백골난망지은으로 생각하여 죽어서도 결초보은을 하겠사오나 만일 그렇지 않으시면 진소위 하룻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고 기념으로 무슨 정품이라도 하나 주시면 도령님을 평생에 모시고 있는 것 같이 그 기념품을 영구보존하고 뒷날의 기회를 기다릴가 합니다 하니 이도령도 처음에는 방자놈과 춘향모에게 속은 것이 괘씸도 하고 분하기도 하여 싸움하고 난 사람처럼 한참 동안을 아무 말도 않고 있다가 돌이켜 생각한즉 춘향의 사정도 측은도 하려니와 아무리 천하의 추녀라도 자기 때문에 그와 같이 죽을병이 나고 또 사람의 생명을 위하여 그와 같은 수단까지 쓴 것은 방자나 춘향모에 대해서도 도리어 동정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혼자 생각에 춘향과 영구히 살 수야 없지마는 그까진 기념품 같은 것이야 남자의 풍정에 못할 것이 무엇 있으랴 하고 자기의 소맷속에 있던 비단수건 하나를 정표로 끊어주고 표연히 돌아갔다.

그런지 얼마 아니하여 상도가 갈리게 되고 이도령도 그의 아버지를 따라서 서울로 오게 되었다. 춘향이가 만일에 미인이요 이도령이 춘향에게 반한 것 같으면 물론 춘향전에 있는 것과 같은 오리정의 작별연 같은 한 막의 비극이 있었겠지마는 이도령과 춘향의 관계는 위에 말한 것과 같이 사실 그렇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도령은 떠나는 날에 춘향과 무슨 작별여부도 없이 훌훌히 떠나가게 되었다. 이도령은 그와 같이 무심하게 떠났으나 그의 반면에 있는 춘향이는 외기러기 짝사랑으로 그를 사모하여 죽을병이 들었다가 박쥐의 꿀맛 보던 꿈속 같이 이씨를 잠깐 만나보고 그의 기념품까지 얻어 가지게 되니 평생의 소원은 잠시 풀었다 할 찌라도 연연한 마음은 전보다도 더 간절하여 언제나 한번 다시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던 중에 뜻밖에 이도령이 서울로 간다는 말을 듣고는 그야말로 낙심천만하고 또 혼자 생각에도 자기가 만일에 인물이나 남과 같이 미인으로 잘났으면 비록 일시에 헤어지는 일이 있을 찌라도 후일에도 그가 자기를 찾든지 또는 자기가 이씨를 찾아갈 수도 있겠지마는 자기는 불행히 천하박색으로 생겨났은즉 이씨가 다시 자기를 찾을 이도 없고 더구나 강제로라도 한번 그에게 몸을 가깝게 한 이상은 다른 곳으로 시집도 갈 수 없는 터이니까 차라리 이도령이 떠나가는 날을 기회로 하여 깨끗이 죽는 것이 좋겠다 하고 이도령이 떠나가던 바루 그날 밤에 광한루에 가서 이도령이 주던 비단수건으로 목을 매어 애처롭게 죽으니 자기의 부모들은 물책이고 동리 사람들까지 모두 불쌍히 여겨서 이도령이 가던 임실 고개(任實 고개는 南原에서 서울로 오는 길이다)에다 장사를 지내니 그때부터 세상사람들이 그 고개를 이름하여 박색고개(薄色 고개)라 하고 그 박색고개는 즉 춘향전에 나온 박석고개인데 뒤에 이도령이 그 이름을 미화시켜서 박색을 백석으로 고친 것이었다.

× ×

춘향은 남이 죽인 것이 아니요 단지 조화옹이 잘못 점지한 탓으로 남과 같이 이 세상의 행복의 생활을 하지 못하고 그렇게 세상을 비관 자살한 것이지마는 진소위 청춘의 원한은 동해의 바다물도 능히 메울 수 있고 육체가 화하여 망부석도 된다고 그의 애달픈 원한은 마치 지이산(知異山)에 쌔운 구름덩이 모양으로 항상 흩어지지 아니하여 달 밝은 밤이나 비오는 날이면 애혼이 광한루 근처나 또는 그의 무덤이 있는 박색고개 부근에서 구슬프게 곡을 하니 아무리 담력이 센 남자라도 그의 귀곡성을 들으며 머리끝이 쥐뼛쥐뼛하고 몸에 소름이 끼치었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 그 고을에 새로 부사가 오게 되면 박색재를 넘다가는 타고 오는 말발굽이 땅에 붙고 그 험악한 춘향의 모양이 나타나는 바람에 아무 말도 못하고 그냥 경풍을 하여 당장에 죽어버렸다. 이렇게 한 번 두 번 내지 四五차나 부사가 도임을 하다가는 그곳에 와서는 죽고 죽고 하니 남원부는 무이폐읍이나 다름없이 되고 누구나 그곳에 부사 가기를 싫어하여 정부에서도 큰 걱정을 하였다. 이런 소문이 경향으로 차차 퍼지게 되니 이도령인들 어찌 그 소문을 듣지 못하였으며 또 자기로 하여 그러한 불상사가 생기게 되었으니 마음인들 어찌 불안ㅎ지 않았으랴. 언제나 기회만 있으면 자기가 그곳을 가서 속담에 소위 결자해지로 죽든지 살든지 그런 일이 없게 하도록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어느 해에 그가 과거를 보아 춘향전에 있는 것과 같이 알성급제 도장원을 하고 어명으로 지방관을 제수하게 될 때에 이도령은 자청하여 남원부사 되기를 원하니 임군께서도 그곳이 좋지 못한 것을 알고 그를 아끼어서 처음에는 그런 곳은 가지 말라고 만류를 하였으나 이몽룡이 굳이 가겠다고 간청하므로 특히 장하게 여기고 보냈다. 이도령은 벼슬보다도 그곳에 가서 춘향의 원혼을 한 번 풀어주려고 가는 것이었다. 그는 무엇보다도 자기의 유창한 문장으로 춘향의 전기와 (지금의 춘향전이 꼭 그것인지는 모르니 하여간 춘향을 실물과 정반대로 천하미인이라고 찬양한 것이다) 제문(祭文)을 짓고 부임하는 도중에 전주(全州)에 들리어서 당시 전라도에서 제일명창으로 유명한 김억석(金億石)을 불러서 자기가 지은 춘향전 노래 욕조에 맞추어서 노래 부르도록 연습을 시켜 가지고 남원으로 향하였다.

그의 일행이 박색재를 당도하니 역시 전과 같이 말발굽이 땅에 붙는지라 이도령은 말께 내려서 공중을 향하여 소리를 크게 지로되 천하 미인이요 만고열녀 춘향의 남편 이도령이 남원부사를 하여 오는 길이니 춘향은 영혼이 있거던 내의 앞으로 오너라 하니 공중에서 별안간의 사랑가 소리가 나며 말발굽이 뚝 떨어졌다. 이도령은 말에 내린 채로 천천히 걸어서 박색고개를 넘어 (양산도에 천천히 완보하여 박색재를 넘는다는 것은 이때의 광경을 노래함인 듯) 춘향이 무덤 앞에 가서 미리 준비하였던 제물과 제문을 가지고 제사를 잘 지낸 다음에 데리고 간 광대로 춘향가 한 편 목청 좋게 하니 그야말로 산명곡응하고 소리가 운소에까올 올라가며 지리산(智異山) 갈가마귀 떼까지 날아와서 춤을 추거던 춘향의 원한인들 어찌 풀리지 않을 수 있으랴. 이도령은 도임 후에 박색재를 고치어서 박석고개(礴石峴)라 하고 또 자기가 전날에 잘못 놀러 다니던 것을 후회하여 광한루(廣寒樓)는 광한루(狂漢樓) 오작교(烏鵲橋)는 오작교(誤作橋)라 고쳐 부른 일까지 있었다 한다. 이것이 과연 사실일지 모르나 남원 근방에는 늙은이들 사이에 이러한 수수꺼끼 같은 이야기가 지금껏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