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800경
776
750
676
600경
550경
540경
380경
A.D.
70경
150경
380경
400경
500경
600경
625
730
800경
826
840경
880 |
영웅시대, 호머풍의
시가(詩歌) 보급되다.
올림피아 경기를
시작하다.
전설적 시인
올림포스, 아울로스의 새양식을 확립.
테르판도로스,
7현의 키타라의 대표자가 되다.
문자로 된 기보법의
시작.
그리스의 서정적
코로스(choros) 확립하다.
알케오스, 아나크레온,
여류 시인 사포 활약하다.
피타고라스,
수학적 원리에 의한 5도음계 창시.
플라톤, 『국가』편에서
음악은 인격형성과 국가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다.
(∼A.D.100)
크리스트교회, 공동체의 상징으로서 유니즌인 찬송가를 부르다.
프톨레마이오스,
3권의 『음악론』을 저술하다.
암브로시우스,
교회에 찬송가의 사용을 촉진하다.
아우구스티누스, 『고백』
『음악론』에서 교부(敎父)의 음악관은 고대와 대조적으로 금욕적이며
비감각적이고 성구(聖句)에 종속된다고 기술하다.
보에티우스,
『음악론』에서 그리스·로마의 전통을 기술하고 음악을 '우주' '인간'
'기관(器官)'의 3가지 음악으로 분류하다. 이는 중세의 사변적 음악이론의
원천이 되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 로마교회의 성가를 집대성하여 '그레고리오 성가'를 조직화하다.
세비야의 주교
이시도르, 『백과사전』에 그리스의 자료를 기초로 성악과 악기에 대하여
기술하다.
수도사 보니파티우스,
수도원에 가창(歌唱)학교를 설립하다.
카를대제, 로마교회의
정신에 따라 전례(典禮)를 통일하고 영내의 성가(聖歌)를 보호하다.
귀중한 이론서
『음악개요』 나오다.
루트비히 경건왕,
궁정에 오르간을 건조하다.
오르간 음악에
관한 기록이 점증하다.
훅발트(Hucbald
840경∼903) 태어나다.
노트케르 발부루스(Notker Balbulus ? ∼912), 세쿠엔티아(sequentia)를
만들다.
투오틸로(Tuotilo),
「트로푸스(tropus)」를 작곡하다. |
B.C.
2333
1800경
1500경
1200경
770
500경
400경
200
A.D.28
32
100경
212
453
458
551
554
581
612
651
664
684
759
807
830
850경
918
950경 |
단군,
아사달에 도읍, 제천의식에 음악과 가무를 사용하다.
<중국>
(殷나라) 토적(土笛), 청동의 종, 금이나 비파 등 현악기의 모형(母形)을
사용.
<인도>
베다의 3음선율에 의한 낭창법 발달하다.
<중국>
(周나라 때, B.C.1200∼東周 B.C.211) 제사음악이 발달하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B.C.770∼B.C.221), 5성(聲)과 삼분손익법에 의한 12율이
확립되다.
예악(禮樂)사상에
따라 아악이 발달하다.
<인도>
최초의 음악 이론가 바라타(Bharata), 음악·무용·연극에 관한 책 『나티아
샤스트라(Natya Shastra)』를 남기다.
<인도>
인도의 2대 서사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에 의한 무용극이
발달하다.
<중국>
(漢나라 때, 前漢 B.C.202∼後漢 A.D.220) 아악을 관장하는 대악ㅁ서(大樂署)를
설치하다.
<신라 유리왕
5> 민속 환락하여 가악의 시초인 도솔가를 짓다.
<신라 유리왕
9> 팔월보름 6부의 여자들이 가위(嘉俳)놀이를 하며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다.
<중국>
(後漢, 22∼220) 불교음악과 백희(百戱)음악의 영향을 받다.
<신라 나해왕
17> 물계자, 구금제곡(구琴制曲)하다.
<신라 눌지왕
37> 각종 악인(樂人) 80인을 배 80척을 마련하여 일본에 파견하다.
<신라 자비왕
1> 낭산하에 살던 백결(百結)선생, 세모에 거문고로 대악(대樂)을
짓다.
<신라 진흥왕
12> 왕이 우륵(于勒)과 그 제자 이문(泥文)을 하림궁으로 불러 음악을
듣다.
<백제 위덕왕
1> 일본에 파견된 백제 악인 시덕, 삼근, 계덕 등이 교대하기를 청하다.
<고구려 평원왕
23> 수(隋) 개황(開皇)초의 7부기(七部伎)에 고구려기도 참여하다.
<백제 무왕
13> 백제인 미마지(味摩之), 일본에 귀화하여 기악무를 가르치다.
<신라 진덕왕
5> 음악서에 대사(大舍) 2인을 두다.
<신라 문무왕
4> 성천 구일 등 28인을 부성(府城)에 보내어 당악을 배우게 하다.
<신라 신무왕
4> 전정에서 소간전무(小墾田舞) 등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악을
아뢰다.
<신라 경덕왕
18> 월명대사(月明大師), 향가 「도솔가」를 지어 부르다.
음성서를
대악감(大樂監)으로 바꾸다.
<신라 애장왕
8> 사내금(思內琴)을 아뢸 때 무척(舞尺)은 청의(靑衣), 가척(歌尺)은
채의를 입다.
<신라 흥덕왕
4> 전감대사, 당에서 귀국하여 쌍계사에서 범패를 가르치다.
<일본>
아악(雅樂)의 악제(樂制)를 개혁하다.
<고려 태조
1> 11월에 팔관회를 두고 태조는 의봉두에 임하여 이를 보다.
<아라비아>
알 파라비(Al Farabi), 『악서(樂書)』를 저술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