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고려-조선의 문학/조선 전기 문학/조선 전기의 한문학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문학[편집]

漢文學

조선왕조 건국의 이념은 고려의 그것과 다음없이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의 혼용이었으나 다만 여말(麗末)의 불교는 벌써 민중에게 혐오의 대상이 되어 이성계가 혁명을 일으켜 조선을 이룩한 초기에 있어서는 억불(抑佛)정책을 쓰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 초 개국 공신들은 대개 문인들이었고, 그 중 정도전(鄭道傳)은 불교를 배척하여 <불씨잡변(佛氏雜辯)>과 <심기이편(心氣理篇)>을 내어 척불숭유(斥佛崇儒)를 국시(國是)로 채택하니 유교는 현실적으로 조선의 지도 이념이 되었다.

본래 유교는 경세제민(經世濟民)의 교리 탓이기도 하나, 고려 이후 과거에 한시문을 과하던 인습이 그대로 계승되어 이와 아울러 한문학은 크게 번성하게 되었다. 대개 조선의 유학은 송나라에서 철학화된 성리학이어서 실천보다 이론을 중히 여겼다. 태극설(太極說)·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음양이기설(陰陽理氣說)·형식적인 가례(家禮) 등으로 상하의 두터운 존숭을 받고 있던 불교적인 교리나 제도를 서서히 개혁, 새로운 세계관을 정립하게 되었다.

유교를 새로 철학화한 성리학의 신봉자들은 문조(文藻)보다도 경학(經學)을 중히 여겼는데, 여기서 중엽 이후부터는 도학파(道學派)와 사장파(詞章派)의 대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그 대립은 중종 때부터 표면화되어 도학파는 사장파에 대립하여 한학계에 문학이 필요 없음을 주장했는데, 조광조(趙光祖) 등이 그 대표적인 학자였다. 또한 사장파는 도학파에 대립하여 문학을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김일손(金馹孫)·남곤(南袞)·남효온(南孝溫)·조위(曺偉) 등이 중심인물이었다. 그리고 한문학의 문학으로서의 발전은 오로지 정치적 공리를 떠나 문인으로서의 사조(詞藻)의 침잠에서만 가능했고, 사회의 충실한 기록자로서만 가능했다. 그리하여 이기설(理氣說)·예론(禮論)에 대한 그칠 줄 모르는 논란보다도 문학적 기록인 당대의 사기(史記)·수록(隨錄)·패설(稗說)·시문 등이 오히려 불후의 시대적 가치를 남겨 주는 것이다.

대표적인 한문학자[편집]

代表的-漢文學者

초기의 대표적 작가로는 정이오(鄭以吾)·조운홀·유방선(柳方善) 등이 있고, 정도전과 권근(權近)은 조선 한문학의 비조(鼻祖)를 이룬다. 이어 변계량(卞季良)이 주류를 계승했고, 집현전 설치 이후에는 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정인지(鄭麟趾)·성삼문(成三問)·최항(崔恒)·유성원(柳誠源)·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 등의 학자들이 한글 창제를 전후하여 활동했으나 사육신들로 피살되자 그 소저가 전함이 없다. 또 남효온(南孝溫)·김시습(金時習)은 생육신(生六臣) 중 쟁쟁한 문장가들이다. 이어 서거정(徐居正)·김수온(金守溫)·강희맹(姜希孟)·김종직(金宗直)·이승소(李承召)·김수녕(金壽寧)·남곤(南袞)·성현(成俔) 등이 조선 초의 대표적인 한문학자들이다. 성종·명종 때의 시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인으로는 이행(李荇)·박은(朴誾)이 있고, 성리학파의 시가로는

정여창(鄭汝昌)·서경덕(徐敬德)·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조식(曺植)이 있고, 정사룡(鄭士龍)·노수신(盧守愼)·박상(朴祥)·신광한(申光漢)·황정욱(黃廷彧) 등도 이름을 남겼다. 특히 김종직(金宗直)은 일세에 뛰어난 존재였으나, 벼슬에서 물러난 후 후배를 양성함으로써 여생을 마치니 그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사화(士禍)의 도화선이 되어 유명하다.

서거정[편집]

徐居正 (1420-1488)

조선 세종-성종 때의 학자·문신.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 권근의 외손. 벼슬이 집현전 박사를 거쳐 대제학에 이름. 여섯 왕을 섬겨 45년간 조정에 참여했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다. 세조 때 <경국대전> <동국통감> 편찬에 참여했고, 성종 때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또한 왕명으로 <한약집성방(漢藥集成方)>을 국역했고,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지리·의약 등에 이르기까지 정통했다. 또한 <동인시화(東人詩話)>와 <동문선(東文選)> 등을 남겨 신라 이래 조선 초기에 이르는 시문을 선집, 한문학을 대성했다. 문집에 <사가정집(四佳亭集)>이 있고, <역대연표(歷代年表)> <태평한화(太平閑話)> <필원잡기(筆苑雜記)> <골계전(滑稽傳)> 등이 있다.

동문선(東文選)[편집]

조선 성종 때 서거정이 엮은 시문집. 내용은 신라 때부터 그 때까지의 우리나라 시문을 모은 것으로 모두 154권이다. 그 중 15권은 속편이라 하여 중종 때 신용개(申用漑)가 성종 이후의 시문을 모아 붙인 것이다.

성현[편집]

成俔 (1439-1504)

조선 세종에서 연산군 때의 학자·명신.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 벼슬이 공조판서·대제학에 이렀다. 북경(北京)에 갈 때 도중에서 지은 기행시를 엮어 <관광록(觀光錄)>이라 했고, 음률에 정통하여 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악학궤범>을 편찬하여 음악을 집대성하였다. 저서에 <허백당집(虛白堂集)> <풍아록(風雅錄)> 등이 있고, 특히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제도·문화를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김종직[편집]

金宗直 (1431-1492)

조선 세종-성종 때의 성리학자.

자는 계온(季溫), 호는 점필재. 벼슬이 형조판서·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영남학파의 우두머리로 일찍이 <조의제문>을 지은 바 있는데 이로 인하여 무오사화(戊午史禍)가 일어났다. 그의 학문 경향은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안으로 하는 실제 방면에 치중함. 저서에 <점필재집(點畢齋集)> <청구풍아(靑丘風雅)> 등이 있다.

남효온[편집]

南孝溫 (1454-1492)

생육신의 한 사람.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

김종직의 문인(門人). 현덕왕후(端宗母)의 복위를 상소했으나 임사홍(任士洪) 등의 저지로 상달되지 못하자 세상사를 비관하고 산수에 묻혀 일생을 마쳤음. 만년에 저술한 <육신전(六臣傳)>은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숙종 때 비로소 간행됨. 저서에 <추강집(秋江集)> <추강냉화(秋江冷話)> <귀신론(鬼神論)> 등이 있다.

박은[편집]

朴誾 (1479-1504)

조선 성종에서 연산군 때의 시인·학자.

자는 중열(仲悅), 호는 읍취헌. 벼슬이 교리에 이름. 경연관(經筵官)으로 유자광·성준(成浚) 등의 죄상을 연산군에게 극언(極言)했다가 파직, 갑자사화로 말미암아 처형되었다. 조선 역대를 통해 으뜸가는 한시인으로 일컬어지며, 문집에 <읍취헌유고>가 있다. 그의 한시 <복령사(福靈寺)> 셋째 구는 세상에 널리 회자됨.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春陰俗雨鳥相語 老樹無情風自哀

남곤[편집]

南袞 (1471-1527)

조선 성종에서 중종 때의 학자·문신.

자는 사화(士華), 호는 지족당(知足堂). 벼슬이 영의정에 이름. 김종직의 문인으로 사장파(詞章派)의 우두머리. 훈구파(勳舊派) 신하로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 등의 신진사류를 숙청한 바 있다.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했으나 만년에는 죄를 자책, 자신의 글로 뒤에 화를 입을까 두려워 사고(私稿)를 불태움. 저서에 <지정집(止亭集)> <유자광전(柳子光傳)>이 있다.

강희맹[편집]

姜希孟 (1424-1483)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

벼슬이 이조 판서를 거쳐 좌찬성에 이름. 문장이 당대에 으뜸이었고, 서화에도 뛰어난 재능을 나타낸다. 저서에 <사숙재집(私淑齋集)> <촌담해이> 등이 있다.

이행[편집]

李荇 (1478-1534)

조선 중종 때의 시인·학자. 호는 용재(容齋), 벼슬이 좌의정에 이름. 천성이 강직하고 순박했다 하며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해 냈음. 문집에 <용재집(容齋集)>이 있음. 그의 한시 <상월(霜月)> 1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晩來微雨洗長天 入夜高風捲瞑煙 夢覺曉鍾寒徹骨 素娥靑女鬪嬋娟(철 아닌 가랑비에 하늘은 젖고, 밤이 드니 센 바람에 연기 휘날린다. 종소리에 잠을 깨니, 추위는 사무치고 흰 서리 밝은 달에 눈이 부신다)."

노수신[편집]

盧守愼 (1515-1590)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신·학자.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 벼슬이 영의정에 이렀다. 을사사화와 양재역(良才驛) 벽서 사건으로 진도에 유배되었다. 그동안 이황·김인후(金麟厚) 등과 서신으로 학문을 토론했다. <인심도심변(人心道心辨)>을 저술했고, <대학장구(大學章句)> <동몽수지(童蒙須知)> 등을 주석했다. 문장과 서예에도 능했고 양명학(陽明學)을 깊이 연구했다. 저서에 <시강록(侍講錄)> <소재문집(蘇齋文集)>이 있다.

황정욱[편집]

黃廷彧 (1532-1607)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신.자는 경문(景文), 호는 지천(芝川). 벼슬이 예조 판서, 병조 판서에 이렀다. 문장·시·서예 등에 능했고, 문집에 <지천집(芝川集)>이 있다.

정사룡[편집]

鄭士龍 (1491-1570)

조선 성종-선조 때의 문인·문신.

벼슬이 공조 판서에 이렀다. 시문 음률에 뛰어났고 글씨에도 능했으나 탐학(貪虐)하다는 비난을 받았다. 저서에 <호음잡고(湖陰雜稿)>가 있다.

조광조[편집]

趙光祖 (1482-1519)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호는 정암(靜庵), 벼슬은 부제학·대사헌에 이렀다. 남곤(南袞)의 무고로 기묘사화 때 죽음을 당했다. 문집에 <정암집(靜庵集)>이 있고 시조 2수가 전한다.

이언적[편집]

李彦迪 (1491-1553)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문신. 본명은 적(迪), 호는 회재(晦齋). 벼슬이 대사헌·우찬성 등에 이름. 문집에 <회암집>이 전한다.

서경덕[편집]

徐敬德 (1489-1546)

조선 중종 때의 학자.호는 화담(花潭). 개성 화담에 숨어 학문과 수양으로 일세에 이름을 남겼다. 문집으로 <화담집>이 전해 오고 <청구영언>에 시조 1수가 전한다.

성혼[편집]

成渾 (1535-1598)

조선 중종-선조 때의 성리학자.호는 우계(牛溪). 벼슬이 우참찬·좌참찬에 이렀다. 문집에 <우계집>이 있다.

백광홍[편집]

白光弘 (1522-1556)

조선 명종 때의 학자·문인.아우 백광훈(白光勳)과 함께 시문에서 뛰어남을 보였다. 작품에는 관서지방의 경치를 읊은 <관서별곡>이 오늘날까지 전해 온다.

최경창[편집]

崔慶昌 (1539-1583)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호는 고죽(孤竹). 종성 부사(鍾城府使)를 지냈다. 기생 홍랑을 사랑해서 염문을 날렸고, 문집에 <고죽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