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번역:사서장구집주/논어집주 권일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학이 제일(學而第一)

[편집]

이것은 책의 첫 편이 된다. 그러므로 근본에 힘씀의 뜻을 기록한 바가 많은데, (이는) 곧 입도(入道)의 문(門)·덕적(積德)의 기초·학자의 선무(先務)이다. 모두 16장(章)이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學而時習之,不亦說乎〕 열(說)과 열(悅)은 같은 (글자이다.) 學之為言效也。 인성(人性)은 모두 착하고, 깨달음에는 선후(先後)가 있으니, 후각자(後覺者)는 반드시 선각자가 행한 바를 본받아야 하고, 그럼으로써 선(善)을 밝히고 그 처음을 회복할 수 있다. 습(習)이란 새가 빠르게 나는 것이다. 배움이 그치지 않는 것은 새가 빠르게 나는 것과 같다. ‘說’(열)은 기쁘다는 뜻이다. 배움을 다하고, 또한 때때로 그것을 익히니, 곧, 배운 바가 무르익으니, 속 마음이 기쁘고 기쁘니, 이에 다할 수 없음으로 말미암아 나아가는 것이다. 정자(程子)[1]가 말했다. “습(習)이란 거듭 익히는 것이다. 때때로 거듭 생각하고 풀어내어, 그 가운데에 흠뻑 젖어드니, 곧 기쁘다는 것이다.” 또한 이르기를, “배움이란 이를 행함으로써 나아가는 것이다. 때때로 그것을 익힌 즉, 배운 바가 나에게 존재하니, 그러므로 기쁘다는 것이다.” 하였다. 謝氏曰:「수시로 익힌다는 것은 익히지 아니하는 때가 없다는 것이다. (꼼짝도 하지 않는) 주검처럼 앉아서는, 앉아서도 수시로 익히고, 단정하게 똑바로 서서는〔立〕[2], 서서도 수시로 익힌다는 것이다.

벗이 있어 원방에서부터 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하겠는가?〔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락(樂)은 락(洛)이라고 읽는다. 붕(朋)이란 같은 무리라는 것이다. 원방에서부터 오니, 곧 다가오면 알 수 있다. 정자(程子)가 이르기를, “선(善)을 타인에게 미치게 하면, 믿고 따르는 자가 많으니, 따라서 가히 즐겁다.”라 하였고, 또한 이르기를, “기쁨〔說〕은 마음 속에 있고, 즐거움〔樂〕은 주로 바깥으로 발산한다.”라 하였다. 남이 (나를) 알아 주지 아니하여도 노여워하지 아니하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 온(慍)의 음은 ‘junH’[3]이다. 온(慍)은 노여워한다는 뜻을 포함한다. 군자(君子)란 성덕(成德)한 자를 가리킨다. 윤씨(尹氏)가 이르기를 “배움은 내 속에 있고, 알고 모르고는 타인에게 달려 있는 바, 어찌 노여울 수 있겠는가?”라 하였다. 정자(程子)가 이르기를 “비록 즐거움이 타인에게 미치나, 이를 보지도 않고, 괴로워하지도 아니하면 곧 군자라 불린다.”하였다. 愚謂 다른 사람과 함께 하여 즐기는 것은 순하고 쉽지만,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아니하는 것은 거스리는 것이고 (해내기가) 어려우므로 오직 성덕(成德)한 자만이 그것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덕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곧, 달리 말하면 배움이 올곧게 되고 익힘이 무르익으며 기쁨이 깊어져 그치지 않는 것일 뿐이다. 정자(程子)가 이르기를 “즐거움은 기쁨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얻는다. 즐거움이 아니라면, 군자라고 말하기에 부족하다.” 하였다.

유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위인(爲人)이 효도하고 공경하면서도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 것이니,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지 아니하면서도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아니하다.” 〔其為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 「제(弟)·호(好)는 모두 거성(去聲)이다. 선(鮮)은 상성(上聲)이이다. 이하에서도 같다. 유자(有子)는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약(若)이다.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을 효라 하고, 형과 연장자를 잘 섬기는 것을 공경함이라 한다. 범상(犯上)이란 윗 사람에게 범하는 것을 말한다. 선(鮮)은 드물다는 것이다. 작난(作亂)이란 즉, 패역(悖逆)하고 투쟁하는 것을 말한다. 이 말은 사람이 능히 효도하고 공경하면, 그 마음이 화순(和順)하므로,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기가 드물고, 반드시 작난을 좋아하지 아니한다는 것이다.군자는 근본에 힘을 쓰는 것이니,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 것이다. 효제(孝悌)라는 것은 이에 어짊〔仁〕을 행함의 근본이다.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為仁之本與!」〕 여(與)는 평성(平聲)이다. 무(務)는 전력(專力)한다는 것이다. 본(本)은 근(根)과 같다. 어짊은 사랑의 이치요, 마음의 덕이다. 어짊을 행함〔為仁〕은 어짊을 행함〔行仁〕과 같다. 여(與)는 의사(疑辭)로, 겸퇴(謙退)하여 감히 질언(質言)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범사(凡事)에 군자는 근본에 오로지 힘을 쓰면, 이윽고 근본이 서고, 곧, 그 도가 스스로 생긴다는 것을 말한다. 상문(上文)의 효제(孝悌)를 좇는 것이야말로 어짊을 행하는 근본이니, 학자가 이에 힘쓰면 인도(仁道)가 여기서 나온다. 정자가 이르기를 :「孝弟,順德也,故不好犯上,豈復有逆理亂常之事。德有本,本立則其道充大。孝弟行於家,而後仁愛及於物,所謂親親而仁民也。故為仁以孝弟為本。論性,則以仁為孝弟之本。」或問:「孝弟為仁之本,此是由孝弟可以至仁否?」曰:「非也。謂行仁自孝弟始,孝弟是仁之一事。謂之行仁之本則可,謂是仁之本則不可。蓋仁是性也,孝弟是用也,性中只有個仁、義、禮、智四者而已,曷嘗有孝弟來。然仁主於愛,愛莫大於愛親,故曰孝弟也者,其為仁之本與!」

공자께서 말씀하셨다.「巧言令色,鮮矣仁!」 巧,好。令,善也。好其言,善其色,致飾於外,務以悅人,則人欲肆而本心之德亡矣。聖人辭不迫切,專言鮮,則絕無可知,學者所當深戒也。정자가 이르기를 :「知巧言令色之非仁,則知仁矣。」

증자(曾子)가 이르기를, :「吾日三省吾身:為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不習乎?」省,悉井反。為,去聲。傳,平聲。증자는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삼(參)이고 자(字)는 자여(子輿)이다. 盡己之謂忠。以實之謂信。傳,謂受之於師。習,謂熟之於己。曾子以此三者日省其身,有則改之,無則加勉,其自治誠切如此,可謂得為學之本矣。而三者之序,則又以忠信為傳習之本也。尹氏曰:「曾子守約,故動必求諸身。」謝氏曰:「제자(諸子)의 학문은 모두 성인(聖人)에게서 나온다. 其後愈遠而愈失其真。홀로 증자의 학문은 오로지 안에서 마음을 쓰는 것이다. 故傳之無弊,觀於子思孟子可見矣。惜乎!其嘉言善行,不盡傳於世也。其倖存而未泯者,學者其可不盡心乎!」

공자께서 말씀하셨다.「道千乘之國:敬事而信,節用而愛人,使民以時。」道、乘,皆去聲。道,治也。馬氏云:「八百家出車一乘。」[4]千乘,諸侯之國,其地可出兵車千乘者也。敬者,主一無適之謂。敬事而信者,敬其事而信於民也。時,謂農隙之時。言治國之要,在此五者,亦務本之意也。정자가 이르기를 :「此言至淺,然當時諸侯果能此,亦足以治其國矣。聖人言雖至近,上下皆通。此三言者,若推其極,堯舜之治亦不過此。若常人之言近,則淺近而已矣。」楊氏曰:「上不敬則下慢,不信則下疑,下慢而疑,事不立矣。敬事而信,以身先之也。易曰:『節以制度,不傷財,不害民。』蓋侈用則傷財,傷財必至於害民,故愛民必先於節用。然使之不以其時,則力本者不獲自盡,雖有愛人之心,而人不被其澤矣。然此特論其所存而已,未及為政也。苟無是心,則雖有政,不行焉。」胡氏曰:「凡此數者,又皆以敬為主。」愚謂五者反覆相因,各有次第,讀者宜細推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弟子入則孝,出則弟,謹而信,泛愛眾,而親仁。行有餘力,則以學文。」 제자(弟子)의 제(弟) 자(字)는 상성(上聲)이다. 則弟之弟,去聲。謹者,行之有常也。信者,言之有實也。泛,廣也。眾,謂眾人。親,近也。仁,謂仁者。餘力,猶言暇日。以,用也。文,謂詩書六藝之文。정자가 이르기를 :「為弟子之職,力有餘則學文,不修其職而先文,非為己之學也。」尹氏曰:「德行,本也。文藝,末也。窮其本末,知所先後,可以入德矣。」洪氏曰:「未有餘力而學文,則文滅其質;有餘力而不學文,則質勝而野。」愚謂力行而不學文,則無以考聖賢之成法,識事理之當然,而所行或出於私意,非但失之於野而已。

자하(子夏)께서 말씀하셨다. 「賢賢易色,事父母能竭其力,事君能致其身,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 자하는 공자의 제자로, 성은 복(卜)씨이고, 이름은 상(商)이다. 賢人之賢,而易其好色之心,好善有誠也。致,猶委也。委致其身,謂不有其身也。四者皆人倫之大者,而行之必盡其誠,學求如是而已。故子夏言有能如是之人,苟非生質之美,必其務學之至。雖或以為未嘗為學,我必謂之已學也。游氏曰:「三代之學,皆所以明人倫也。能是四者,則於人倫厚矣。學之為道,何以加此。子夏以文學名,而其言如此,則古人之所謂學者可知矣。그러므로 학이일편(學而一篇)은 대저 모두, 근본에 힘씀에 있다. 」吳氏曰:「子夏之言,其意善矣。然辭氣之間,抑揚太過,其流之弊,將或至於廢學。必若上章夫子之言,然後為無弊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 重,厚重。威,威嚴。固,堅固也。輕乎外者,必不能堅乎內,故不厚重則無威嚴,而所學亦不堅固也。主忠信。人不忠信,則事皆無實,為惡則易,為善則難,故學者必以是為主焉。程子曰:「人道惟在忠信,不誠則無物,且出入無時,莫知其鄉者,人心也。若無忠信,豈復有物乎?」無友不如己者。無、毋通,禁止辭也。友所以輔仁,不如己,則無益而有損。過則勿憚改。」勿,亦禁止之辭。憚,畏難也。自治不勇,則惡日長,故有過則當速改,不可畏難而苟安也。程子曰:「學問之道無他也,知其不善,則速改以從善而已。」程子曰:「君子自修之道當如是也。」游氏曰:「君子之道,以威重為質,而學以成之。學之道,必以忠信為主,而以勝己者輔之。然或吝於改過,則終無以入德,而賢者亦未必樂告以善道,故以過勿憚改終焉。」

  曾子曰:「慎終追遠,民德歸厚矣。」慎終者,喪盡其禮。追遠者,祭盡其誠。民德歸厚,謂下民化之,其德亦歸於厚。蓋終者,人之所易忽也,而能謹之;遠者,人之所易忘也,而能追之:厚之道也。故以此自為,則己之德厚,下民化之,則其德亦歸於厚也。

  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必聞其政,求之與?抑與之與?」之與之與,平聲,下同。子禽,姓陳,名亢。子貢,姓端木,名賜。皆孔子弟子。或曰:「亢,子貢弟子。」未知孰是。抑,反語辭。子貢曰:「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夫子之求之也,其諸異乎人之求之與?」溫,和厚也。良,易直也。恭,莊敬也。儉,節制也。讓,謙遜也。五者,夫子之盛德光輝接於人者也。其諸,語辭也。人,他人也。言夫子未嘗求之,但其德容如是,故時君敬信,自以其政就而問之耳,非若他人必求之而後得也。聖人過化存神之妙,未易窺測,然即此而觀,則其德盛禮恭而不願乎外,亦可見矣。學者所當潛心而勉學也。謝氏曰:「學者觀於聖人威儀之間,亦可以進德矣。若子貢亦可謂善觀聖人矣,亦可謂善言德行矣。今去聖人千五百年,以此五者想見其形容,尚能使人興起,而況於親炙之者乎?」張敬夫曰:「夫子至是邦必聞其政,而未有能委國而授之以政者。蓋見聖人之儀刑而樂告之者,秉彝好德之良心也,而私慾害之,是以終不能用耳。」

  子曰:「父在,觀其志;父沒,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行,去聲。○父在,子不得自專,而志則可知。父沒,然後其行可見。故觀此足以知其人之善惡,然又必能三年無改於父之道,乃見其孝,不然,則所行雖善,亦不得為孝矣。○尹氏曰:「如其道,雖終身無改可也。如其非道,何待三年。然則三年無改者,孝子之心有所不忍故也。」游氏曰:「三年無改,亦謂在所當改而可以未改者耳。」

  有子曰:「禮之用,和為貴。先王之道斯為美,小大由之。禮者,天理之節文,人事之儀則也。和者,從容不迫之意。蓋禮之為體雖嚴,而皆出於自然之理,故其為用,必從容而不迫,乃為可貴。先王之道,此其所以為美,而小事大事無不由之也。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承上文而言,如此而復有所不行者,以其徒知和之為貴而一於和,不復以禮節之,則亦非復理之本然矣,所以流蕩忘反,而亦不可行也。程子曰:「禮勝則離,故禮之用和為貴。先王之道以斯為美,而小大由之。樂勝則流,故有所不行者,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范氏曰:「凡禮之體主於敬,而其用則以和為貴。敬者,禮之所以立也;和者,樂之所由生也。若有子可謂達禮樂之本矣。」愚謂嚴而泰,和而節,此理之自然,禮之全體也。毫釐有差,則失其中正,而各倚於一偏,其不可行均矣。

  有子曰:「信近於義,言可復也;恭近於禮,遠恥辱也;因不失其親,亦可宗也。」近、遠,皆去聲。信,約信也。義者,事之宜也。復,踐言也。恭,致敬也。禮,節文也。因,猶依也。宗,猶主也。言約信而合其宜,則言必可踐矣。致恭而中其節,則能遠恥辱矣。所依者不失其可親之人,則亦可以宗而主之矣。此言人之言行交際,皆當謹之於始而慮其所終,不然,則因仍苟且之間,將有不勝其自失之悔者矣。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慎於言,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好,去聲。不求安飽者,志有在而不暇及也。敏於事者,勉其所不足。慎於言者,不敢盡其所有餘也。然猶不敢自是,而必就有道之人,以正其是非,則可謂好學矣。凡言道者,皆謂事物當然之理,人之所共由者也。尹氏曰:「君子之學,能是四者,可謂篤志力行者矣。然不取正於有道,未免有差,如楊墨學仁義而差者也,其流至於無父無君,謂之好學可乎?」

  子貢曰:「貧而無諂,富而無驕,何如?」子曰:「可也。未若貧而樂,富而好禮者也。」樂,音洛。好,去聲。諂,卑屈也。驕,矜肆也。常人溺於貧富之中,而不知所以自守,故必有二者之病。無諂無驕,則知自守矣,而未能超乎貧富之外也。凡曰可者,僅可而有所未盡之辭也。樂則心廣體胖而忘其貧,好禮則安處善,樂循理,亦不自知其富矣。子貢貨殖,蓋先貧後富,而嘗用力於自守者,故以此為問。而夫子答之如此,蓋許其所已能,而勉其所未至也。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磋,七多反。與,平聲。詩衛風淇澳之篇,言治骨角者,既切之而復磋之;治玉石者,既琢之而復磨之;治之已精,而益求其精也。子貢自以無諂無驕為至矣,聞夫子之言,又知義理之無窮,雖有得焉,而未可遽自足也,故引是詩以明之。子曰:「賜也,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往者,其所已言者。來者,其所未言者。愚按:此章問答,其淺深高下,固不待辨說而明矣。然不切則磋無所施,不琢則磨無所措。故學者雖不可安於小成,而不求造道之極致;亦不可騖於虛遠,而不察切己之實病也。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尹氏曰:「君子求在我者,故不患人之不己知。不知人,則是非邪正或不能辨,故以為患也。」

為政第二

[편집]

모두 24장(章)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덕으로써 정치를 행하는 것은 비유컨대 북극성은 그 자리에 머물고 여러 별들이 그것을 받드는 것과 같다.”〔為政以德,譬如北辰,居其所而眾星共之。〕 하였다. 공(共)의 음은 공(拱)이다. 공(拱)이라고도 한다. 政之為言正也,所以正人之不正也。德之為言得也,得於心而不失也。北辰,北極,天之樞也。居其所,不動也。共,向也,言眾星四面旋繞而歸向之也。為政以德,則無為而天下歸之,其象如此。程子曰:「為政以德,然後無為。」范氏曰:「為政以德,則不動而化、不言而信、無為而成。所守者至簡而能御煩,所處者至靜而能制動,所務者至寡而能服眾。」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시 300편을 한마디로 하면, 생각에 거짓이 없다는 것이다.”〔詩三百,一言以蔽之,曰『思無邪』。〕하였다. 《시경》(詩經) 삼백십일편은 말하자면 삼백(이라는 것으로), 큰 수를 제시한 것이다. 폐(蔽, 포괄하다)는 개(蓋, 덮다)와 같다. “생각에 거짓이 없다〔思無邪〕”는 (《시경》) 노송(魯頌) 경편(駉篇)의 사(辭)이다. 凡詩之言,善者可以感發人之善心,惡者可以懲創人之逸志,其用歸於使人得其情性之正而已。然其言微婉,且或各因一事而發,求其直指全體,則未有若此之明且盡者。故夫子言詩三百篇,而惟此一言足以盡蓋其義,其示人之意亦深切矣。程子曰:「『思無邪』者,誠也。」范氏曰:「學者必務知要,知要則能守約,守約則足以盡博矣。經禮三百,曲禮三千,亦可以一言以蔽之,曰『毋不敬』。」

  子曰:「道之以政,齊之以刑,民免而無恥;道,音導,下同。道,猶引導,謂先之也。政,謂法制禁令也。齊,所以一之也。道之而不從者,有刑以一之也。免而無恥,謂苟免刑罰。而無所羞愧,蓋雖不敢為惡,而為惡之心未嘗忘也。道之以德,齊之以禮,有恥且格。」禮,謂制度品節也。格,至也。言躬行以率之,則民固有所觀感而興起矣,而其淺深厚薄之不一者,又有禮以一之,則民恥於不善,而又有以至於善也。一說,格,正也。書曰:「格其非心。」愚謂政者,為治之具。刑者,輔治之法。德禮則所以出治之本,而德又禮之本也。此其相為終始,雖不可以偏廢,然政刑能使民遠罪而已,德禮之效,則有以使民日遷善而不自知。故治民者不可徒恃其末,又當深探其本也。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子曰:「吾十有五而志於學,〕 옛 사람은 (나이) 열다섯에 학문을 이루어 나라를 다스릴 수 있었다. 心之所之謂之志。此所謂學,即大學之道也。志乎此,則唸唸在此而為之不厭矣。三十而立,有以自立,則守之固而無所事志矣。四十而不惑,於事物之所當然,皆無所疑,則知之明而無所事守矣。五十而知天命,天命,即天道之流行而賦於物者,乃事物所以當然之故也。知此則知極其精,而不惑又不足言矣。六十而耳順,聲入心通,無所違逆,知之之至,不思而得也。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從,如字。從,隨也。矩,法度之器,所以為方者也。隨其心之所欲,而自不過於法度,安而行之,不勉而中也。程子曰:「孔子生而知之也,言亦由學而至,所以勉進後人也。立,能自立於斯道也。不惑,則無所疑矣。知天命,窮理盡性也。耳順,所聞皆通也。從心所欲,不踰矩,則不勉而中矣。」又曰:「孔子自言其進德之序如此者,聖人未必然,但為學者立法,使之盈科而後進,成章而後達耳。」胡氏曰:「聖人之教亦多術,然其要使人不失其本心而已。欲得此心者,惟志乎聖人所示之學,循其序而進焉。至於一疵不存、萬理明盡之後,則其日用之間,本心瑩然,隨所意欲,莫非至理。蓋心即體,欲即用,體即道,用即義,聲為律而身為度矣。」又曰:「聖人言此,一以示學者當優遊●泳,不可躐等而進;二以示學者當日就月將,不可半途而廢也。」愚謂聖人生知安行,固無積累之漸,然其心未嘗自謂已至此也。是其日用之間,必有獨覺其進而人不及知者。故因其近似以自名,欲學者以是為則而自勉,非心實自聖而姑為是退托也。後凡言謙辭之屬,意皆放此。

맹의자(孟懿子)가 효(孝)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거스리지 않는 것이다. ” 하였다.〔孟懿子問孝。子曰:「無違。」〕 맹의자는 노(魯)나라의 대부(大夫) 중손씨(仲孫氏)로, 이름은 하기(何忌)이다. 無違,謂不背於理。}}樊遲御,子告之曰:「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 樊遲,孔子弟子,名須。御,為孔子御車也。孟孫,即仲孫也。夫子以懿子未達而不能問,恐其失指,而以從親之令為孝,故語樊遲以發之。樊遲曰:「何謂也?」子曰:「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生事葬祭,事親之始終具矣。禮,即理之節文也。人之事親,自始至終,一於禮而不苟,其尊親也至矣。是時三家僭禮,故夫子以是警之,然語意渾然,又若不專為三家發者,所以為聖人之言也。胡氏曰:「人之欲孝其親,心雖無窮,而分則有限。得為而不為,與不得為而為之,均於不孝。所謂以禮者,為其所得為者而已矣。」

  孟武伯問孝。子曰:「父母唯其疾之憂。」武伯,懿子之子,名彘。言父母愛子之心,無所不至,惟恐其有疾病,常以為憂也。人子體此,而以父母之心為心,則凡所以守其身者,自不容於不謹矣,豈不可以為孝乎?舊說,人子能使父母不以其陷於不義為憂,而獨以其疾為憂,乃可謂孝。亦通。

  子游問孝。子曰:「今之孝者,是謂能養。至於犬馬,皆能有養;不敬,何以別乎?」養,去聲。別,彼列反。子游,孔子弟子,姓言,名偃。養,謂飲食供奉也。犬馬待人而食,亦若養然。言人畜犬馬,皆能有以養之,若能養其親而敬不至,則與養犬馬者何異。甚言不敬之罪,所以深警之也。胡氏曰:「世俗事親,能養足矣。狎恩恃愛,而不知其漸流於不敬,則非小失也。子游聖門高弟,未必至此,聖人直恐其愛踰於敬,故以是深警發之也。

  子夏問孝。子曰:「色難。有事弟子服其勞,有酒食先生饌,曾是以為孝乎?」食,音嗣。色難,謂事親之際,惟色為難也。食,飯也。先生,父兄也。饌,飲食之也。曾,猶嘗也。蓋孝子之有深愛者,必有和氣;有和氣者,必有愉色;有愉色者,必有婉容;故事親之際,惟色為難耳,服勞奉養未足為孝也。舊說,承順父母之色為難,亦通。程子曰:「告懿子,告眾人者也。告武伯者,以其人多可憂之事。子游能養而或失於敬,子夏能直義而或少溫潤之色。各因其材之高下,與其所失而告之,故不同也。」

  子曰:「吾與回言終日,不違如愚。退而省其私,亦足以發。回也不愚。」回,孔子弟子,姓顏。字子淵。不違者,意不相背,有聽受而無問難也。私,謂燕居獨處,非進見請問之時。發,謂發明所言之理。愚聞之師曰:「顏子深潛純粹,其於聖人體段已具。其聞夫子之言,默識心融,觸處洞然,自有條理。故終日言,但見其不違如愚人而已。及退省其私,則見其日用動靜語默之間,皆足以發明夫子之道,坦然由之而無疑,然後知其不愚也。」

  子曰:「視其所以,以,為也。為善者為君子,為惡者為小人。觀其所由,觀,比視為詳矣。由,從也。事雖為善,而意之所從來者有未善焉,則亦不得為君子矣。或曰:「由,行也。謂所以行其所為者也。」察其所安。察,則又加詳矣。安,所樂也。所由雖善,而心之所樂者不在於是,則亦偽耳,豈能久而不變哉?人焉廋哉?人焉廋哉?」焉,於虔反。廋,所留反。焉,何也。廋,匿也。重言以深明之。程子曰:「在己者能知言窮理,則能以此察人如聖人也。」

  子曰:「溫故而知新,可以為師矣。」溫,尋繹也。故者,舊所聞。新者,今所得。言學能時習舊聞,而每有新得,則所學在我,而其應不窮,故可以為人師。若夫記問之學,則無得於心,而所知有限,故學記譏其「不足以為人師」,正與此意互相發也。

  子曰:「君子不器。」器者,各適其用而不能相通。成德之士,體無不具,故用無不周,非特為一才一藝而已。

  子貢問君子。子曰:「先行其言而後從之。」周氏曰:「先行其言者,行之於未言之前;而後從之者,言之於既行之後。」范氏曰:「子貢之患,非言之艱而行之艱,故告之以此。」

  子曰:「君子周而不比,小人比而不周。」周,普遍也。比,偏黨也。皆與人親厚之意,但周公而比私耳。君子小人所為不同,如陰陽晝夜,每每相反。然究其所以分,則在公私之際,毫釐之差耳。故聖人於周比、和同、驕泰之屬,常對舉而互言之,欲學者察乎兩閒,而審其取捨之幾也。

  子曰:「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不求諸心,故昏而無得。不習其事,故危而不安。程子曰:「博學、審問、慎思、明辨、篤行五者,廢其一,非學也。」

  子曰:「攻乎異端,斯害也已!」范氏曰:「攻,專治也,故治木石金玉之工曰攻。異端,非聖人之道,而別為一端,如楊墨是也。其率天下至於無父無君,專治而欲精之,為害甚矣!」程子曰「佛氏之言,比之楊墨,尤為近理,所以其害為尤甚。學者當如淫聲美色以遠之,不爾,則駸駸然入於其中矣。」

  子曰:「由!誨女知之乎?知之為知之,不知為不知,是知也。」女,音汝。由,孔子弟子,姓仲,字子路。子路好勇,蓋有強其所不知以為知者,故夫子告之曰:我教女以知之之道乎!但所知者則以為知,所不知者則以為不知。如此則雖或不能盡知,而無自欺之蔽,亦不害其為知矣。況由此而求之,又有可知之理乎?

  子張學干祿。子張,孔子弟子,姓顓孫,名師。干,求也。祿,仕者之奉也。子曰:「多聞闕疑,慎言其餘,則寡尤;多見闕殆,慎行其餘,則寡悔。言寡尤,行寡悔,祿在其中矣。」行寡之行,去聲。呂氏曰:「疑者所未信,殆者所未安。」程子曰:「尤,罪自外至者也。悔,理自內出者也。」愚謂多聞見者學之博,闕疑殆者擇之精,慎言行者守之約。凡言在其中者,皆不求而自至之辭。言此以救子張之失而進之也。程子曰:「修天爵則人爵至,君子言行能謹,得祿之道也。子張學干祿,故告之以此,使定其心而不為利祿動,若顏閔則無此問矣。或疑如此亦有不得祿者,孔子蓋曰耕也餒在其中,惟理可為者為之而已矣。」

  哀公問曰:「何為則民服?」孔子對曰:「舉直錯諸枉,則民服;舉枉錯諸直,則民不服。」哀公,魯君,名蔣。凡君問,皆稱孔子對曰者,尊君也。錯,捨置也。諸,眾也。程子曰:「舉錯得義,則人心服。」謝氏曰:「好直而惡枉,天下之至情也。順之則服,逆之則去,必然之理也。然或無道以照之,則以直為枉,以枉為直者多矣,是以君子大居敬而貴窮理也。」

  季康子問:「使民敬、忠以勸,如之何?」子曰:「臨之以莊則敬,孝慈則忠,舉善而教不能則勸。」季康子,魯大夫季孫氏,名肥。莊,謂容貌端嚴也。臨民以莊,則民敬於己。孝於親,慈於眾,則民忠於己。善者舉之而不能者教之,則民有所勸而樂於為善。張敬夫曰:「此皆在我所當為,非為欲使民敬忠以勸而為之也。然能如是,則其應蓋有不期然而然者矣。」

  或謂孔子曰:「子奚不為政?」定公初年,孔子不仕,故或人疑其不為政也。子曰:「書云:『孝乎惟孝、友于兄弟,施於有政。』是亦為政,奚其為為政?」書周書君陳篇。書云孝乎者,言書之言孝如此也。善兄弟曰友。書言君陳能孝於親,友于兄弟,又能推廣此心,以為一家之政。孔子引之,言如此,則是亦為政矣,何必居位乃為為政乎?蓋孔子之不仕,有難以語或人者,故托此以告之,要之至理亦不外是。

  子曰:「人而無信,不知其可也。大車無輗,小車無軏,其何以行之哉?」輗,五兮反。軏,音月。大車,謂平地任載之車。輗,轅端橫木,縛軛以駕牛者。小車,謂田車、兵車、乘車。軏,轅端上曲,鉤衡以駕馬者。車無此二者,則不可以行,人而無信,亦猶是也。

  子張問:「十世可知也?」陸氏曰:「也,一作乎。」王者易姓受命為一世。子張問自此以後,十世之事,可前知乎?子曰:「殷因於夏禮,所損益,可知也;周因於殷禮,所損益,可知也;其或繼周者,雖百世可知也。」馬氏曰:「所因,謂三綱五常。所損益,謂文質三統。」愚按:三綱,謂:君為臣綱,父為子綱,夫為妻綱。五常,謂:仁、義、禮、智、信。文質,謂:夏尚忠,商尚質,周尚文。三統,謂:夏正建寅為人統,商正建丑為地統,周正建子為天統。三綱五常,禮之大體,三代相繼,皆因之而不能變。其所損益,不過文章制度小過不及之間,而其已然之跡,今皆可見。則自今以往,或有繼周而王者,雖百世之遠,所因所革,亦不過此,豈但十世而已乎!聖人所以知來者蓋如此,非若後世讖緯術數之學也。胡氏曰「子張之問,蓋欲知來,而聖人言其既往者以明之也。夫自修身以至於為天下,不可一日而無禮。天敘天秩,人所共由,禮之本也。商不能改乎夏,周不能改乎商,所謂天地之常經也。若乃制度文為,或太過則當損,或不足則當益,益之損之。與時宜之,而所因者不壞,是古今之通義也。因往推來,雖百世之遠,不過如此而已矣。」

  子曰:「非其鬼而祭之,諂也。非其鬼,謂非其所當祭之鬼。諂,求媚也。見義不為,無勇也。」知而不為,是無勇也。

각주

[편집]
  1. 정자(程子) 또는 이정자(二程子)는 송나라 시대의 유학자 정호(程顥: 1032~1085) · 정이(程頤: 1033~1107)의 두 형제를 통칭하는 존칭어이다.
  2. 「立」은 원작에서 「一」이나, 청방송대자본(清仿宋大字本)에 근거하여 고쳤다.
  3. 원문은 반절 표시 紆問反이다. (초성은 우(紆)의 ‘ㅇ’, 중성 및 종성은 문(問)의 ‘운’이다.ᅟ)
  4. 「馬氏云八百家出車一乘」十字,據清仿宋大字本補。

라이선스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