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입 창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입창[편집]

立唱 한 사람이 장고를 메고 소리를 메기면 소고(小鼓)를 쥔 4, 5인이 1렬로 늘어서서 전진 또는 후퇴하여 발림춤을 추면서 제창(齊唱)으로 소리를 받는다. 이것을 '서서 소리한다' 하여 선소리 또는 입창이라 하는데, 넓은 의미의 입창은 산타령 외에도 보렴(報念)·화초사거리(花草四巨里)·양산도·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경복궁타령 등을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의 입창은 산타령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산타령에는 경기(京畿) 산타령과 서도(西道) 산타령이 있다.

입창의 연혁[편집]

立唱-沿革

입창은 원래 사당패(社堂牌)의 소리이다. 사당패는 수백년 전부터 절간에서 타락한 일부 우바새(優婆塞, 일명 居士 또는 男寺黨)와 우바이(優婆夷, 일명 拾當 또는 女寺黨)들이 민가로 혹은 절로 떼를 지어 돌아다니면서 매창매기(賣娼賣技)하였다. 이 사당패의 본원지는 경기도 안성군 청룡사(靑龍寺)로 알려져 있다.

입창의 종류[편집]

立唱-種類

입창 즉 선소리는 불리는 지방에 따라 경기입창·서도입창·남도입창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경기입창이 원형인 것 같고, 서도입창은 경기입창에서 파생된 것 같다. 남도입창도 남도육자배기 가락이 아닌 대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경기입창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기입창[편집]

京畿立唱

서울·경기도에서 불리는 입창. 놀량·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산타령(도라지타령)으로 구성되었고, 여기에 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개구리타령·도화타령 등이 덧붙여져 불린다. 방아타령 이하는 후렴이 붙는 짧은 장절형식이어서 대개 민요에 넣는다. 경기입창은 오강(五江)을 중심으로 성창되었고, 특히 정월 대보름날 답교(踏橋)놀이에서 불리어 이름이 높다.

경기놀량[편집]

京畿-

경기입창 중의 제일 첫째 곡. 일정한 장단이 없고, 통절형식(通節形式)으로 되어 있다. 매우 높은 음넓이로 되어 있고, 완전4도 위에 장3도를 쌓아올려 퍽 씩씩한 맛이 난다.

경기앞산타령[편집]

京畿-打令

경기입창 중 두 번째 곡.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그 근처에 있는 산을 불렀다.

果川 冠岳山 念佛庵 變主臺요

道峰 佛性 三幕으로 돌아든다

놀량이 통절형식인 데 반하여 앞산타령은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되어 있다. 장단과 선율형은 놀량과 같으나, 퍽 씩씩한 맛이 난다.

경기뒷산타령[편집]

京畿-打令

경기입창 중 세 번째 곡. 앞산타령과 마찬가지로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산타령의 네 거리 중 중(中)거리라고도 불린다. 서울을 중심으로 하여 그 뒤편의 산을 노래한 격이다. 장단과 선율형은 놀량과 같다.

도라지타령[편집]

-打令

경기입창 중 네 번째 곡. 앞산타령이나 뒷산타령과 마찬가지로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산타령의 네 거리 중 제일 마지막 거리로서, 자진 산타령이라고도 한다. 한 배(tempo)가 빨라 퍽 경쾌하며, 완전4도 위에 장3도를 쌓아 놓은 스타일이고, 씩씩한 맛이 난다. 선율의 모양은 경기 뒷산타령과 비슷하다.

서도입창[편집]

西道立唱

평안도·황해도 중 서도지방에서 불리는 입창. 놀량·앞산타령·뒷산타령·경사거리(경발림)로 구성되었다. 앞산타령을 사거리, 뒷산타령을 중거리라고도 한다. 경기도 입창에서 파생된 것이다. 세마치·도드리·자진타령 등을 섞어 치는 변박이 많다.

서도놀량[편집]

西道-

서도입창 중 제일 첫째 곡. 경기놀량과 마친가지로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다. 서도놀량은 경기놀량의 중간 부분에서 시작하며, 경기놀량에 비하여 리듬이나 한배가 퍽 세련되어 있다. 장단은 세마치·도드리·자진타령 등을 섞어서 친다. 원래 경기놀량을 서도 사람들이 배워다 부른 것이다. 따라서 선율형이 경기놀량과 비슷하다.

서도앞산타령[편집]

西道-打令

서도입창의 두 번째 곡.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세마치 장단으로 쳐 나간다. 선율형은 경기앞산타령과 같다. 퍽 씩씩한 맛이 난다. 경기앞산타령에서 옮아간 것이다.

서도뒷산타령[편집]

西道-打令

서도입창 중 세 번째 곡. 경기뒷산타령에서 옮아간 것이어서, 선율형이 경기것과 같다.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한배는 경기에 비하여 갑절이나 빠르다. 일정한 장단은 없지만, 대개 4박자의 바른 타령장단을 친다. 퍽 씩씩한 맛이 난다.

경사거리[편집]

서도입창의 네거리 중 마지막 거리. 자진산타령 또는 경발림이라고도 부른다.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경기의 도라지타령이 옮아가서 된 곡인 만큼 선율형도 경기 것과 같다. 또 뒷산타령도 그 선율형이 비슷하다. 한배가 뒷산타령에 비하여 빨라서 경쾌하다. 일정한 장단은 없다. 음계는 다른 입창과 마찬가지로 완전4도 위에 장3도를 쌓아올린 것이고, 음넓이가 높아서 퍽 씩씩한 맛이난다.

남도입창[편집]

南道立唱

남도지방에서 불리던 입창. 보렴·화초사거리에 이어서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흥타령·개구리타령·새타령·성주풀이 등이 덧붙여져 불렸으나, 육자배기 이하는 민요라 부르고, 새타령은 잡가이다.

보렴[편집]

報念

보렴이란 보시염불(報施念佛)의 약자이며, 산타령과 마찬가지로 원래 사당패(社堂牌) 소리였다. 예전에 사당패가 입창을 할 때면 우선 처음에 판염불을 불러 벽사나 축원을 한 후에 놀량을 하는 것인데, 현재의 경기나 서도의 입창에는 이 판염불 부분이 빠지고 대뜸 놀량 부분부터 시작한다. 불가어(佛家語)로 된 보렴은 이 판염불 부분이 따로 떨어져 나가서 하나의 독립된 곡을 이룬 것이다. 처음 중모리로 노래하다가, 굿거리를 거쳐 자진모리로 변한다. 음계는 완전히 남도(南道) 시나위조인 계면조(界面調)로 되어 있지만, 악구(樂句)의 끝을 위로 삐쳐서 끝나고 있는 점 등은 입창의 특징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좋은 증거이다. 계면조로 되어 있으면서도 씩씩한 느낌을 준다.

화초사거리[편집]

花草四巨里

화초사거리도 남도입창의 하나인데, 그 사설(辭說)을 경기놀량과 마찬가지로 '산천초목이…'로 시작하여 별 의미 없는 입타령으로 된 긴염불 부분과 후반부인 화초염불(花草念佛) 부분에 이르러 화초의 이름들을 잠깐 들다 마는 대목이 더 첨가되어 있을 뿐, 그 밖의 사설은 경기놀량과 마찬가지로 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하다가 거의 끝부분에 이르러 굿거리장단(또는 중중모리장단)으로 변한다. 통절형식으로 되어 있고, 가락 진행도 남도의 계면조라기보다는 경기놀량에 가깝다. 그러나 굿거리장단 부분부터는 완전히 남도계면조 스타일이다. 씩씩한 맛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