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교육/교육의 이론과 실제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敎育-理論-實際〔序說〕 이론이란 현상을 설명하고 예언할 목적으로 일정한 환경에 속한 변인(變因)간의 체계적인 내적 관계를 나타내게 하는 일련의 추정개념이나 정의 또는 계획 등을 의미한다. 교육의 이론이나 실제는 교육환경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교육현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론이나 실제는 다른 사회과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호부조와 상호갈등의 관계를 항상 유지하고 있다. 이론과 실제의 가장 바람직한 관계는 다음과 같은 때이다. 이론은 실제의 방향을 제시해 주고, 또한 실제는 이론을 수정해 주는 상호작용관계일 때이다. 이론은 실제적인 활동상황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개념적인 배경을 제공하여 준다. 예를 들면, 심리학에서 발전된 지각이론이나 학습·동기(動機)·지능이론 등은 교육효과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이는 교육적인 실제활동을 보완해서 해석해 주고 예언해 주고 있다. 즉 이론이 실제를 수정하고 있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이론이 실제보다 현실적으로 선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론을 의도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한다면 중요한 교육적 현실을 장래의 교육에서 실현시키지 못하고 만다. 이론의 성격상 한 이론이 다른 모든 현상에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학습이론을 예로 든다면 가장 이론적으로 발달되었지만 여러 가지 이론들이 통일되지 못하고 있으며, 인간의 모든 교육적 행동을 기술하지도 못하고 있다. 교수(敎授)에 대한 접근으로서 실제적인 활동방법은 이론적인 탐구행동보다 더욱 영향력이 있다. 과거의 교육사상가로서 교육개혁에 기여했던 페스탈로치나 프뢰벨·몬테소리 등은 이론적인 교수(敎授)보다는 교훈이나 실제적인 문제해결의 업적에 보다더 기여했다. 그러므로 교육현상에서는 전통적으로 실제적인 행동을 먼저 유념했으며, 이론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등한시하여 왔었다. 왜냐하면 현실적으로 평가해서 효력을 나타낸다면 그것으로 만족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순수한 교육이론의 발전이란 어렵게 되었고, 다른 인접학문에서 발달된 이론을 좁은 범위에 적용시키는 데 그치고 말았었다. 현대엔 교육실제에 대한 연구와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교육이론은 그 성격상 비실제적인 것이고 교육의 실제상황은 개성있는 사상(事象)들로 구성된다. 교육이론은 교육적인 사상들을 설명하고, 그 인과관계를 밝혀보기 위해서 일반화와 법칙, 그리고 공리(公理)와 정리 등을 엄격하게 다듬어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로 이룩된 이론은 실제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는 없고, 다만 주어진 사상의 관계만을 천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론은 항상 실제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지 실제화된 것은 아니다. 교육이론은 다른 사회과학의 이론과 함께 자연과학의 이론처럼 엄격하거나 깨끗하지 못하다. 교육이론은 교육환경에서 적용되는 범위와 한계·대상 등의 한정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배경을 벗어나면 그 기능을 상실한다. 그러므로 모든 이론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만약의 경우에 어떠한 이론이 모든 경우에 완전히 적용되고 있다면, 그 이론의 허점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바로 자명론(tautology)으로 화한다. 이론은 그 이론이 뿌리를 박은 배경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이론은 모든 교육현상에 그 뿌리를 박고 개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체계에서 개념상호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성립되어 교육이론을 정립하고 있다. 교육이론은 교육현상에 대해서 네 가지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즉 교육현상의 기술·예언·설명·통제 작용이다. 교육이론의 기술적인 기능은 교육현상에서 참이라 인정하는 일련의 전제로부터 필연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문장형성을 의미하고, 사실과 관찰되는 현상을 정리하여 체계를 세워 이론에 공헌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은 논리적인 성격을 포함한 문장이므로 과학적인 성격을 항상 풍기고 있다. 그러므로 비전문가일지라도 이론을 통해서 정보의 내적 연관성이나 그 한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현상을 투시하는 데 도움을 받는다. 문장으로 형성된 이론의 구조는 논리·연역적 체계나 논리·수학적 체계를 진술된 문장 속에 담고 있다. 또 교육이론의 예언적 기능을 교육현상 속에서 이미 알려진 사실들의 관계로부터 아직 관찰되지 못한 사상을 추론하여 그 관계를 밝혀 내는 역할을 한다. 이론의 예언적 기능을 통해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고, 지식의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를 창조할 수도 있다. 교육이론의 설명적인 기능은 교육현상의 개념들을 논리적인 구조로서 얽어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교육이론의 설명은 교육현실의 법칙이나 사실을 전제하고, 거기에서 논리적인 결론을 연역하여 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연역해 내는 방법과 형식은 연역적인 논리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확률적인 설명이나 기능적이거나 목적론적인 설명형식과 생리발달적인 설명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예언은 설명의 네 가지 논리형식 중의 하나를 취하고 있다. 또한 설명은 우연히 발생하게 되는 공존관계를 벗어난 상관관계가 높은 인과관계의 법칙을 가지고 있다. <徐 明 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