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생 산 관 리/생산관리〔서설〕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生産管理〔序說〕 현대적 생산관리론의 특징은 경영의 복잡한 현실문제(現實問題)를 시스템 개념으로 파악하고, 의사결정(意思決定)의 과학적 기법을 도입시켜 그 해법을 강구하는 데 있다. 전통적 생산관리가 생산의 부분적 능률화를 위한 공정관리로서, 생산통제의 관리방식에 치중했다고 하면, 현대 생산관리는 시스템공학(工學)·OR기법의 발전으로 생산의 종합적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 설계와 의사결정의 구체화를 위한 생산계획기능을 더욱 중요시하게 된다. 오늘날 생산관리가 직면하게 되는 도전은 기술·경쟁 및 사회의 극심한 변화라고 하겠다. 흔히 생산관리에 있어서 기본적 문제는 대량생산체제를 실현하기 위한 자동차 원리의 구현에 집중되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기술혁신, 시장수요의 변화에 의한 제품형성의 다극화현상과 이에 대한 생산관리의 적응화로 인해 생산관리의 기본적 문제가 재검토되었다고 하겠다. 이의 결과적 현상이 제품개발·다품종 소량생산(多品種小量生産)형태에 있어 생산관리의 자동화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생산관리의 기능[편집]

生産管理-機能

일반적으로, 경영의 중요활동을 대별하면 생산과 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이에 생산활동이란 급부산출(給付産出)을 위해 생산요소를 투입·결합시키는 과정을 뜻한다. 생산의 기본적 요소를 3M(man, machine, material)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생산공정의 형성과정에 있어 흐름(flow)을 중시하게 되어, 3M에 에너지를 추가시키게 된다. 또한 공정상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생산요소를 유동적 요소(流動的要素)와 고정적 요소(固定的要素)로 분류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보아진다. 이에 생산활동은 제품 및 공정의 특성에 의해서 생산형태 및 생산방식으로 구분된다.

생산관리란 생산활동을 규제하게 되는 관리기능을 말하게 된다. 관리기능은 생산요소의 결합을 효율화시키는 데 그 역할이 있기 때문에 이를 생산의 파생적 요소(派生的要素)라고도 한다. 이에 관리기능은 일반적으로 의사결정기능의 구체적 표현을 위한 계획 및 통제기능을 뜻하게 되며, 의사결정 기능은 미래의 행동방안을 선택·결정하는 행위가 된다. 따라서 생산관리의 중요한 기능은 생산활동에 관한 의사결정기능의 구체적 표현을 위한 계획 및 통제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은 생산시스템과 관련된 기능이 된다. 경영관리를 종합적·총체적 관리시스템이라고 한다면, 생산관리는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차적(副次的) 시스템에 관련된 기능이 된다고 하겠다. 의사결정기능은 일반적으로 전략적·비정형화된 기능과 전술적·정형화된 기능으로 구분되며, 미래에 실현되리라 예상되는 사상(事象)에 대한 예상정도에 따라 확실성과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생산계획 및 통제[편집]

生産計劃-統制

제품 및 공정·제조방식에 대한 결정은 전략적 의사결정에 속하며, 이의 구체화를 위한 계획을 생산의 예정계획(豫定計劃) 또는 제조계획이라 부르게 된다. 여기에는 생산관리의 기본원칙이라 할 수 있는 '3S'를 기준으로 제품개발, 제품 및 공정설계·공정계획, 그리고 방법연구 등이 속하게 된다. 제조계획에 선행되는 계획을 흔히 공장계획이라 부르게 된다. 이는 생산 경영의 물적 구성(物的構成)을 이루는 것으로, 생산경영의 외적·내적 입지에 대한 결정이 포함되며, 내적 입지에 있어서는 공장배치 문제가 중심이 된다.

이상의 예정계획(제조계획·공장계획)을 전제로 생산의 실행계획(實行計劃)이 수립되게 된다. 이를 생산계획이라 부르게 되며, 이는 생산적 요구에의 적응가능성에 대한 예정적 결정기능이라 말할 수 있는데, 대상별로 보면 생산품목(품종)·생산수량·생산기간의 개별계획으로 구분된다.

생산요구에 대한 파악은 생산형태별로 차이가 있으나, 생산예측으로서 가능하며, 생산활동의 적응 가능성은 기본적으로 제품의 개발 가능성과 품질수준, 제조공정의 활동(작업)수준과 원가수준을 기준으로 한 생산계획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생산예측과 제조계획은 생산계획의 기초가 되며, 계획의 실행상황을 검토·수정하는 통제기능이 계획기능과 합쳐진다.

통제란 일반적으로 생산활동이 계획기준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는가를 비교·검토하는 기능이라 하겠으며, 계획일정과 실현결과에 대한 통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계획 자체에 대한 검토도 포함하게 되는 것이며, 계획된 것을 활동할 수 있도록 배정(配定)해 주는 것도 통제기능에 속한다고 하겠다. 이때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물론 종합적으로 품질·원가·재고 등을 고려하게 되는 것이나 이들 요소는 개별적인 통제시스템을 갖게 된다고 하겠다. 그러기에 생산통제라고 할 때는 시간에 의한 흐름(統制)에 관련되는 품질·원가 및 재고통제가 중요시된다. 생산계획 및 통제는 생산관리 부서에서 작성·지시된다. 이 지시는 현장에까지 흐르게 되며, 관리성과는 생산성과로서 기록되어 관리기능 자체의 적합성·유기성을 생산능률 및 효율면에서 평가받게 된다. 그러므로 생산관리의 기능은 생산조직을 기반으로 조직의 계층화(階層化)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라 하겠으며, 조직은 관리기능에 의해서 능동화(能動化)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