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국경일-공휴일-기념일과 민속/명절과 놀이·음식/추 석
추석
[편집]秋夕
중추절(中秋節)·가위·한가위라고도 하며, 음력 8월 15일로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 가운데 하나이다. '한'이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란 '가운데'를 나타내는데, '가위'란 신라시대 때 여인들이 실을 짜던 길쌈을 '가배(嘉排)'라 부르다가 이 말이 변해서 된 것이다. 추석에는 햅쌀로 빚은 송편과 여러 가지 햇과일·토란국 등 음식들을 장만하여 추수를 감사하는 차례를 지낸다. 또한 맛있는 음식을 이웃과 다정하게 나누어 먹으며 즐거운 하루를 보낸다. 아무리 가난하고 어렵게 사는 사람도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즐겁게 보냈으므로 "1년 열두 달 365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도 생겨난 것이다. 온갖 곡식이 무르익는 결실의 계절로서, 가장 밝은 달밤이 들어 있으며,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뜻으로 성묘를 드린다. 성묘 때 잡초를 베는 것을 '벌초(伐草)'라고 하는데, 벌초는 성묘 하루 전에 하기도 한다.
추석에는 소싸움·길쌈·강강술래·달맞이 등을 한다. 추석이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중국·신라시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추석에는 추석빔을 입고 햅쌀밥·햇과일·송편 등을 먹는다. 신라시대 때에는 부녀자들이 두 패로 갈려 음력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 달간 길쌈을 한 결과를 따져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대접하였다고 한다. 또한 진 쪽에서 한 여자가 춤을 추면서 '회소회소(會蘇會蘇)'라고 하는데 그 소리가 너무나 애처롭고 처량하여 노래를 지었으니 이것이 바로 '회소곡'이라 한다. 추석 때는 여러 가지 행사가 펼쳐지며 놀이가 벌어진다. 농악을 즐기는가 하면 마을 주민들끼리 편을 가르거나 다른 마을과 줄다리기를 한다. 잔디밭이나 모래밭에서는 씨름판이 벌어지는데, 이긴 사람은 장사(壯士)라 하여 송아지·쌀·광목 등을 준다. 전라남도 서해안 지방에서는 추석날 달이 뜰 무렵 부녀자들이 공터에 모여 강강술래를 하였으며, 닭싸움·소싸움도 즐겼다고 한다.
추석은 추수기를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하고, 조상의 은덕을 기리며 제사를 지내고, 이웃과 더불어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이다.
강강술래
[편집]전라도 지방에 전하는 민속놀이로 중요 무형문화재 제8호. 주로 해남·무안·진도·완도 등지에서 음력 8월 15일 밤에 예쁘게 차려입은 부녀자들이 공터에 모여 손에 손을 잡고 둥근 원을 만들어, '강강술래'라는 후렴이 붙은 노래를 부르며 빙글빙글 돌면서 뛰는 놀이이다.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라고 한다. 유래를 살펴보면,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수병을 거느리고 해남의 우수영에서 왜군과 대치할 때의 일화가 전한다. 우리 수병들이 매우 많은 것처럼 보여 왜군이 함부로 침입해 들어올 수 없게 하기 위하여 부녀자들로 하여금 남자 차림을 하고 떼지어 올라가 옥매산(玉埋山) 허리를 빙빙 돌게 했다고 한다. 그러자 바다 위의 왜군들은 이순신의 군사가 엄청나게 많은 줄로 알고 지레 겁을 먹고 달아나 버렸다 한다. 싸움이 끝난 뒤 부근의 마을 부녀자들이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강강술래'라는 노래를 부르며 즐기던 것이 바로 오늘날의 강강술래라 한다. 따라서 한자어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는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고 해석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말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강강'의 강은 '주위·원(圓)'이란 뜻의 전라도 사투리이며, 술래는 한자어 '순라(巡羅)'에서 비롯된 말로서 경계하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므로 '주위를 경계하라'는 구호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술래'가 '수월래'로 들리며 간혹 그렇게 쓰기 쉬운 것은, 노래를 할 때 길게 뽑으면 그렇게 들리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길쌈
[편집]옛날에 누에고치·삼·모시·목화 등의 섬유를 가공하여 명주·삼베·모시·무명 등의 피륙을 짜던 일을 말한다. 동예·마한 등에서 시작된 길쌈은 삼국시대 때 기술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신라 때에는 해마다 7월 15일부터 8월 15일 한가위 때까지 두 편으로 갈린 부녀자들이 길쌈내기를 하였다고 한다. 무명길쌈은 고려말 문익점이 목화씨를 들여온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삼베나 명주·모시보다 짜기 쉽고 옷감도 튼튼하여 널리 보급되었다고 한다. 부녀자들은 길쌈을 할 때 베틀가·물레노래·상사기노래 등 길쌈노래를 불러 자신의 속마음을 표현하였다.
송편
[편집]松-
추석 때 햇곡식으로 빚는 명절떡. 가장 먼저 수확한 햅쌀로 빚은 '오려송편'은 차례상을 차릴 때나 산소에 바친다. 송편의 종류로는 색깔에 따라 흰송편·쑥송편·솔기송편이 있고, 속에 넣는 소에는 팥고물·깨고물·콩고물·밤·대추 등이 있다. 서울에서는 송편을 조개처럼 빚으며, 황해도·강원도 등지에서는 손가락 자국을 내어 크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