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민속연희(놀이)/민속연희〔서설〕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民俗演戱〔序說〕 민속연희(民俗演戱)라 함은 민족집단원의 정서를 자극시켜 대중적 흥취를 돋우고, 공동감흥 속에서 다소나마 짜임새 있는 구조적 행동을 공동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상황 조성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조성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연극을 비롯하여 연중행사놀이, 종교의례, 민족집단적 기념행사, 지배자 내지 지배층을 위한 축제행사와 산발적으로 행해지는 특수놀이 등인데, 이런 것들은 모두 다 민족집단의 문화의 전통적 양식과 규범에 따라서 행해지게 된다. 그 중 연극으로 들 수 있는 것은 가면극·인형극·그림자놀이·신사극(神事劇)·생활모사극 등이 있고, 연중 행사 놀이로는 계절에 따라 특정 시일에 행하여지는 각종의 오락놀이가 있으며 종교의례로는 의례의 행사 절차와 이에 따르는 여흥행사 및 각종의 오락적 놀이가 있다. 또 생업에 관련되는 것으로서는 수렵 전후의 행사, 어로(漁撈)작업 전후의 행사, 목축행사, 농경예축(農耕豫祝)행사, 수확축제 등이 있고 민족집단의 안전을 위하여 모의전(模擬戰) 행사, 출전예축(出戰豫祝), 전승제(戰勝祭), 특별기도회, 조상과 민족영웅을 추모하는 행사 등이 있으며, 산발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는 가요, 무용, 활쏘기, 창검놀이, 기술(奇術), 곡예, 동물(코끼리·원숭이·코브라·학·여치·귀뚜라미)을 음악에 맞추어 여러 가지 재주를 피우게 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의 민속연희는 각 민족 간에 동종(同種)의 것이 발견된다고 하여도 그것은 규모와 내용과 기능을 각각 달리하는 수가 많다. 민족집단이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조건, 기상적 조건, 생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의 풍핍(豊乏), 생산수단의 발전단계, 인접민족과의 교류정도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문화의 구조와 양상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민속연희는 의의를 달리하게 된다. 그 예로 종교의례를 들어 보면, 전지전능한 영적 존재에 전적으로 귀의하기 위하여 행사하는 민족이 있는가 하면, 마오리(Maori)족처럼 조상의 위덕(偉德)을 찬양하고 원주지에의 향수를 달래기 위하여 식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민속연희를 분석해 보면, 노래·춤·장단·선율·몸짓·표정·악기·도구·채색·가장·의상·장소·시계(時季)·시간·참가인원 등의 요인이 추출(抽出)된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을 어떻게 안배하고 어떠한 라이트 모티프(leit motif)로 유도케 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색다른 민속연희가 조직되고 동종의 것이라 하여도 민족집단 간에 특유의 민속연희가 꾸며지게 된다. 민속연희는 개인의 소산물이 아니고 또한 시대만의 소산물도 아니다. 개인이 창작하였다 해도 소속 집단원의 용인을 받고 채용되고 공유되어야 민속연희의 구실을 하게 된다. 개인 창작이 민족집단에 채용되는 동안에 그것은 수정되고 다듬어져서, 집단적 감정과 흥취에 맞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개인적 요소는 거의 없어지고 만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것은 다음의 세대로 계승되는데, 계승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정세, 경제적 사정, 문화적 상황 등으로 말미암아 변개(變改)가 불가피하게 된다. 전세대(前世代)의 모습을 고수하려 하여도 이를 향유하려는 세대 속에 생생하게 살리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개작업(變改作業)이 있게 되는 것은 부득이한 노릇이라 하겠다. 그런데 변개작업은 급격하고 혁신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게 이루어진다. 이런 데에서 민속연희는 보수성이 강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민속연희는 자기집단의 소산에 애착을 느끼고 그것에 강한 흥취를 갖게 하기는 하지만 타집단의 소산을 배격하고 이를 수용하려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런 데에서 민속연희의 관대성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질문화적 민속연희를 수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자기의 문화양상과 친근성이 있거나 전통문화의 규범을 어지럽게 하지 않는 것, 이질적이라 하여도 자기 문화태(文化態) 속에 융입(融入)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인류는 각 지역이나 각 집단에서 각각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각종 각양의 민속연희를 창조해 냈다. 그런데 이러한 많은 민속연희도 같은 것은 하나도 없이 각각 다르고 독특하여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유일무이의 것이다. 동종이고 동일 기능의 것이라도 그에 담겨진 내용은 다르고 표현방식도 다르다. 민속연희가 이와 같이 각각 다르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들 수 있는 이유나 원인은 민족집단이 지니고 있는 기반문화(基盤文化)의 차이, 그들이 겪은 생활 경험의 차이, 세대적으로 누적시킨 역사 경험의 차이 탓이라 하겠다. 오늘날 문명국에서는 이러한 3대 문화의 차이를 얼른 가려내기가 힘들 만큼 동질화된 문화를 지니게 되었지만 좀더 주의 깊게 관찰해보면 기반문화가 우세를 떨치고 있는 것을 본다. 수렵문화와 목축문화를 기반으로 한 민족집단은 동적이고, 시끄럽고, 조급하며, 또 전투적인 경향이 짙은데,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민족집단은 정적이고 온순·평화하며, 무기력하리만큼 유순한 경향이 짙다. <任 晳 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