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민속연희(놀이)/한국의 민속연희(놀이)/한국 민속연희의 종류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국 민속연희의 종류〔개설〕[편집]

韓國民俗演戱-種類〔槪說〕우리나라에는 고래(古來)로부터 여러 가지 놀이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연중행사로 거행되는 세시풍속(歲時風俗)의 놀이는 그 규모도 크거니와 종목도 다종다양하다. 또한 개인에 의하여 해마다 되풀이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이고 공통적인 것으로 집집마다 촌락마다 또는 민족적으로 관행(慣行)되었다. 이 민속놀이에는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있고, 또는 직업에 따라 행해지는 특수한 것도 있다.

번화한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과 소박한 지방에서 생활하는 사람 사이에는 놀이가 다르게 발달한다. 그 이유는 첫째 도시사람은 전국 각지로부터 모여드는 이가 많고, 2대나 3대를 같은 처소에서 사는 일이 적으며, 또 같은 직업을 영위하는 사람이 적은 데다가 일상생활도 매우 분주하므로 개인적인 놀이를 즐기게 마련이다. 이에 반하여 지방 사람들은 그 고장에서 출생한 사람이 많고, 선조 때부터 같은 토지에 살고 같은 직업을 따르는 것을 관습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조가 남긴 습관을 지키는 데 충실하다. 따라서 그들은 이유없이 전통적인 놀이를 폐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보수적인 심리가 작용하여 민속놀이와 같은 것이 잘 고수되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활환경이 다르면 거기에 따라 새로운 놀이가 생기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는 것으로 정월 대보름이 되면 지방사람들은 저녁 일찍이 동산에 올라가서 '달맞이'를 하고 넓은 들판에서 '횃불쌈'을 하나, 도시에서는 그와 같은 장소도, 그렇게 하는 사람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신할 만한 놀이를 얼마든지 자유스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외에 지방 특유의 각종 놀이도 도시 사람은 알지 못하는 놀이이고 또 직업이 다르면 거기에 따라 놀이도 다소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예컨대 정월 대보름의 '풍어(豊漁)놀이'는 어민들에게는 중요한 놀음이지만, 그 반대로 농가에서는 깊은 관계가 없는 놀이이다. 6월의 '농악'이나 7월의 '호미씻기'는 농민들에게는 중요한 놀이이지만 반대로 어민들에게는 깊은 관계가 없는 놀이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민속 놀이 중에는 국민 대다수가 행하는 일반적 놀이가 있는 반면에 직업에 의한 특수한 놀이가 있음을 본다.

우리의 민속놀이 중에는 특히 농사에 관계되는 것이 많은데 정월의 '모심기놀이' '횃불쌈놀이' '줄다리기대회' '소먹이놀이' '농악놀이' '호미씻기놀이' '농기(農旗)뺏기놀이' '차전(車戰)놀이' 등이 모두 그것이다. 우리나라가 농업국인만큼 농업과 관련되고 있는 이러한 놀이가 다수에 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외래의 민속놀이로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이 있는데 4월 8일 놀이의 하나인 '관등놀이'와 5월 단오놀이의 '그네뛰기'가 그것이다. 이들 놀이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옛부터 우리가 중국과 교통하여 중국에서 발생·발달한 민속놀이를 수용한 결과였다. 이 중 불교와 관계있는 '관등놀이'는 우리나라의 놀이의 하나로 정착되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교섭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삼국시대부터 불교가 우리나라 국민의 신앙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결과였다.

상술한 민속놀이는 모두가 음력에 행해지고 있다. 우리의 놀이에 대하여서는 내외의 문헌에 그 기록이 다소 보이나, 그 중 세시풍속에 나타난 민속놀이에 대하여서는 조선조 정조(正祖) 때 유득공(柳得恭)이 한문(漢文)으로 쓴 <경도잡지(京都雜志)>, 김매순(金邁淳)의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가 있으며, 순조(純祖) 때 사람 홍석모(洪錫模)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가 있다. 또 일제 치하에 조선총독부에서 일본문으로 된 <연중행사(年中行事)>가 있었고, 1945년 후에는 최상수(崔常壽)의 <한국의 세시풍속>과 영문으로 된 책이 있다.

우리나라 만속놀이의 발생의 자취를 찾으면 그 최초의 대부분은 신(神)에 대한 신앙에 뿌리를 박고 있음을 보거니와 이러한 신앙도 오랜 세월이 흘러가는 동안에 차츰 본래의 모습을 잃고 여기에 그 시대의 해석과 새로운 의장이 곁들여져서 의외의 방면으로 발달, 나중에는 제사로서의 신성한 세시풍속이 놀이로서만 행하여지게 되었다.

이 민속놀이는 오랜 옛날에 근원을 두고 있어, 우리 선조의 생활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또 사회생활의 단조함을 구하고, 윤택과 위안을 주는 힘이 있었으며, 사회조직의 변동에 따라 제반 사물과 같이 그 내용은 물론 놀이 자체도 변천해 온 것이다. 그러므로 민속놀이를 통하여 그 시대의 생활상을 알 수 있다.

<崔 常 壽>

지신밟기[편집]

地神-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지신밟기는 주로 영남지방의 농민들 사이에 행하여지는 민속놀이이다. 음력 정월보름날 행하는데 이 놀이의 뜻은 그 동리와 동리 집집의 지신(地神)을 밟아서(鎭壓) 잡귀를 쫓아, 연중 무사하고 복이 깃들이기를 비는 데 있다. 일단 중의 사대부(士大夫)·팔대부(八大夫)·포수는 적당한 가장을 하는데, 사대부와 팔대부는 맨 처음에 서서 커다란 관을 쓰고 긴 담뱃대를 물고 마치 큰 의식(儀式) 때와 같이 점잖게 느릿느릿하게 걷는다. 그 뒤에 망태기에 죽은 꿩을 넣고 나무로 만든 총을 둘러맨 포수와 여러 가지 모양의 가면을 쓴 많은 사람들이 따라오고 또 고깔을 쓴 사람들이 징·북·꽹과리·장고 등 악기를 성히 쳐 울리면서 동리에서도 비교적 부유한 사람의 집으로 차례차례 들어가서 지신을 밟아 준다. 그리고 이 지신을 밟을 때에는 반드시 '좋고 좋은 지신아, 잡귀·잡신(雜鬼雜神)은 뭍 알로 천행만복(天幸萬福)은 이 집으로'라고 소리를 하면서 그 집의 마당·부엌 또는 광에서 밟고 걸으며 춤추면서 한바탕 논다.

거북놀이[편집]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거북놀이는 주로 경기도·충청도 지방에서 추석날 저녁에 동리의 여러 잡귀·잡신을 쫓고 마을사람들의 무병과 장수(長壽)하기를 축복하기 위하여 행하는 놀이다. 청소년들이 수수댓잎을 새끼로 엮어 거북의 모양을 만들어, 앞에 한 사람, 뒤에 한 사람 모두 두 사람이 그 속에 들어가서 마치 거북이가 돌아다니듯이 동리의 집집마다 찾아 다니면서 한바탕씩 춤을 추면서 논다. 그러다가 힘이 빠지면 모두 쓰려져 움직이지 않는다. 이때 거북을 몰고 다니는 이가 "이 거북이가 동해(東海)바다를 건너오느라고 힘이 지쳐 누웠으니 먹을 것을 좀 주시오" 한다. 그러면 그 집 주인은 특히 추석의 음식으로서 송편·떡·과실 등을 한상 차려서 내놓는다. 일단은 그것을 먹는데 먹고 나면 또 거북이를 모는 이가 "거북아, 먹이는 나왔으니 인사나 하고 가자" 한다. 그러면 거북이는 이때 주인을 향하여 넙신 절을 하고 또 한바탕 춤을 추며 놀다가 다른 집으로 가고 하는 것이다.

놋다리밟기[편집]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놋다리밟기는 일명 기와밟기라고도 하며, 주로 안동(安東)·의성(義城) 등지에서 젊은 부녀자들 사이에서만 행해지는 놀이다.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 달밝은 밤에 몸치장을 한 젊은 여자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여 얼마동안 흥이나서 논다. 그렇게 하여 많은 사람이 모이면 모두 일렬로 늘어선 다음, 허리를 꾸부리고 뒷사람은 앞사람의 허리를 두 손으로 붙들어 껴안고, 그 뒷사람도 수십명이 모두 그렇게 한다. 그 다음 한 소녀로 하여금 올라서게 하고, 양쪽에 각각 한 사람씩 붙어 서서 그 소녀의 손을 잡고 놋다리밟기의 노래를 부르면서 밤 늦도록 논다. 이 놀이의 유래는 지금으로부터 600여년 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홍건적(紅巾賊)이 쳐들어 왔을 때 왕은 노국공주(魯國公主)와 함께 개경(開京)을 떠나 청주(淸州)를 거쳐 안동지방에 파천(播遷)했다. 그때 그곳의 부녀자들이 모두 나와서 공주가 시내를 건널 때 사람다리를 놓아 건너게 하였던 것인데 그 뒤 공민왕이 개경으로 환궁(還宮)하자 안동지방의 부녀자들이 정월 보름날 달밝은 밤을 택하여 하나의 연중행사로서 놀이를 한 것이었다. 그것이 뒷날 그 지방 특유의 풍속이 되었던 것이다.

모심기놀이[편집]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음력 정월 보름날 해서(海西)지방에서는 아침부터 농촌부락의 젊은이들이 넓은 광장에 모여 산(山)편과 개(浦)편으로 나눠 윷놀이를 한 뒤 이긴 편이 그 해 농사가 잘 된다 하여, 넓은 광장에 늘어서서 모심을 때와 같이 '모심는 놀음'을 한다. 이때 그 전날 산신(山神)으로 선출된 남자는 암소를 거꾸로 타고 몸에는 도포(道袍)를 걸치고 머리에는 유관(儒冠)을 쓰고서 산쪽에서 내려온다. 그러면 젊은이들이 이를 맞이하여 잠시 노래와 춤을 추고 나서, 모심을 때와 똑같은 차림으로 종이와 짚 같은 것으로 잘 익은 벼 이삭 모양을 만들어, 제각기 손에 그것을 들고 악기에 맞추어 농가(農歌)를 부르면서 이것을 심는 시늉을 한다. 그 동안에 산신이 된 남자는 암소 등에 거꾸로 탄 채 놀이터 가운데를 어슬렁어슬렁 돌아다니며 농민들로부터 존경을 다한 인사를 받기도 한다. 그런데 이날만은 누구에게도 존경을 받게 되어 있으며, 비록 그 마을의 연장자나 노인들일지라도 그에 대하여 하대(下待)하는 말을 사용할 수는 없다. 반면에 그는 누구에게라도 허리를 굽실거리지 않으며, 하루 종일 말도 잘 하지 않고, 소 등에 타고 놀이터를 왔다 갔다 하면서 돌아다닌다. 모심기가 끝나면 다시 악기를 쳐 울리면서 춤을 추며, 제마음대로 실컷 논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넓은 마당에 모여들어 이 놀이를 구경하면서 하루를 즐긴다.

소먹이놀이[편집]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소먹이놀이는 음력 정월 보름날과 추석날 저녁에 농민들이 연출하는 놀이이다. 해서(海西) 및 기호(畿湖)지방의 농촌에서 주로 많이 하는데 그 뜻은 농사일에 있어 소의 노고(勞苦)를 위로하고 그 해의 농사가 풍년이 되기를 기원하는 데 있다. 농민 두 사람이 궁둥이를 서로 마주대어 엎드리고 그 위에 멍석을 덮어씌운다. 앞이 되는 한 사람은 두 개의 막대기를 양손에 각각 한 개씩 위로 들고 또 한 사람은 한 개의 기다란 막대기를 아래로 내리들어, 마치 소뿔과 꼬리같이 하여 소의 걸음처럼 엉금엉금 걸으며, 한 사람의 소모는 이에 의해 끌려간다. 그 뒤에는 일단을 지은 무리들이 농악대와 같이 마을의 여러 집을 돌아다닌다. 집으로 들어갈 때는 소모는 이가 맨 앞에 서서 "이웃집 소가 배가 고파서 왔습니다. 짚여물과 입쌀 뜨물을 어서 좀 주시오" 하고 소의 울음소리를 내면, 그 집주인은 그 사람소와 일단을 대문 앞으로 맞아들여 술과 여러 가지 명절 음식을 내어 대접한다. 이렇게 하면서 밤이 으슥할 때까지 마을의 여러 집을 돌아다니면서 노는 것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소를 종이와 베로 만들어 놀기도 한다.

풍어놀이[편집]

豊漁-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풍어놀이는 어촌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주로 하는 놀이로서 이때는 어민들이 부락의 넓은 광장에 모여 풍어기(豊漁旗)와 등을 달고, 장고·북·꽹과리 등 악기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노래도 부른다. 이 놀이를 하는 본래의 뜻은 용왕(龍王)을 위안하고 사나운 물결이 일지 않고 어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과, 또 그 해 고기가 많이 잡히도록 해달라는 데 있다.

농기뺏기[편집]

農旗-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음력 정월 보름날 각 부락의 농악대(農樂隊)들이 농기(農旗)를 들고 일정한 장소에 모여 농악대 창설의 연대순에 따라서 형제의 위치를 정한다. 다음에 농악 합주리(合奏裡)에 각 농악대 간에 농기에 대한 읍례(揖禮)를 거행하고 잔치를 베풀어 한바탕 논다. 이 놀이가 일반 농악대들의 놀이와 다르게 특이한 점은 14일에는 기(旗)에 대한 고사(告祀)라 하여 고기사를 지내고 15일에는 농기 행차(農旗行次) 및 농기 뺏기 싸움으로 마치는 점이다.

배뱅이굿[편집]

노래와 춤을 섞어서 하는 놀이의 하나. 관서(關西)·해서(海西) 지방에서 성행되는 놀이의 하나이다.

배뱅이란 이 놀이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의 이름이니, 그는 문벌이 높은 집의 무남독녀로 태어나서 곱게 자라 열여덟살에 우연히 병을 얻어 죽었다고 한다. 이 처녀를 낳을 때 어머니의 꿈에 비둘기 목을 비틀어 버렸다고 해서 이름을 '배뱅이'라고 지었다는 것이다. 이 놀이의 내용은 죽은 배뱅이의 혼령을 엉터리 박수무당이 교묘한 수단을 써서 거짓으로 넋풀이굿을 해주고 많은 재물을 얻어 가진다는 것이다. 무격(巫覡)의 일면상을 보여 주는 놀이이다. 특히 이 배뱅이굿의 창조(唱調)는 관서지방 무당들의 노랫소리 그대로이다. 이 배뱅이굿은 최근세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연등굿놀이[편집]

燃燈-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도의 귀덕(歸德)·김녕(金寧)·애월(涯月) 지방에서는 열두 개의 나무장대를 세우고, 신(神)을 맞아서 제신(祭神)을 즐겁게 한다. 이때에는 긴 나무장대의 끝에다 채색비단으로 말의 머리같이 꾸민 뒤 말뛰기놀음(躍馬戱)을 한다. 밤에는 등불을 매달아 켜므로 이 굿을 연등굿이라고 하며, 이 굿놀이는 2월 초하루부터 시작하여 보름에 마친다.

은산별신굿놀이[편집]

恩山別神-

세시풍속의 민속연희의 하나. 은산별신굿은 음력 3월 24·5일경에 행하는데, 조선조 말기까지는 해마다 거행되었다. 그 뒤로는 3년마다 거행하였다. 이 굿을 거행할 때는 성대한 행렬이 있었다. 즉 영기(令旗)에 1명, 나팔수 2명, 24방위기 및 4음양기(四陰陽旗)에 28명, 구등(球燈)에 6명, 꽃다발에 6명, 화주(火主)에 1명, 제물 이고 가는 이 30명,

농악대 6명, 악공 7명, 말탄 대장·중군(中軍)·영장(令將)·앞 뒤 비장(裨將)·사령·집사·통인·좌수 등 11명, 제관(祭官)으로서 육화주(六火主)·축관·별자(別子) 3명, 그외 수많은 동민들이 뒤를 따른다. 이 행렬은 정오경부터 시작하여 동내를 순회, 동리 서북부 산기슭에 있는 신당(神堂)에 도착한다. 먼저 무당이 당굿을 하는데 이 굿이 끝나면 제관(祭官)에 의해서 정식 제의(祭儀)가 거행된다. 이 정식(正式) 제는 밤중에 끝나는데, 그 뒤로는 농악대, 악공, 무당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여흥이 밤새도록 행하여진다.

해녀허벅춤[편집]

海女-

민속연희의 하나. 제주의 해녀들이 매일같이 태왁과 비창을 메고 거친 바닷물 속에 뛰어들어, 소라·전복·미역 등을 따낸다. 그녀들은 하루의 작업을 마치면 오돌또기의 흥겨운 가락에 맞추어 태왁과 허벅다리 장단에 따라 즐거운 춤으로 한때를 보낸다. 이 놀이는 해녀가 노를 저어 바다 멀리 나아가 작업을 하고, 풍성한 수확물을 메고 해변으로 돌아와서 한때를 춤으로 즐기고 집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표현되어 있다.

영감놀이[편집]

민속연희의 하나. 영감놀이는 옛날부터 제주도에 전해 내려오는 무속(巫俗)의 하나이다. 영감이란 귀신의 제주도식 존대어이다. 질병을 몰고 오는 신은 영감의 동생 신(神)인데, 이 신은 항상 아름다운 여인을 탐하므로, 그런 여인에게 빙의(憑依)하여 질병이 되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병을 고치려면 형님이 되는 영감신에게 청하여 그로 하여금 질병을 준 동생 영감신을 데려가게 함으로써 낫게 한다는 것이다. 이 놀이는 형님되는 영감신을 청하여 빙의해 있는 동생 영감신을 데려가게 하는 과정이 중심이 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시종교의 신령관(神靈觀)과 질병관에서 이루어진 치병의례(治病儀禮)의 극적인 민속놀이다.

거문도뱃놀이[편집]

巨文島-

민속연희의 하나. 거문도(巨文島)는 남해에 있는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좋은 어장(漁場)이다. 거문도 뱃놀이는 최근에 와서 다시 정립을 보게 되었는데, 이 놀이는 노래가 위주이다. 그 노래는 다섯부분으로 형성돼 있는데, 첫째는 '고사노래'라 하여, 용왕에게 풍어(豊漁)를 비는 고사 때의 노래이고, 둘째는 '놋소리'라 하여 어장을 향하여 노를 저어가면서 부르는 노래이며, 셋째는 '월래소리'라 하여 그물을 끌어 올리면서 부르는 노래이고, 넷째는 '가래소리'라 하여 그물에 든 고기를 배에 실으면서 부르는 노래이며, 다섯째는 '썰소리'라 하여 만선(滿船)이 되어 귀항(歸港)하면서 부르는 기쁨에 넘친 노래이다. 이 노래는 수십명의 어부들이 배를 타면 그 중에서 목청 좋은 한 어부가 앞소리를 부르고, 그 나머지 사람들은 여러 개의 노를 저으면서 다같이 뒷소리를 부르는 것이다.

세경놀이[편집]

제주도 무당굿놀이의 하나로, 농신(農神)인 세경을청하여 술잔을 권하고 즐겁게 하는 놀이다. 이때 무당은 향로와 바라를 들고 춤을 추면서 청신(請神)을 마친다. 그러면 여인이 나타나 물을 길러 가다가 총각을 만나 사귀고 그 후 임신하여 열달 후에 병돌이란 아이를 낳는다. 이 아이는 자라 훈장의 지시대로 농사를 지어 풍성한 곡식을 거두게 된다는 무속(巫俗)을 나타내는 놀이이다.

다리굿[편집]

무당이 죽은 사람의 혼령(魂靈)을 극락세계로 인도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굿. 굿을 하는 단 위에는 붉고 흰 네 가닥의 다리발(僑布)을 매는데 몸다리(身橋), 십왕다리(十王橋), 사자다리(使者橋), 불사다리(佛事橋) 등이 그 이름이다. 무당은 춤을 추고 무가(巫歌)를 부르며 방울(神鈴)을 흔들어 죽은이의 혼령(魂靈)이 이 다리를 타고 극락세계에 가서 왕생하도록 축원하고 또 길을 인도하여 드린다는 것이다. 굿을 하는 장소를 특히 냇가나 다릿가에 택하는 것이 이 굿의 특색이다.

<崔 常 壽>

농악놀이[편집]

農樂-

우리나라 농촌의 가장 대표적이고 본편적인 놀이. 농악놀이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중부 이남이 성하다. 농악은 상고(上古)시대에 전쟁시의 진군악(進軍樂)으로서 그 이전에 수렵과정에서 쓰였을 타음(打音)의 기구 조작으로 사기를 고무하였던 것이라는 속전(俗傳)도 있으나 대개 농작(農作)에 따른 노고를 덜고 생산작업의 능률을 올린다는 목적에서 출발, 여흥적 오락으로 발전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농악놀이는 제초(除草)·이앙(移秧) 등의 노역시(勞役時)에 베풀어질 뿐 아니라 정초·단오·백중(百中)·추석 기타의 명절날에도 거행되었으며, 농민 스스로는 농악놀이를 풍악놀이·풍물놀이·풍장놀이·두레(중부 이남) 또는 농상계(중부 이북)라고 하며, 전남지방에서는 메굿·메기굿이라고도 한다.

농악에 사용되는 악기에는 주로 4물(四物)인 꽹과리·징·장고·북과 그 밖에 소고(법고)·호적(태평소, 날라리) 등이 있고, 악곡으로는 진군악(행진악)·무용악·답중악(畓中樂)·축악(祝樂)·제신악(祭神樂) 등이 있으며, 가락은 주로 자진모리를 쓴다.

농악대의 구성을 보면, 위에 예거한 악기를 치는 사람들과 부락의 상징인 공기, 영(令)자를 쓴 영기(令旗) 한쌍, 그리고 무동(舞童:호남지방에서는 꽃나비라 함)과 대포수(大砲手)·말뚝이·4대부(四大夫)·8대부(八大夫), 수염을 단 양반 등 적으면 10여 명, 많으면 20여 명을 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꽹과리를 치는 사람은 상쇠라 하여 농악대의 지휘자가 되는데, 상쇠는 항상 선두에 서서 악대의 진형(陣形)을 일렬종대·원형 기타 여러 형태로 변형시키며, 악곡의 변화를 맡는다. 상쇠는 머리에 전립(氈笠)을 쓴다. 전립의 정상에는 끈을 달고, 그 끝에 털뭉치를 장식하였다. 이것을 앞뒤로 흔들기도 하고 뱅뱅 돌리기도 하여 재주를 부리며 춤을 추는데, 이를 상쇠놀음이라고 한다.

소고수는 벗구잽이라 하여 4∼5명에서 10여 명에 이르며, 역시 전립을 쓰고 그 끝에는 긴 종이조각을 달아 손에 든 소고를 치며 머리를 흔들면 긴 종이끈이 멋지게 원을 그린다. 잽이들은 지방에 따라 전립을 쓰기도 하고 조화(造化)를 장식한 종이고깔을 쓰기도 한다.

농악은 또한 놀이에만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갖가지 신앙적 행사에도 따르는 바, 정초에 집을 돌아다니며 지신(地神)밟기 따위의 액막이굿을 하며 우물을 도는 샘굿 같은 것도 한다. 이렇듯 농악은 농촌에 있어서는 부락민의 오락과 신앙 기타 모든 공동생활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실로 민족놀이라고 볼 수 있는 훌륭하고 다채로운 면모를 갖추고 있다고 보겠다.

차전놀이[편집]

車戰-

차전(車戰)이란 명칭은 속어로 동채싸움, 동태싸움이라고 불려진다. 동채싸움과 동태싸움은 같은 어원(語源)으로 동태는 동채의 와전(訛傳)이며, 동채란 수레바퀴의 방언이다. 고로(古老)들의 구전(口傳)에 의하면 후삼국시대 말기에 안동에 권행(權幸)·김선평(金宣平)·장길(張吉)의 세 장군이 있어, 후에 고려 태조가 된 왕건(王建)을 도와 견훤(甄萱)을 패하게 하였는데, 그때 견훤과 합전교(合戰郊:현 안동시 송현동)에서 싸울 때 큰나무를 묶어서 한 덩어리를 만들어 여러 사람이 어깨에 메고 이를 앞세워 진격하였다고 한다. 이 전승을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정월 보름날을 기하여 나무묶음(동채)을 메고 싸움하는 놀이를 하였다.

차전(車戰)놀이는 동·서편으로 갈라서 하는데, 여기에 소요되는 동채를 만들 때는 여러 가지 금기(禁忌)가 있다. 20∼30척이 되는 단단한 나무를 구하기 위해서는 멀리 산간지방에까지 파견되며, 지정된 나무는 깨끗하게 가져와 두 개를 같은 길이로 자르며, 마사(麻絲) 등의 줄로 차머리를 ×형으로 졸라맨다. 사다리처럼 생긴 동채 위에는 사람이 서 있도록 방석만한 자리를 마련하고 작전에 열중케 한다. 싸움할 때는 동채와 동채가 서로 맞닿게 한다. 그리고 승부 방법은 상대방의 동채의 앞머리를 땅에 닿게 하거나 상대방의 대장을 머리꾼들이 끌어내리거나 자기편 동채의 앞머리가 상대방의 앞머리보다 높이 올라가게 하면 이긴다.

줄다리기[편집]

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서 줄을 마주 잡아 당겨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의 하나. 줄다리기에 쓰는 줄은 암줄(雌索)과 숫줄(雄索)로 되어 있으며, 암줄과 숫줄의 머리부분은 남녀의 성기를 상징한 듯하다. 즉 암줄은 둥근 고리로 되었고, 숫줄은 길쭉하여 숫줄을 암줄에 꿰어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매든가 고리 속으로 나무토막을 꽂아 놓든가 한다. 양쪽 줄은 다같이 몸체가 몇 아름이나 되는 굵은 줄이며, 그 몸체에 여러 갈래로 가는 줄이 매어져 있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고 작아진다. 줄은 새끼로 꼬아 만들지만 칡으로 만드는 지방도 있다.

줄다리기는 대개 음력 정월 보름에 행해지며, 8월의 추석에도 행한다. 이 놀이는 전국적으로 보급된 단체놀이이지만 특히 남한지역에서 성행하였다. 또 줄다리기는 체육적 경기라고 할 수 있으나 고래로 그 목적하는 바는 신앙과 연결되어 있다. 즉 정초의 한가함을 이용하여 동네의 남녀노소가 한자리에 모여 힘을 겨루며 즐기는 것이지만, 승패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원래 줄다리기는 대개 동부와 서부의 양편으로 갈리고 동부는 숫줄, 서부는 암줄을 만드는 것이 상례이며, 양편 줄의 머리 부분 모양은 천지·음양(陰陽)·양극(兩極)·남녀(男女)의 심볼을 상대적으로 상징한 것이다. 그리고 두 줄을 합쳐 힘을 겨루는 것은 또한 남녀의 교합과 화합을 의미하고, 여기에서 농사의 풍양(豊穰)을 연역해 낸 것 같다.

줄다리기를 할 때는 남녀노소가 모두 참석하여 줄을 당기며, 부녀자들은 돌을 안고 매어달리기도 한다. 이리하여 동부가 이기면 풍년이 들고 서부가 이기면 만선(滿船)이 된다고 믿어 왔다.

고싸움놀이[편집]

줄다리기의 변형으로서 주로 전라남도 지방에서 행해져 왔다. 근래까지도 전남 장흥(長興)·강진(康津)·영암(靈岩) 등지에서는 정월 보름날의 줄다리기대회에 앞서 이 고싸움놀이를 행했다. 이 놀이는 보통 줄다리기에 쓰이는 줄의 머리 부분의 둥근 고를 맞대어 결전시에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는 전초전(前哨戰)인 것이다. 이 놀이가 끝나면 본격적인 줄다리기가 시작된다.

그런데 전남 광산군 대촌면 칠석리(全南光山郡大村面漆石理)의 속칭 옻돌마을에서 거행하던 고싸움은 앞서 말한 각 지방 줄다리기의 전희(前戱)의 성격을 벗어나, 그 자체가 독립된 하나의 놀이로 발전했다. 그리하여 이곳에서의 고싸움놀이는 줄을 잡아 당겨서 승부를 하지 않고, 줄 머리부분의 '고'를 맞대어 상대방의 '고'를 땅에 닿게 한 다음 짓누르고, 지휘자는 '고' 위에 올라 타며, 놀이 진행 중에는 세 가지의 노래를 했다. 그리고 횃불을 들고 뛰면서 춤추는 응원부대가 있었으며, 하루에 승부를 내지 않고 전후 20여일간 놀이를 계속했다.

'고'의 머리는 타원형이며, 긴 목의 직경은 2∼3m, 몸체는 아랫 부분으로 내려감에 따라 차차 가늘어지고, 끝에 가서 꼬리가 갈라진다. 몸체와 꼬리는 대체로 10m이며 전체는 20m가 되는 셈이다. 흡사 그 모양은 도마뱀 같고, 또 이것을 흔들어 접전할 때는 쌍룡(雙龍)이 굼실거리는 것 같아 보인다고 한다.

'줄패장'이란 줄을 갖고 싸우는 패거리의 장이란 뜻인데 이 줄패장이 줄 위에 올라타서(그를 보좌하는 서너사람도 같이 탐) '선소리'를 하며, 줄을 울러맨 맬꾼들과 같이 노래하며 싸움을 지휘한다. 또한 이에 따르는 농악대는 끝날 때까지 흥을 돋구는데 옛날에는 동서부 징이 둘, 꽹쇠가 셋, 장고 하나, 북이 하나, 소고가 두 개, 그외에 잡색으로 양반·조리중·할미·각시·포수 등이 뒤따랐다.

문호장굿놀이[편집]

文戶長-

문호장굿놀이는 경남 창녕군 영산(昌寧郡靈山)에서 매년 5월 단오에 행하는 단오굿 또는 봄굿이며 단오를 절정으로 하는 부락제(部落祭)로 기실은 음력 4월 25일부터 엄선된 호장과 수로(首奴)가 부정타지 않도록 정신하며 시작하는 것이다.

문호장은 영산의 산신(山神)이며 수호신으로서 초인적인 능력과 영험이 있는 자로, 영산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그 상징은 호랑이로 떠받들리고 있다.

철저한 정신(淨身)에 의해 선택된 호장이 뒷산인 영취산 상봉에 있는 서낭당인 본당으로 가서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마상굿이라 하며, 문호장의 영을 내려오다가 말재주골에서 다시 제사를 지내고 마당굿을 한다. 이 마당굿이라는 것은 서낭대를 세워 제물상을 차려놓고 호장·수로·안무당 등 수십명의 무당·무부들이 참여한다. 그리고 하산하여 마을 복판에 있는 딸사당인 두룽각시 왕신 서낭당에서 두룽굿을 하고 계속하여 호장과 수로 등이 말을 타고 마희(馬戱)를 한다.

이렇듯 산신인 문호장을 위로하고 즐겁게 하여 춤을 춤으로써 그의 동작을 과시해 보이는 것으로서 마을 전체가 무대가 되고 마을 사람이 관객과 배우가 되는 굿놀이임을 알 수 있다.

나무쇠싸움놀이[편집]

木牛戰-

나무쇠싸움은 목우전이라 하여 글자 그대로 나무로 만든 소끼리 싸움을 한다는 경남 영산(靈山)사람들의 유일한 민속놀이로 매년 음력 정월 보름을 기하여 초순경부터 시작된다.

이곳 영산의 앞 뒤 산세가 꼭 소같이 생겨 두 신령이 세력다툼으로 싸워 주민이 화를 입고 해마다 흉년이 드는 까닭에 양 산의 모양을 본떠 각각 소모양의 형태를 나무로 꾸며 실지로 대결을 시켜 산살을 풀어주는 데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나 확실치 않다. 영산의 줄다리기가 당기는 것인 데 비해, 나무쇠싸움은 서로 밀어부쳐 상대를 눌러버리는 것이 특징이다.

삼각형으로 아름드리 소나무를 얽어놓고 거기 직각이 되게 가로대를 얽어놓으면 마치 대형 탱크처럼 웅장하다. 이 나무쇠를 30여명이 어깨로 받쳐들고 그 위에 대장·중장·소장 등이 타고 나무쇠를 지휘한다.

정월 12·13일경 동·서부편은 서로 풍악을 울리고 시위를 하는데 각 부 총사령부기·대장기·중장기·소장기·동방청제장군기·남방황제장군기·서방백제장군기·북방흑제장군기·서부호(虎)기·동부용(龍)기·일산(日傘)대·각부영기 수십개 등을 든 채 부락을 돌고, 말을 탄 장군들은 서로의 우세함을 과시한다.

14일 밤은 술과 풍악으로 각각 사기를 돋군 뒤 15일이 되면 아침부터 풍악과 기, 서낭대를 앞세우고 앞뜰인 갯벌로 나간다. '오왜승전이요'하고 소리 높이 외치며 양나무쇠를 서로 겨루다가 서로 높이 들어 맞부딪친다. 그리고 밀어서 한편을 땅에 닿게 누르면 이기게 되는 것인데,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을 사고 대접을 하게 되어 있다.

편싸움놀이[편집]

便戰-(石戰-)

편싸움은 청소년이 중심이 되어 부락단위로 대항전을 벌이는 것으로, 서로 돌을 던져 승패를 겨루는 상무적(尙武的)인 것이기는 하나 한편 매우 위험한 경기라고 볼 수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정월 보름날이 되면 서울의 동서남(東西南)의 3대문 밖의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맞서서 만리현(萬里峴)에서 싸움을 벌이는데 이것을 변전(邊戰:편싸움)이라고 하며, 쫓겨 달아나는 편이 지는 것이다. 만일 3문밖 사람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그 밖의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런데 이 싸움에는 용산이나 마포의 불량청소년들이 작당하여 애오개편을 들며, 싸움이 한창일 때는 고함소리가 매우 요란스러웠고, 머리를 싸매고 공방전이 벌어지면 이마가 깨지기도 하고 팔이 부러지기도 하여 피를 보아도 그치지 않았다. 심지어 사상자가 발생하여도 개의하는 법이 없을 뿐 아니라, 만일 목숨을 잃는다 해도 아무런 보상이 없다. 이 싸움이 벌어질 때는 인근 사람들은 돌에 얻어 맞을까 두려워 모두 몸을 피한다. 감독관청에서 금령(禁令)을 내려도 고질화된 이 관습은 고쳐지지 않았다. 성안의 소년들도 이것을 본따서 종로 네거리나 비파정(琵琶亭:관수동에 있던 정자) 근처에서 역시 편싸움을 하였고, 성 밖에서는 만리현 외에 우수현(雨水峴:후암동 근처)에서도 벌어졌다.

경상도 안동(安東)지방에는 정월 16일에 마을 사람들이 내를 가운데 두고 좌우 양편으로 갈려 투석전을 벌여 승부를 가리는 풍습이 있고, 평안·황해 양도에서도 매년 정월 보름날 편싸움을 한다.

답교놀이[편집]

踏橋-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기술되어 있는 답교에 관한 내용을 간추리면, 서울에서는 정월 보름날 밤에 많은 사람들이 종각(鐘閣)에 몰려와서 보신각의 종소리를 들은 다음, 각각 흩어져 주로 가까운 광통교(廣通橋)와 수표교(水標橋)로 나가 다리 위를 내왕하는데 이것을 답교(다리밟기)라고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일년 동안 다리에 병이 나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행렬은 밤이 새도록 끊이지 않으며 군중들은 북을 치고 퉁소를 불기도 하여 매우 소란했다.

다리(橋)와 다리(脚)가 발음이 같으므로 답교를 하면 다릿병이 안난다고 하지만 실상 답교의 풍습은 한당대(漢唐代)부터 중국에도 있었으므로 답교를 각병(脚病)과 결부시키는 것은 한낱 속설에 지나지 않는다. 답교의 풍속은 고려시대에 매우 성행하였고 남녀노소 구분없이 혼잡을 이루어 풍기상의 폐단도 생겨 법령(法令)으로 금지시키는 사례가 벌어졌다. 또 서민들과 뒤섞이기를 꺼리는 상류층은 보름날을 피하여 하루앞인 14일 밤에 답교를 하였으므로 이를 양반 답교라 했고, 부녀자들은 이 양일을 피하여 16일에 다리밟기를 하기도 하였다.

부녀자들은 음식을 냇물에 던져 복을 빌기도 하고, 남자들은 농악대를 앞세우고 무동을 서게 하기도 하여 다리 위에서나 다리 근처에서 술자리를 베풀어 즐겁게 지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답교가 다릿병을 피하거나 일년의 액막이를 위해 무의미하게 다리 위를 왔다갔다 하는 데 그치지 않고 흥겨운 놀이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점은 주목할 일이다.

두레길쌈놀이[편집]

(共同績麻)

두레길쌈은 대체로 말하여 7월에서 8월에 걸쳐 부락의 부녀자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여 공동으로 길쌈을 하는 것인데 모시두레(충남 부여), 돌개삼(경북 영주)이라고도 한다. 경상도가 가장 성하였으며, 다음이 전라도·충청도·강원도이고 중부 이북에서는 별로 볼 수 없었다.

늦은 여름 밤에 뜰에 모여 생솔나무가지 따위를 태워 모기를 쫓고 마을 부녀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길쌈을 하는데, 이때에 우스개소리도 하고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도 하며 또 노래도 부른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의 단조로움과 고달픔을 더는 것이다. 특히 8월 보름, 추석날 밤에는 그동안의 노고를 털어버리기 위하여 많은 음식을 장만하고 담소(談笑)와 가무(歌舞)로써 한껏 즐긴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동안 경쟁적으로 베를 짜게 하고 이날 성적에 따라 상을 주기도 하고, 또 편을 짜서 경쟁을 시켜 진편이 추석날의 음식을 제공토록 하는 수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경쟁적인 적마풍속은 멀리 신라 초기의 유리왕(儒理王) 시대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 즉 사적에 전하는 바에 의하면 유리왕 때에 6부(六部)를 둘로 갈라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두 편의 부녀자들을 통솔케 하고 7월 보름날부터 매일 아침 일찍 6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하되 밤 10시경이 되어야 끝마쳤다. 8월 보름에 이르러 그동안의 성적을 비교하여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을 치하하는데 이때 가무와 온갖 놀이가 벌어진다. 이것을 가배(嘉俳:가위)라고 한다. 이때 진편이 일어나서 춤을 추며 '회소(會蘇) 회소' 하고 노래를 불렀다. 그 소리가 구슬프고 멋이 있어 후세 사람들이 이것을 이어받아 노래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회소곡(會蘇曲)'이라 부른다.

단오놀이[편집]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음력 5월 5일.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중오절(重午節)·천중절(天中節)·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시기적으로 더운 여름을 맞기 전의 초하(初夏)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이기도 하다.

<열양세시기(洌陽勢時記)>에는 이날 밥을 수뢰(水瀨:물의 여울)에 던져 굴원을 제사지내는 풍속이 있으므로 '수릿날'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날 산에서 자라는 수뢰취〔狗舌草〕라는 나물을 뜯어 떡을 한다. 또 쑥으로도 떡을 해서 먹는데 떡의 둥그런 모양이 마치 수레바퀴와 같아서 수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한다. 단오의 풍속 및 행사로는 창포에 머리감기, 쑥과 익모초뜯기, 부적만들어붙이기, 대추나무시집보내기, 단오비녀꽂기 등의 풍속과 함께 그네뛰기·씨름·활쏘기 같은 민속놀이들이 있다. 또한 궁중에서는 이날 제호탕·옥추단(玉樞丹)·애호(艾虎:쑥호랑이)·단오부채 등을 만들어 신하들에게 하사하였으며, 집단적인 민간행사로는 단오제·단오굿을 하기도 하였다. 민간에서는 이날 음식을 장만하여 창포가 무성한 못가나 물가에 가서 물맞이놀이를 하며, 창포이슬을 받아 화장수로도 사용하고, 창포를 삶아 창포탕(菖蒲湯)을 만들어 그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소담하고 윤기가 있으며 빠지지 않는다고 한다. 몸에 이롭다 하여 참포 삶은 물을 먹기도 하였다. 또한 단오장(端午粧)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삼아 머리에 꽂기도 하였으며, 양쪽에 붉게 연지를 바르거나 비녀에 수(壽)·복(福)자를 써서 복을 빌기도 하였다.

김해 풍속에 "청년들이 좌우로 편을 갈라 석전(石戰)을 하였다"고도 하며, 금산 직지사(直指寺)에 모여서 씨름을 하거나 남산(南山)·북악산(北嶽山)의 각력(角力:씨름)에 대한 기록도 남아 있다. 그 밖에 경상북도 지방에서는 널뛰기·윷놀이·농악·화초놀이 등을 하였다. 궁중에서는 단옷날이 되면 내의원(內醫院)에서 옥추단과 제호탕을 만들어 바쳤다고 <동국세시기>에 기록되어 있다.

성돌기[편집]

성밟기라고도 한다. 윤달(閏月)에 고성(古城)이 있는 곳의 마을사람들이(주로 부녀자) 그 성터에 올라서 산줄기를 따라서 열을 지어 도는 것이다. 대개 중부 이남에서 볼 수 있는 풍습이다. 개성의 천마산성(天磨山城)에 있는 속칭 '안놀이' '치놀이'라는 험준한 곳을 부녀자들이 줄을 이어 통과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극락세계에 갈 수 있다는 불교 신앙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전한다. 이들 성돌기 일행이 돌아오는 길목에는 가족과 친지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미리 마련하였던 주식(酒食)을 들며 함께 즐긴다. 전라도 고창지방에서는 고창의 고성을 역시 윤달에 세 번 도는데 머리에 돌을 이고 도는 것이 특색이다. 이렇게 하면 액운(厄運)을 면하고 장수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영광에서도 성돌기 풍속이 있는데 이때 참가자들은 새옷을 갈아입고 먹을 것을 준비하여 성을 돌면서 하루를 즐겁게 지낸다.

닭싸움놀이[편집]

수탉끼리 만나면 꼭 싸우는 습성을 이용하여 특별히 길러 놓은 수탉에게 싸움을 시켜 구경거리로 삼고 또는 돈을 걸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닭싸움(鬪鷄)은 동남아 여러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특히 경상남도에서 성행되어 왔다. 싸움 닭의 종류로서는 인도 원산의 '샤모', 일본산인 '한두', 그리고 한두와 한국 재래종의 잡종인 '우두리' 등이 있으며, 이들의 투지를 기르기 위하여 미꾸라지와 달걀 또는 뱀까지도 먹이로 먹인다.

싸움 닭은 목이 긴 것이 특징이며, 동작이 민첩하다. 주둥이로 쪼고 차면서 싸우는데 앞치기·뒷치기·턱치기 등의 명칭이 있으며 주저앉거나 주둥이가 땅에 닿거나 하면 진다. 일년생이 가장 투지 왕성하여 죽을 때까지 싸우는 경우도 있다.

소싸움놀이[편집]

소싸움은 경상남도의 거의 전역과 강원도, 황해도 경기도 등지에서 주로 추석에 거행되어 옴을 볼 수 있다. 서양의 투우경기(鬪牛競技)와는 달리 소끼리 싸움을 붙이는 매우 단순 소박한 것이나 우리나라 황소는 원래 유순하여 싸움이 그리 격렬하지 못하다. 그러나 싸움 전에 소주 따위를 먹여 흥분시키면 평소 유순하던 소들도 사나워져서 제법 볼만한 싸움을 전개한다. 싸움을 시키는 장소에는 모래를 깔고 적당한 넓이에 둥글게 새끼줄을 쳐 구획한다. 그 중앙에 선발된 부락대표의 소 두 마리를 세워 놓고 소 사이는 포장으로 가린다. 포장을 철거하면 싸움이 시작되어 서로 뿔을 맞대어 상대를 떠받고 밀치고 하는데 승부는 무릎을 꿇거나 넘어지거나 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항두계놀이[편집]

항두란 말은 계(契)란 뜻을 가진 평안남도 사투리인데 평안남도에 전하는 농민들을 비상동원(非常動員)하는 계를 말한다.

오랫동안 가물었다가 갑자기 비가 내려서 일손이 모자라거나 또는 홍수를 만났을 때에는 이 항두계가 소집되는 것이다. 항두계의 두목은 계주 또는 항두라고 부르고 계를 지휘·명령하며, 조수는 뚝나무로 만든 나팔인 박두레를 불기도 하고 북도 치면서 소집신호를 하여 계원을 긴급출동시킨다.

박두레소리가 나면 계원들은 곧 소집되고 여러 가지 작업을 하게 마련이다.

항두계놀이는 씨앗고르기, 씨뿌리기, 모심기, 항두김매기, 계놀이, 방아찧기의 여섯 장으로 나누어 놀이를 한다. 때로는 노약자나 불쌍한 사람의 김도 무료로 매주는 미풍(美風)이 전해온다.

말뛰기놀이[편집]

제주도의 한림·귀덕·애월·김녕 등지에서는 옛날부터 풍신(風神)을 제사하는 연등행사(燃燈行事)가 있었다. 즉 2월 초하루부터 15일 사이에 장간(長竿)을 세우고 신을 즐겁게 하였으며, 이때에 말머리(馬頭) 같은 가면을 써서 말을 꾸미고 비단 안장을 채워 영등신을 모시고, 놀이터로 온 다음 놀이를 하게 되는데(躍馬戱), 매우 흥겹게 벌어진다. 이렇게 하면 연등을 제사한 것이 되어 바다에 나가도 재난을 당하는 일이 없고, 각 가정에서도 초복제화(招福除禍)할 수 있다고 믿었다.

서당놀이[편집]

書堂-

영양(英陽) 원놀이라고도 하며, 영양을 위시한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전승되고 있는 놀이의 하나이다.

또한 옛날 안동에는 옥계서원(玉溪書院)과 금곡서원(金谷書院)의 대표적인 두 서원이 있어 많은 유생(儒生)들이 모여 있었다. 이 서당의 유생들은 과거시험에 합격한 즐거움을 축하하고 스승에 대한 사은(師恩)의 표시로 여러 스승을 모셔다가 술상을 차려놓고 융숭한 대접을 했는데 이것이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정초에 마을 청소년들이 모여 훈장과 원을 선출하고, 육방(六房) 관속이 선출되어 가장을 하고 글을 외우며 행진한다. 또 토론도 하고 송사를 재판하는 등 옛날 관원이 하던 일을 모의(模擬)하며 놀았는데 이는 요즈음 각 대학에서 벌어지는 모의 재판과 비슷하다.

횃불쌈놀이[편집]

횃불쌈놀이는 오래 전부터 음력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여러 농촌지역에서 행해 왔다. 특히 충청남도 지방에는 횃불이 융성(隆盛)을 상징한다는 뜻에서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웠던 백제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보름날 저녁에 각 부락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횃불을 들고 들로 나간다. 횃불을 만들기 위해서 헌 싸리비 또는 대비나 짚을 다발로 묶어 횃대를 만든다. 먼저 논두렁이나 개천 두렁에 불을 붙이고 놀다가, 양쪽 사람들의 대열이 정돈되면 횃불을 높이 들고 풍물을 치고 환성을 지르며 달려들어 서로 횃불을 빼앗으려고 실랑이를 벌이는데 이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차차 횃불을 빼앗겨 항복하는 이가 늘어나게 되어, 어느 한쪽의 횃불이 거의 없어지면 그친다. 이긴 편은 풍년이 들고 진편은 흉년이 든다고 하지만 청년들이 서로 흥겹게 노는 것이 목적이다.

가마싸움놀이[편집]

경상북도 의성(義城)지방에서만 거행되던 독특한 놀이로서, 서당(書堂) 학동들이 추석에 아사천(衙舍川)을 경계로 하여 두 패로 나누어 힘과 지혜를 겨루어 싸웠던 일종의 편싸움이다. 북촌(北村)의 학동이 일대가 되고, 남촌(南村)의 네 서당이 뭉쳐 일대가 되어 가마를 만든다. 추석날이 되면 각기 자기 동리를 돌면서 기세를 북돋우는데 영기(令旗)·청도기(淸道旗)·사방기(四方旗)·사기(師旗) 등을 만들어 앞세우고, 가마를끌고 서서히 아사천 홍교(虹橋)에 접근하고 광장에서 격돌하게 된다. 각대가 팔진도(八陣圖)를 원용해 진세를 펴고, 앞선 '박수'가 적진을 돌파하여 적의 가마를 쳐부수면 그것으로 승리한다. 승자는 각종 기와 파괴된 가마를 노획하여 개선하는데 연도의 관중은 농악을 울려 환영하는 것이니 승자의 서당에서 그 해 과거에 급제하는 자가 많이 나온다고 믿었다.

공치기[편집]

공치기는 타구(打毬)놀이 또는 봉희(棒戱)라고 하며, 이에 대해서는 고기록(古記錄)에 소개되어 있거니와 고려시대에는 매우 성행되었었다. 원래 이 놀이는 궁중 내지 상류사회의 놀이였는데, 조선왕조 중엽 이후 쇠퇴하였고 그 이후는 민간으로 흘러들어 민속적 놀이로 변천한 듯하다.

격구(擊毬)가 말을 타고 경기하는 데 비해 공치기는 말을 타지 않고 걸어다니며 경기하는 것이 특색이다. 넓은 마당이나 보리밭 같은 곳에 기둥을 세워 문을 만들고 나무를 깎아 공을 만들어 작대기로 쳐서 공을 문안으로 넣으면 이기는 것이다. 나무공을 작대기로 치는 매우 상무적인 놀이로 놀이의 흥을 돋우고 시화연풍을 빌기 위해서 놀이에 앞서 지신밟기를 하고 농악을 하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군중들도 흥겹게 응원한다.

홍해용놀이[편집]

함경북도 해안 지방에는 홍해용에 대한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바다 속인 용궁 연화당에서 사람이 태어나면 뛰어난 재주와 용기와 한량의 기질을 타고 나게 되어 많은 여성들의 칭송을 받게 된다는 것인데 홍해용은 바로 그 용궁 연화당에서 태어났다. 홍해용은 그가 행하는 일, 그가 다니는 길 모두가 신기하고 변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5월 단오날에는 용왕제(龍王祭)를 지내서 홍수를 막아 농사가 잘 되고 또 태풍을 막아 어부들이 해난(海難)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용의 형태를 그려 만든 뒤, 몇 사람이 용을 받들어 마치 꿈틀거리며 승천하는 듯한 춤을 추게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투호놀이[편집]

投壺-

투호놀이는 서울의 양반가정이나 궁중에서 하던 놀이이다. 명절날이나 집안에 큰 잔치가 있어 일가 친척이 많이 모일 때 여흥으로 하는 우아하고 예절을 바탕으로 한 놀이이다. 후원 마당이나 대청 마루에서 큰 항아리를 놓고 동서로 편을 갈라 그 속에 살(矢)을 던지는 놀이다. 항아리에 귀가 달려 있고 살에는 아름다운 무늬가 색색으로 물들어 있으며 편에 따라 빛깔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살을 던져 항아리 속에 들어가면 점수를 따는 것이니, 많이 들어갈수록 이기게 된다. 살이 적중하여 항아리 안에 들어가면 춤추며 기뻐하고 하나도 넣지 못하면 얼굴과 이마에 먹칠을 해서 벌을 주기도 한다.

탑돌이[편집]

불교에서는 석가모니가 입적하자 그 유골을 8개의 탑을 세워 그 속에 나누어 두었다 하여 이로부터 불탑(佛塔)이 건립되었고, 재료에 따라 목탑·석탑·철탑(鐵塔)·전탑(塼塔)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석탑이 제일 많고 목탑으로는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의 팔상전(捌相殿)이 있을 뿐이다. 불교의 재(齋)를 지내거나 의식이 있을 때는 승려와 신도들은 불탑의 둘레를 돌면서 부처님의 공덕을 찬미하고 소원을 빈다. 이때에 범음(梵音)·범패(梵唄)가 울려 퍼지고 때에 따라 삼현육각(三弦六角)도 등장했다. 달밝은 보름밤에 제가 끝나면 선남선녀들이 탑을 돌며 흥을 돋우기 위하여 춤을 추면서 자기 소원을 부처님께 비는 것을 잊지 않는다. 원래 탑돌이는 남몰래 염원을 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사람들이 참가하게 됨에 따라 어느덧 즐거운 놀이로 변하고, 4월 초파일이나 중추가절에 모여서 노는 놀이로 변해왔다.

띠뱃굿놀이[편집]

띠뱃굿놀이는 전북 부안군(扶安郡)에 소속된 섬의 하나인 위도(蝟島)에 전승되어 오는 굿놀이이다. 이 섬에는 옛날부터 주민들의 생활에서 우러나온 띠뱃굿이란 풍어(豊漁)놀이가 있으니 매년 음력 정초에 길일(吉日)을 택하여 부락단위로 행하여 왔으나 현재는 대리(大里)에서만 행하는데, 음력 정월 초사흘이 정일(定日)이 되어 이 날만은 전 부락민이 벽사치성으로 풍어를 축원하는 것이다.

이 행사는 먼저 대리의 주산에 지어져 있는 '원당'에서 마주떼기굿을 비롯하여 석세기굿·깃굿·모듬굿을 하고 부락으로 내려와 '어 낭창 가래야'의 흥겨운 가락 속에 본격적인 띠뱃굿놀이를 행하는 것이다. 농악에 맞추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춤추며 뛰노는데 여기서 어민은 제각기 기예를 자랑한다. 이러다가 석양녁이 되면 이날 놀이의 고비인 띠뱃굿놀이가 시작되는데, '띠(芼:바다에 나는 풀)'로 엮은 배에 희식밥(용왕에게 드리는 쌀밥에 콩을 섞은 밥)을 가래로 떠넣는다. 그리고 배 위에 오방(五方)의 기와 선기(船旗)를 꽂고 허수아비 뱃사공을 달아매어 바다에 띄운다. 이 띠배가 가는 쪽은 풍어가 든다고 한다. 그리고는 지신밟기와 풍물놀이로 밤을 지새운다.

용마놀이[편집]

龍馬-

옛날 전북 남원(南原) 지방에는 섣달 그믐날이나 또는 정월 대보름날에 용마놀이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즉 악귀(惡鬼)을 쫓고 재앙을 없애며 일년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치기 위하여 용마놀이를 했다. 남원읍을 남북의 두 패로 갈라 큰 용마를 만들어 채석을 하고, 외바퀴 수레에 실어 거리에 끌고 나와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면서 싸웠다. 양쪽 용마가 맞부딪쳐 부수거나 빼앗는 편이 승리를 거두게 된다. 남쪽 편은 백룡(白龍), 북쪽 편은 청룡(靑龍)을 만들어 싸우는데, 남쪽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북쪽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한장군놀이[편집]

韓將軍-

옛날 왜구(倭寇)가 경산(慶山)·자인(慈仁)에 침입하여 도천산(到天山)에 진을 치고 있을 때에 한종유(韓宗愈)란 장군이 있어 적을 유인하여 모조리 격멸시켰다는 데서 유래된 놀이이다. 즉 한장군이 누이동생과 못가에서 춤을 추니 적병이 여원무(女圓舞)의 신기함에 정신을 팔고 있을 때에 습격을 하여 적을 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일이 있은 후로 고을 사람들이 한장군의 지혜와 용기를 칭찬하여 사당을 짓고 해마다 단오날에 제사를 지냈다. 자인에서는 단오날에 한장군을 제사하고 수많은 군중들이 모여 씨름대회, 그네뛰기, 기마싸움 등을 하며 축제의 기분에 싸인다. 한장군놀이는 일제 때 중단되었다.

관등놀이[편집]

觀燈-

4월 8일은 초파일(初八日)이라고 부른다. 이 날은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이므로 민가에서는 절에 가서 제를 올리고 관등하는 풍속이 있다. 초파일 며칠 전부터 뜰에 등간(燈竿)을 세우고, 그 위에는 꿩꼬리를 꽂고 비단으로 기를 만들어 달았는데 이를 호기(呼旗)라 하고, 호기에 줄을 매달았으며, 등간을 만들지 못하는 집에서는 추녀끝이나 나무가지에 줄을 매고 등을 달아 초파일 밤에 불을 밝히니 호화찬란하기 이를 데 없었다. 등의 모양도 형형색색이려니와 여러 가지 채색을 하거나 그림을 그리기도 했고 글씨를 쓰기도 했으니 수많은 등에 불을 밝힌 모습은 매우 장관이었다. 등이 바람에 흔들리면 더 한층 아름다웠고 불공을 드리거나 관등하는 사람들로 혼잡을 이루었으니 요즘도 초파일이 되면 여전하다. 이는 지방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등을 들고 등행렬(燈行列)하는 놀이가 전국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연등하는 풍속은 신라 때의 팔관회(八關會)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고려와 조선시대에 계승되어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등에는 호박등·수박등·홍등·청등·용등·봉황등으로 다른 놀이에서 놀이를 밝히는 조명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상주 모내기[편집]

尙州-

상주 모내기란 구전 민요 중에 나오는 이앙가(移秧歌)의 일절로서, '상주·함창(咸昌)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큰악아, 연밥 줄밥 내 따주께, 이내 말삼 듣고 가소'라는 노래 중에 나오는 것을 주제로 삼고 모내기 할 때의 양상과 노래를 엮는다. 이 모내기 노래는 가장 향토적이면서도 지역적으로 보편적인 것이니, 현재에도 각 지방에서 모심기할 때 논에서 수많은 남녀노소가 부른다. 이 노래는 일하는 과정에 따라 모찌기 노래와 모심기 노래의 둘로 나눌 수 있고 또 시각에 따라 관련된 내용의 노래를 부르는 것이니 아침에 일을 할 때, 점심 때가 가까워 올 때, 해가 저물 무렵 등에 따라 가사를 달리하며, 4·4조(四四調)로서 4구(四句) 32음을 아무런 제한 없이 달아간다. 먼저 메김소리(先唱)를 하면 뒤에 합창으로 앞사람의 소리를 받아서 한다.

남사당놀이[편집]

男寺黨-

남사당이라 함은 남자 사당(한량으로 예능자를 말함)들로 조직된 유랑예인집단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은 조선사회에 있어서 가장 천대받아왔던 부류이며, 광대(廣大)·장인(匠人)·상인보다도 못한 집단이었다. 따라서 사회로부터 격리당해 왔으며, 가족도 거처할 지붕밑도 없이 전국을 유랑하였던 것이다. 또한 남사당은 모든 사회악의 온상처럼 억울한 누명을 뒤집어 쓰고도 쉴 사이 없이 황색기를 앞세우고 민중 속을 행군해 갔던 것이다. 이들의 놀이는 상놈의 편에서 양반세계에 대한 비판을 희화화(戱畵化)한 여섯 마당놀이이며, 놀이를 통해 상민들과 웃고 울었던 것이다.

남사당놀이는 권력 주변에서 기생했던 그 밖의 지역단위 연희와는 그 성향이 다르며, 오히려 조선사를 통하여 지역놀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여러 면으로 횡포를 받아왔던 상놈의 입장에서 상놈과 부단히 영합해 가면서, 말없는 몸짓으로, 또는 꽹과리의 소리짓으로 상놈들과 교감하고 공감하여 저항의 의지를 일깨워 나갔다.

길가에 돋아난 이름 없는 잡초들이 밟히면 밟힐수록 살아나듯이 남사당의 정신은 민중의 정신으로 살아 있으며, 풍물(농악), 버나(사발과 쳇바퀴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조선줄타기), 덧보기(가면극), 덜미(꼭두각시 인형극)의 여섯 마당의 남사당놀이 속에 흥건히 젖어 있는 것이다. 이 남사당놀이는 꼭두(대장)를 선두로 화극(기획)·뜬쇠(조장)·삐리(대원)·가열(수련생), 그 밖의 저승패(고문관) 등 50여 명의 인원이 형제처럼 동고동락하면서 민중의 애환과 서러움을 같이 나누었고 서구문명의 급격한 침식과 일제의 탄압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걸립패(乞粒牌)로 바뀌는 등 많은 탈바꿈이 있었다.

풍물놀이[편집]

마을 단위의 농악대와는 달리 일년 열두달을 계속하며, 이를 직업으로 하는 농악놀이이다. 풍물은 남사당놀이의 대표격으로, 숙련된 남사당들의 체기(體技)를 겸한 춤사위와 가락은 전라도나 경상도의 가락인 아랫다리 가락에 비해 윗다리가락의 대표적인 가락으로 힘차고 절도가 있다. 특히 무동(舞童)춤은 5무동 이상이 아슬아슬한 묘기를 하며, 상무의 극치인 열두발 상모를 끝으로 한다.

버나(사발돌리기)[편집]

담뱃대나 나무끝 또는 칼끝으로 사발이나 쳇바퀴를 자유자재로 돌리며 묘기를 부리는 기예(技藝)로서 역시 풍물반주로 진행된다.

살판(땅재주)[편집]

물구나무서기 등 일종의 기계체조이나 그보다도 강렬한 풍물반주에 맞추어 온갖 체기를 다하는 기예이며, 몸짓의 확대된 표현 속에서 죽느냐(죽을판) 사느냐(살판) 하는 절실함이 있다.

어름(조선줄타기)[편집]

외줄로 꼰 줄 위에서 어릿광대와 말을 주고 받으며, 풍물장단에 맞추어 온갖 춤을 다 추고, 갖은 걸음걸이로 어름 위에서처럼 아슬아슬하게 줄을 타는데, 풍자 연희의 멋이 다른 서구적 줄타기 또는 서커스 줄타기와는 다른 점이다. 줄타는 사람을 어름살이, 그 아래서 대사를 주고 받는 사람을 어릿광대라고 한다.

덧보기(가면극)[편집]

덧보인다, 덧보이게 한다라는 연극 본연의 의미를 지닌 우리 연극의 원명으로 분장 대신 탈을 쓰는 가면극을 말한다. 이는 지역 단위의 가면극과는 달리 대사를 위주로 하는 막간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덜미(꼭두각시놀음)[편집]

덜미는 인형극을 말하는 것으로 인형의 덜미를 잡고 한다는 데서 연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