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동물·인체/동물의 몸과 계통/동물 분포의 성립/대륙붕대와 표층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조간대에서 이어지는 해저는 수심이 400∼600m인 지대까지는 비교적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고, 해저질도 경저·연저가 공존한다. 그 위를 덮고 있는 바닷물은 대부분 태양 광선이 투과되므로 녹색 식물의 광합성이 활발한 생산층에 해당한다. 바다 표면을 생활권으로 하는 유영 생물의 재생산은 거의 이 층 안에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부어(浮魚)'라 불리는 정어리·고등어·전갱이나 또는 오징어 등의 알이나 치어의 분포 한계는 기껏해야 수심 150m까지로 생각되고 있다.

대양(심해)[편집]

대륙붕의 생물이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심해 특유의 생물상으로 교체되는 추이대를 지나면, 식물이 전혀 살지 않는 동물만의 세계가 펼쳐진다. 심해는 매우 넓어 그 면적은 전체 해양의 90%이며, 또 거기에 담겨 있는 바닷물의 부피는 전체 해양의 95%에 이른다.

심해 지역의 환경[편집]

深海地域-環境

심해는 점심해저대·심해저대·초심해저대의 3 해저대로 나뉜다.

점심해저대는 상부 심해저대라고도 하는데, 그보다 얕은 상부 영역인 표층의 영향을 받고 있다. 여기에 사는 생물은 밤낮으로 이동하여 표층까지 도달하기도 한다. 한편 이 해저대는 경저가 적고 진흙이 많으며, 수심은 700∼1,000m 부근에서부터 약 2,500∼3,000m 부근까지이고, 수온은 4∼10℃ 이다.

심해저대는 지구상에서 가장 넓어 7대양의 평탄한 밑바닥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되며, 연니(부유 생물의 유해가 쌓여서 된 무른 흙) 등이 많다. 수심은 약 3,000∼6,000m로, 중심해층의 어류는 흑색의 종류가 많은데 비하여, 여기서는 오히려 엷은색의 것이 나타나고 흰색인 것도 있다. 이 곳에 사는 새우류의 몸빛깔은 붉은색과 연분홍색이다. 또 많은 종류가 발광기를 지니고 있다.

두족류는 깊은 곳에 사는 것일수록 근육질이 빈약해지므로, 표층 생활자가 강력한 근육을 가진 유영자인데 비하여 여기의 것은 한천질(우무질)이 풍부한 강장동물을 닮은 부유자이다. 수온은 4℃ 이하로 연중 내내 변하지 않는다. 초심해저부는 수심이 6,000m 이상인 가장 깊은 부분으로서 주로 해구로 된 환경이며, 수온은 1∼2℃ 정도이다. 이 곳에도 미약하나마 물의 흐름이 있으며, 해구끼리의 연결이 적어서 각 해구마다 부족류·해삼류 등이 독립적으로 분화되었으므로 각각의 해구에는 고유종이 살고 있다. 또 1만m를 넘는 최심부에서도 동물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심해성 동물의 특징[편집]

深海性動物-特徵

발광 도달하지 않는 깊은 햇빛이 바다에 사는 동물은 항상 어둠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적응·진화한 현상을 볼 수 있다. 그 첫째는 빛을 내는발광으로, 이것은 서로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발광기의 대부분은 이들 동물의 배부분에 분포하고 있어서 밑에서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는데, 특히 발광 오징어류의 경우는 등쪽에 빛을 받는 것으로 여겨지는 '창(窓)'이 있다.

발광어에는 발광멸·슬로아니아매퉁이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갑각류 중 특히 새우류에 발광하는 것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