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생태와 형태/꽃과 씨/꽃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우리는 오래전부터 꽃이 식물의 생식 기관으로서 번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왔다. 그러나 식물학적으로 꽃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그다지 오래 된 일은 아니다. 꽃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최초로 총괄한 사람은 식물계를 24강(綱)으로 분류한 린네였다. 그 후 꽃은 식물분류학상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꽃의 구조

[편집]

꽃의 각 기관

[편집]

-各器管

꽃은 종자식물에서만 볼 수 있으며, 생식에 관계되는 부분과 관계되지 않는 부분이 모여 있는데, 크게는 꽃잎·꽃받침·암술·수술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암술·수술

[편집]

꽃의 중심에는 암술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 암술은 암술머리·암술대·씨방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암술머리는 암술의 가장 윗부분을 말하는데, 이 곳에서 수술의 꽃가루를 받아 수분(가루받이)이 이루어진다. 밑의 암술대는 암술머리와 씨방을 연결하여 주는 부분이며, 가장 아래쪽의 씨방에는 장차 씨가 될 밑씨가 들어 있다. 한편, 암술 주변에는 수술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꽃가루를 만드는 주머니인 꽃밥(꽃가루 주머니)과 그것을 받치는 수술대로 구성되어 있다.

꽃잎·꽃받침·꽃덮이

[편집]

수술의 바깥쪽에는 암술과 수술을 싸고 있는 꽃잎들이 있는데, 이 낱낱의 꽃잎을 모두 합쳐 '꽃부리'라고 한다. 한편, 꽃잎 바깥쪽에는 여러 장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꽃받침이 있다. 이들 꽃받침은 녹색을 띠며 잎을 소형화한 것 같은 모양으로 된 것이 많아 꽃잎과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서로 구별하기가 힘들 때는 이를 합쳐 '끝덮이'라고 하며, 그 낱낱의 조각은 '꽃덮이조각'이라고 한다.

특히, 붓꽃처럼 꽃덮이가 안팎의 2줄로 되어 있을 때는 안꽃덮이, 바깥꽃덮이로 구별하는데, 이 때 안꽃덮이는 꽃부리에, 바깥꽃덮이는 꽃받침에 해당한다. 그러나 꽃부리나 꽃받침의 어느 한쪽이 없는 경우에도 꽃덮이라고 한다.

꽃턱, 꽃자루, 포엽

[편집]

-苞葉

꽃의 각 기관이 붙어 있는 부분을 '꽃턱'이라고 하며, 꽃턱에 이어져 꽃을 받치는 자루를 '꽃자루'라고 한다. 한편, 꽃봉오리를 싸서 보호하는 특수한 모양의 잎을 특히 '포엽'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꽃이 피면 떨어진다.

씨방의 위치

[편집]

-房-位置

씨방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는데, 즉 꽃잎과 꽃받침 아래에 있는 경우도 있고, 위에 있는 경우도 있으며, 그 중간에 있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각각 '씨방 하위', '씨방 상위', '씨방 중위' 라고 한다.

기관이 발생된 순서에서 보면, 이 중 씨방 상위가 꽃의 원형일 것으도 생각되며, 그 후에 2차적으로 씨방 중위, 씨방 하위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씨방 상위는 딸기꽃·참깨꽃·고추나물꽃·패랭이꽃·양귀비꽃·평지꽃·철쭉꽃·백합꽃 등에서, 씨방 중위는 채송화꽃·때죽나무꽃·바위취꽃·능소화꽃·쥐꼬리망초꽃·쇠비름꽃 등에서, 씨방 하위는 사과꽃·국화과의 꽃·도라지꽃·꼭두서니꽃·석산꽃·붓꽃 등에서 볼 수 있다.

심피와 태자리

[편집]

'심피'는 속씨식물에 있어서 씨방이 되는 잎이다. 즉 1개 또는 여러 개의 잎이 밑씨를 둘러싸서 씨방이 되며, 여기서 암술대와 임술머리가 형성된다. 이 때, 씨방은 1장의 심피로 되어 있는 것과 여러 장의 심피가 합쳐져 이루어진 것이 있다. 태자리는 씨방 안에 밑씨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꽃의 종류

[편집]

우리들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은 식물에 따라 그 크기, 빛깔, 모양이 가지각색이다. 그러나 그것들을 주의해서 보면 다양한 가운데서도 어떤 규칙성이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갖춘꽃·안갖춘꽃

[편집]

앞에서 꽃은 크게 암술·수술·꽃잎·꽃받침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4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꽃을 '갖춘꽃'이라 하며, 이중 어느 하나라도 가지고 있지 않은 꽃을 '안갖춘꽃'이라 한다. 벚꽃·복숭아꽃·살구꽃·배추꽃 등이 갖춘꽃이며, 오이꽃·호박꽃·배꽃 등은 안갖춘꽃이다.

민덮개꽃(무피화)·꽃덮이꽃(유피화)

[편집]

민덮개꽃

[편집]

꽃은 생식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므로 생식에 직접 관련되는 부분이 중요하며 그 밖의 기관은 부속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암술·수술이 꽃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식물 중에는 절대적으로 꼭 필요한 암술과 수술만으로 이루어진 종류도 있는데, 이들을 '민덮개꽃'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버드나무·삼백초·홀아비꽃대·계수나무 등이 속한다.

꽃덮이꽃

[편집]

민덮개꽃에 대하여 꽃잎이나 꽃받침을 가진 꽃을 '꽃덮이꽃'이라고 하는데, 속씨식물의 대부분이 이에 속한다. 꽃덮이꽃은 다시 단피화(單皮花)와 양피화(兩皮花)로 나눌 수 있다.

단피화

[편집]

꽃덮이 중 꽃받침과 꽃잎의 어느 한쪽을 갖추지 못한 꽃이다. 뽕나무꽃·밤나무꽃·붓꽃·서향꽃 등이 여기에 속한다

양피화

[편집]

꽃덮이를 완전히 갖춘 꽃으로, 이것은 다시 '다른꽃덮이꽃(이피화)'과 '같은꽃덮이꽃(등피화)'으로 나누어진다. 다른꽃덮이꽃은 꽃받침이 녹색이고, 꽃잎은 녹색 이외의 여러 가지 빛깔인 꽃덮이꽃으로 양귀비꽃·평지꽃·벚꽃·제비꽃·완두꽃· 백목련꽃·철쭉꽃·광대수염꽃·나팔꽃·용담꽃·도라지꽃·꼭두서니꽃·국화꽃 등이 그 예이다. 이에 비해, 같은꽃덮이꽃은 꽃받침과 꽃잎의 색깔이 서로 같은 꽃덮이꽃으로, 붓꽃·석산꽃·백합꽃 등이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쌍떡잎식물의 양피화는 꽃잎이 서로 붙어 있는 '통꽃'과 꽃잎이 각각 떨어져 있는 '갈래꽃'으로 나누어지는데, 나팔꽃·호박꽃·민들레꽃은 통꽃에 해당하며, 복숭아꽃·벚꽃·완두꽃·배추꽃 무꽃 등은 갈래꽃에 속한다.

정제화·부정제화

[편집]

整-花·不整-花

꽃은 위와 같은 구별 외에 꽃덮이의 배열에 따라 구별되기도 한다. 즉, 같은 크기와 모양의 꽃덮이가 방사 대칭으로 배열하고 있는 꽃을 '정제화'라고 하는 데 비해, 꽃덮이의 모양과 크기가 같지 않고 또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꽃은 '부정제화'라고 한다.

이 때, 정제화에는 다른꽃덮이꽃을 가진 것으로서 십자 모양(평지꽃·냉이꽃), 장미 모양(찔레꽃·매화나무꽃), 패랭이꽃 모양(패랭이꽃·미나리꽃), 백합 모양(백합꽃) 등이 있으며, 통꽃을 가진 것으로는 수레 모양(물망초꽃·토마토꽃·가지꽃), 굽이 달린 그릇 모양(앵초꽃·치자나무꽃), 종 모양(초롱꽃·용담꽃·은방울꽃), 깔때기 모양(메꽃·나팔꽃·철쭉꽃), 대롱 모양(엉겅퀴꽃·개쑥갓꽃·수리취꽃), 항아리 모양(감나무꽃·등대꽃) 등이 있다. 한편, 부정제화에는 갈래꽃을 가진 것으로서 나비 모양(완두꽃, 누에콩꽃), 제비꽃 모양(제비꽃·팬지꽃) 등이 있고, 통꽃을 가진 것으로는 입술 모양(광대수염꽃·광대나물꽃), 가면 모양(금어초꽃·해란초꽃), 두루주머니 모양(칼세올라리아), 혀 모양(민들레꽃, 씀바귀꽃) 등이 있다.

양성화·단성화·중성화

[편집]

兩性化·單性花·中性化

양성화

[편집]

한개의 꽃 속에 암술과 수술이 모두 있는 꽃을 '양성화'라고 하며, 복숭아꽃·벚꽃·배추꽃

등이 이에 속한다.

단성화

[편집]

대부분의 식물은 양성화를 갖고 있지만, 일부의 식물은 암술 또는 수술만으로 이루어진 '단성화'를 갖기도 한다. 이러한 단성화는 다시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있는 '암수 한그루(자웅동주)'와 각각 다른 그루에 있는 '암수 딴그루(자웅이주)'로 나눌 수 있다.

암수 한그루에는 오이 쐐기풀·흑삼릉·벗풀·옥수수·밤나무·졸참나무 등이 속하며, 암수 딴그루에는 식나무·버드나무·참마·시금치·소귀나무 등이 속한다.

중성화

[편집]

수국과 중에는 암술과 수술이 모두 퇴화해 버리고 꽃덮이만 남은 꽃이 있는데, 이것을 '중성화' 또는 '무성화' 라고 한다.

화서(꽃차례)

[편집]

꽃이 꽃대에 붙는 순서를 '화서(꽃차례)'라고 한다. 꽃차례에는 유한화서와 무한화서가 있다.

무한 화서·유한 화서

[편집]

無限花序·有限花序 '무한화서'라고 하는 것은 꽃이 꽃대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해 피는 꽃차례이다. 이것은 꽃대가 자라는 동안에는 꽃이 무한히 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무한화서에는 수상 화서(밀·쇠무릎지기·질경이), 총상 화서(범꼬리·짚신나물), 산방 화서(총상 화서의 한 형, 평지·냉이·무), 산형 화서(앵초·청미래덩굴·삭산·미나리), 두상 화서(민들레·센토레아, 엉겅퀴) 등이다. 한편 '유한 화서'는 꽃이 꽃대의 위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 피어나가는 화서로 단정 화서(튤립·엘리지·까치무릇·양귀비), 호산 화서, 기산 화서(닭의장풀), 다산 화서(대극과), 권산 화서(물망초·지치) 등이 있다.

단일 화서·복합 화서

[편집]

單一花序·複合花序

무한 화서와 유한 화서는 모두 간단한 구조를 보이는 '단일 화서'이다. 그러나 식물 중에는 단일 화서가 모여 복잡한 구조를 이루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을 '복합 화서'라고 한다. 이러한 복합 화서에는 수상 화서가 이삭 모양으로 배열하는 복수 화서(밀), 산형 화서가 산 모양으로 배열하는 복산형 화서(미나리과), 수상 화서가 총상으로 배열하는 수상총상 화서 (사초속) 두상 화서가 기산상으로 배열하는 두상기산 화서(민솜방망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