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재배와 관찰/식물의 실험·관찰/벼의 한해살이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개요[편집]

槪要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벼의 낟알인 쌀을 주식으로 하는 데 거의 모두가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된다. 벼는 수천 년 전에 동남아시아에서 야생으로 자라던 것을 사람들이 채집해서 먹었으며, 차츰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세계 곳곳으로 전파되었다.

볍씨의 싹 틔우기와 생장[편집]

목표[편집]

目標

볍씨를 뿌려 씨가 어떻게 싹이 트는가를 관찰하고, 씨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본다. 준비물로는 볍씨 20-30개와 샬레 1개, 흙, 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핀셋, 요오드 용액 등이다.

실험관찰[편집]

實驗觀察

샬레에 흙을 넣고 물에 적신 볍씨 20여 개를 골고루 뿌린 후 다음과 사실에 유의하여 관찰해 보자.① 싹이 트면 볍씨의 겉겨를 벗겨 속구조를 살펴보고 배젖에 용오드 용액을 묻혀 본다.② 벼가 5cm, 10cm 정도 자랐을 때 각각 겉겨를 벗겨 요오드 용액을 묻혀 본다.

결과[편집]

結果

① 볍씨에는 배와 배젖이 있으며 배에서 싹이 튼다. 요오드 용액을 묻힌 배젖은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보아 녹말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② 5cm일 때는 약간의 보라색만 나타나며, 10cm일 때는 아무런 변화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싹이 녹말을 양분으로 해서 자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핵심요점[편집]

核心要點

볍씨는 싹 틀 때 가늘고 긴 떡잎이 한 장이 나오므로 외떡잎식물이라고 한다.

벼꽃의 구조와 수분[편집]

목표[편집]

目標

벼꽃은 눈에 잘 띄지도 않고 나비나 벌도 보이지 않는다. 꽃의 구조를 관찰하고 어떻게 수분이 이루어져 열매를 맺는지 알아본다. 관찰을 위해서 빈 깡통에 흙을 넣고 물에 적신 볍씨 10여 개를 뿌린다.

실험관찰[편집]

實驗觀察

① 벼이삭이 나오면 날이 갠 날 오전 8시부터 12시까지 매시간마다 한 그루에 몇 개의 꽃이 피는지 세어본다.② 벼꽃이 얼마 동안 피어 있는지 기록한다.③ 꽃잎, 꽃가루, 수술, 암술의 생김새와 꽃의 구조를 자세하게 관찰한다.

결과[편집]

結果

① 벼꽃은 8시에 0개, 9시에 2개, 10시에 29개, 11시에 33개, 12시에 3개가 핀 것으로 보아 오전 10-11시가 벼꽃이 가장 왕성하게 피는 시간대임을 알 수 있다.② 꽃은 피기 시작하여 약 5분이면 활짝 피며, 1시간만에 진다.③ 벼꽃에는 꽃잎이 없고 1쌍의 비늘껍질에 싸인 암술 1개와 수술 6개가 있다. 수분은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 수술 꽃밥이 터져 암술머리에 내리덮이면서 이루어진다.

핵심요점[편집]

核心要點

벼꽃은 오전 10-11시 사이에 왕성하게 피며, 핀 지 1시간만에 진다.

1개의 볍씨는 몇 배로 불어나는가[편집]

목표[편집]

目標

1개의 이삭에 붙어 있는 벼알 수와 한 그루의 포기벌기의 수를 조사해 보자. 또 1개의 볍씨가 몇 배로 늘어나는지 살펴보자.

실험관찰[편집]

實驗觀察

① 열매가 달린 벼이삭 5-6개를 가려 내어 이삭에 달린 벼알의 수를 조사하여 평균치를 내보자.② 7-8그루를 선택하여 포기벌기의 평균치를 내보자.③ 하나의 이삭에 달린 평균 벼알 수에 1그루의 포기벌기 수를 곱해 1개의 볍씨가 몇 배로 불었는가를 계산해 보자.

결과[편집]

結果

① 하나의 이삭에는 100-150개가 달리며 평균으로는 130개이다.② 포기벌기의 수는 15-20개이며 평균으로 18개 정도이다.③ 1개의 볍씨는 약 2340배로 불어나는 셈이다.

핵심요점[편집]

核心要點

벼꽃은 수술, 암술, 영으로 되어 있다. 씨방은 암술 밑에 있으며 이것이 자라서 열매가 된다.

벼의 실험관찰 정리[편집]

① 씨에는 배와 배젖이 있는데 배젖에서 싹이 튼다.② 1개의 볍씨는 15cm 정도 자라면 포기벌기를 하는데 10-20그루까지 한다. 또한 1개의 볍씨는 약 2340배로 불어나다.③ 벼꽃은 맑은 날일 경우 오전 10-11시경에 가장 잘 피며, 꽃에는 꽃잎이 없고 암술 1개와 수술 6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