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인류 문화의 시작/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중국의 전국시대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중국의 전국시대〔槪說〕[편집]

전국시대라 하면 보통 진(晋)의 경(卿)이던 한(韓)·위(魏)·조(趙)가 진을 3분하여 독립한 기원전 403년부터 진(秦)이 중국 통일을 달성한 기원전 221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키고 그 시기의 이야기가 주로 『전국책(戰國策)』에서 보여지므로 전국시대라 불린다. 한·위·조가 후(侯)라고 칭했다는 것은 단순히 하극상을 의미한 것만이 아니고, 주왕이 이를 인정하고 스스로 종법제(宗法制)를 무시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사정이 중요하다. 이윽고 강력한 제후는 왕을 칭하게 되어 이 때에 명실공히 주왕조의 권위가 떨어지고 봉건제도가 붕괴해 버린 것이다.춘추시대 초에 140여 개국이었던 도시국가의 거의 모두가 이 때에는 7개 강대국의 어느 한 영토에 편입되어 버렸다. 처음 강력했던 나라는 위나라였으며 문후(文侯)·혜왕(惠王)은 널리 인재를 구하여 대규모 관개사업을 벌이고, 한편으로는 지배한 지역을 군현화(郡縣化)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다음 제(齊)가 패권을 쥐었지만 얼마 안 있어 변경의 진(秦)·연(燕)이 강대해져서 비로소 진·초·연·제·한·위·조의 7웅이 할거하는 형세로 바뀌어졌다. 그 중 진은 효공(孝公) 때 상앙의 변법에 의하여 크게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성과를 올려 다른 나라를 누를 수 있는 힘을 보여주게 된다. 소위 합종연횡(合從連衡)이 제창된 것도, 4군(君)의 활약이 있었던 것도 이 시기였다. 이윽고 6국이 진(秦)에 굴복하고 중국 최초의 통일국가를 출현시키게 된 것이다. 요컨대 전국시대는 봉건제에 따르는 읍제국가가 해체되고 중앙집권적인 군현제에 의한 고대 통일국가가 형성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전국시대가 되자, 사 계급 출신의 관료가 실제의 정치를 장악하게 되어, 그 최고 지위에 상(相)이 놓인다. 그 임무는 군주를 보좌하여 정치의 전반을 총리하는 일이었는데, 이것은 종래의 대부 등과는 달라서 세습은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군제(軍制)에 있어서도 이 때까지는 대부가 세습적으로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던 것임에 반하여 장군(將軍)이라는 직위가 신설되어 전쟁이 일어날 때마다 군주에 의해서 장군이 임명되기에 이르렀다. 서주(西周)로부터 춘추시대에 걸쳐서는 정치·군사 양면에 있어서 대부가 세습적으로 권리를 가지고 있었음에 반하여, 전국시대가 되자 정치·군사가 분리되고 저마다의 책임자가 필요에 따라서 군주에 의해서 임명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군주권(君主權)이 강화되는 한편, 능력에 따른 관료군(官僚軍)이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진에서는 다른 나라의 출신자까지도 적극적으로 관료로 채용했다. 내정개혁을 단행한 상앙(商?), 연횡설(連衡說)을 주장한 장의(張儀), 시황제의 승상이 된 여불위(呂不韋) 등이 모두 다 그러했다.춘추 말기에 나온 공자(孔子)는 노(魯)의 고관이 되어 개혁에 실패한 후, 여러 나라의 군주에게 그 정치학설을 설(說)하고 다니면서 그 학설이 실현되도록 운동했다. 이것은 당시에 이미 하나하나의 나라를 초월하여 공통된 문화·사상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었지만, 자기의 영지(領地)와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있었던 대부 계층에게는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또 철기(鐵器)의 보급에 따라 눈부신 발전을 보여주기 시작한 농업 생산력이 이 변동기의 자극을 받아 상공업의 발달을 재촉하면서 사회 경제의 여러 양상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한 시기였다.국경을 초월한 대상인의 활발한 교류로 국경을 넘어 몇몇 나라에 판로를 가진 대상인들은 사치품을 판매하여 큰돈을 벌었다. 서민의 필수품인 철기나 소금 등을 제조·판매하는 대상업 수공업자들의 재산은 때로는 왕후(王侯)와도 필적한다고 일컬어졌다. 그들에게 있어서는 일일이 통관세(通關稅)를 필요로 하는 국경(國境)이라는 것은 불합리하기 짝이 없는 것이며, 국경이 없는 중국의 통일을 이면에서 촉진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이와 같은 것은 대상인들이 전국을 유세하면서 돌아다닐 수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분립한 강국이 대립·항쟁하는 반면에 있어서는 문화, 경제의 면에서 이미 중국을 하나의 세계로서 성립시키고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춘추시대의 후반 이래, 청동기의 명문(銘文) 같은 장식성(裝飾性)이 강한 문자(文字)에는 지방색(地方色)이 엿보이지만, 평소에 죽간(竹簡) 등에 씌어진 문자에는 상당히 통일성이 엿보이는 것도 이런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의 기운이 사회 내부에 자라나고 있었던 것이다.

철기의 보급과 생산력의 발달[편집]

鐵器-普及-生産力-發達춘추전국시대의 중국사회의 일대 변혁 및 눈부신 발전의 원동력이 된 것은 이 시기에 있어서의 생산력의 현저한 발달이었다. 이 생산력의 발달 요인은 춘추시대에 시작된 우경(牛耕)의 보급과 전국시대에 보급된 철제농구의 사용이었다. 철제농구 이전의 농구는 거의가 석제나 목제였으며, 그것은 토질이 부드러운 황토지대에서의 경작에는 그런대로 쓸 수가 있지만 수목을 베어내고 새로 경지(耕地)를 일굴 때는 극히 비능률적인 농구였다. 이 곤란을 타개하며 개간을 용이하게 하고 심경(深耕)에 의한 토지의 생산력을 증대시켜 준 것이 철제농구이며, 그 사용을 계기로 농업은 놀랍게 진보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에서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춘추시대의 전반(전 6, 전 7세기?)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이때 제나라 동종(銅鐘)의 명문(銘文)에 ‘제철 노예 4천명’이라고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관영 제철사업은 꽤 대규모였던 것을 알 수 있다. 또 괭이, 삽, 가래 같은 농구의 주조는 전국시대에 들어와서 발달된 것 같다. 우경과 철기가 보급되어 생산이 부국강병의 근본으로 장려되자 이제까지 돌보지 않던 황무지까지 개척되며, 그로 인하여 관개용 수로나 제방을 쌓는 토목공사가 일어났는데, 이것도 또한 철기에 의지하게 되어 농업생산은 한층 더 발달을 촉진시키게 되었다.

소진[편집]

蘇秦 (?∼전 317)

전국시대의 정치가. 언변이 뛰어났으며, 제후(諸侯)에 유세하였으나 채용되지 못하자 다시 1년 동안 독서를 하여 계책을 세운 뒤 진(秦)나라를 두려워하는 산둥의 여러 나라를 찾아다니며 6국(六國)의 연합으로 진에 대항하자는합종설(合從說)을 주창, 연(燕)의 문후(文侯)에 채용되었고, 또 조(趙), 제(齊), 위(魏), 한(韓), 초(楚), 연(燕)의 남북 종횡설(從橫說)을 성공시켜(전 333) 6국의 재상이 되고 부귀영화를 누리면서 15년 동안 진의 세력을 방비하였다. 그러나 그의 정책은 동서 연횡설(連衡說)을 주장하는 장의(張儀)의 주장에 의해 깨어지고 제(齊)에 잡혀 죽었다.

7웅[편집]

七雄

전국시대 특히 기원전 4세기경 서로 세력을 떨쳤던 7강국――연(燕)·제(齊)·초(楚)·진(秦)·한(韓)·위(魏)·조(趙)를 말한다. 기원전 4세기 중에는 진(秦)이 제일 강하여 다른 나라에 앞질러 왕이라 칭했다. 이에 대해 다른 6국도 각각 왕을 칭하고 단결해서 진에 대항하려고 했지만 진은 6국의 단결을 흐트러뜨리는 계략을 써서 압박하여, 기원전 230년에 먼저 한을 멸망시키고, 조·위·초·연·제의 순서로 6국을 멸망시켜 통일 국가를 이룩했다.

[편집]

韓 (전 403

전 230)

전국 7웅의 하나. 춘추시대의 패자 진(晉)의 신하였으나, 위·조 양씨(兩氏)와 함께 진(晉)을 멸망시키고 영토를 3분하여 제후가 되었지만 진(秦)에게 멸망당했다.

[편집]

魏 (전 403 전 225) 전국 7웅 중의 한 나라. 한·조와 진(晉)을 3분하여 제후가 되었다. 문후(文侯)가 이회(李?)를 등용하여 새로운 경제정책을 실시하고, 토지제도와 농업기술의 개혁을 단행하여 열국(列國) 중에서 최초로 부국강병의 길을 열었다. 이회는 또한 『법경(法經)』이라는 새로운 법률서를 만든 법률학자이기도 했다. 원래 주나라의 봉건제 밑에서는 정치는 덕(德)의 이념에 의해서 뒷받침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국시대의 집권국가가 되자, 덕의 이념은 아무런 권위도 갖지 못하게 되고 힘에 의한 법술(法術)이 권위 있는 이념이 되었다. 즉, 그것은 현실적으로는 부국강병의 정책으로 나타나, 법률이 그 수단으로서 새로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위나라는 확실히 전국 초기에 있어서의 이같은 새로운 이념의 연구와 실천의 중심지임에 틀림이 없었다.문후(文侯)의 인재 등용, 관개사업 추진에 의해 다른 6국에 앞질러 세력을 얻어, 위나라 서울 안읍(安邑)은 전국 초기의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변법(變法) 운동의 선구자 이회(李?), 관개사업에서의 서문표(西門豹)의 활약은 유명하다.

[편집]

趙 (전 403

전 228)

전국 7웅 중의 한 나라. 한·위와 진(晉)을 3분하여 제후가 되었다. 북변을 위협하는 흉노에 대항하기 위해 호복(胡腹:통소매와 바지)을 채용하고 기병(騎兵)을 창설했기 때문에 전투력이 커져서, 기원전 4세기 말에는 한때 진(秦)에 대항할 정도였다. 서울 한단(邯鄲)은 상공업의 대중심지였다.

[편집]

齊 (?

전 221)

전국 7웅의 하나. 근거지는 현재의 산둥 지방. 춘추시대 환공(桓公)은 패자로 세력을 떨쳤지만 전국시대에는 신하 전씨(田氏) 때문에 나라를 빼앗기고(전 386) 전씨가 제후가 됐다. 후에 위왕(威王)이 행정개혁을 행하여 국력을 증대하고 기원전 4세기에는 진(秦)과 중국을 양분하는 세력을 이루었다. 그 후도 계속해서 명석한 두뇌의 군주가 이어 그 보호하에 수도 임치(臨淄)에서 직하(稷下)의 학(學)이 일어나 이 시기의 학문의 중심을 이루었다.

[편집]

秦 (? 전 206)

전국 7웅의 하나. 현재의 산지 지방에서 일어나 춘추시대에는 중원의 제후가 만이(蠻夷)에 가까운 민족이라 업신여김을 받아오다가, 기원전 4세기경부터 국정이 정돈되어 효공 때 상앙(商?)의 변법(變法)이 성공하여 국력이 크게 증대됐다. 이윽고 전국 당초의 유력자 위를 남천(南遷)시켜 혜문공(惠文公)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전 335), 소양왕(昭襄王) 때에는 제와 중국을 2분할 수 있는 실력을 가졌다. 기원전 256년 주 왕실을 멸망시키고 계속하여 다른 6국을 정복하여 중국 최초의 중앙집권적 통일국가를 세웠다.

[편집]

燕 (?∼전 222)

전국 7웅 중의 한 나라. 그 영토는 지금의 허베이(河北) 남만(南滿)이었고, 베이징(北京)에 도읍하였다. 전국 일곱 나라 중 가장 뒤졌다. 소왕 때인 기원 전 284년에는 제(齊)나라를 쳐 크게 이겼고, 랴오뚱까지 영토를 넓혔다. 소왕이 죽은 뒤로 국력이 쇠퇴하여, 34대 800여 년만인 기원전 222년에 진시황(秦始皇)에게 멸망되었다.

[편집]

楚 (?∼전 223)

전국 칠웅 중의 한 나라. 처음에는 주(周)나라의 제후국이었으나, 주나라의 세력이 약해지자 점점 강성해졌다. 무왕(武王) 때는 이웃 지방을 정복하여, 장왕(莊王)에 이르러서는 최전성기를 맞이하여 중원의 패자(覇者)가 되었으며 7웅 가운데 영토가 가장 컸다. 한때 오(吳)나라의 공격을 받아 쇠퇴했으나 다시 세력을 회복하여 전국 7웅의 하나가 되었다. 그 뒤 기원전 233년에 진(秦)나라에게 멸망하였다.

문공[편집]

文公 (?∼전 333)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연(燕) 나라 제28대의 공(公). 기원전 361년에 공으로 되었고 그 뒤에 진(秦)나라의 세력이 강대해져, 다른 여러 나라와 연합하여 대항해야만 했다. 334년에 소진은 문공을 만나 합종책(合從策)을 주장하고 여기에 연·조·한·위·제·초 등의 6개국이 동맹을 맺었다. 소진은 이 6국의 재상이 되어 진나라와 대항하였으나 다음 해에는 이 동맹이 파기되었고, 위는 진과 동맹하여 연을 정벌하여 연나라는 멸망하고 문공도 사망했다.

상앙[편집]

商?

(?

전 338)

공손앙(公孫?) 또는 위앙(衛?)이라 칭하고, 위의 공자(公子) 출신. 전국시대 진(秦)나라 효공의 재상으로 법가 사상에 따르는 대개혁(變法)을 단행하여 부국강병의 기초를 닦았다. 상앙이 부국강병의 결실을 거두도록 실시한 이같은 변법들은, 씨족제도의 해체, 인보제(隣保制)에 의한 치안 유지의 강화, 군공(軍功)에 따른 수작(授爵), 중앙집권적 군현제의실시, 농지의 사유권을 인정하는 토지 제도 개혁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개혁이 모두 상앙 자신의 발안(發案)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가 표본으로 삼은 제도는 아마도 위(魏)를 비롯한 중원(中原)의 선진국에서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던 것이었다.변법가(變法家) 상앙의 수완은, 그와 같은 기존의 제도에 수정을 가하여 종합적이고도 법가적(法家的)인 엄격성으로 후진국인 진(秦)에서 획일적으로 실시한 점에서 발견할 수 있다. 부국강병을 목적으로 한 상앙의 변법은 성공하여 거국적으로 농경과 군사에 힘쓴 결과, 물자는 풍부해지고 생활은 안정되고 용감한 병사가 육성되었다.기원전 338년에 상앙의 좋은 이해자였던 효공이 죽자, 상앙의 개혁에 의해서 갖가지 특권을 빼앗겼던 종실(宗室)을 비롯하여 귀족 등의 반항에 부딪쳐 상앙은 극형에 처해져 비명의 최후를 마쳤다. 그러나 그가 시행한 개혁은 진 나라 정치의 기본 노선으로서 그 후에도 계속 계승되어, 마침내 진으로 하여금 통일국가를 실현시키는 커다란 원동력이 되었다.

부호[편집]

富豪

전국시대에 주로 소금·쇠의 대규모 제조, 매매에 의하여 왕에 비길 만한 치부를 한 사람들을 말한다. 이것은 그 시대의 농업 생산의 발전, 부국강병 정책에 의한 국가적 수요의 증대를 배경으로 종래 영주에 예속되어 있던 수공업자가 해방되어 독립함으로써 의욕적으로 생산에 참여한 결과 상업이 눈부시게 발달했기 때문이다.

도·포·전[편집]

刀·布·錢 전국시대에 사용된 청동화폐. 포(布)는 쟁기 등의 철제농구를 모방한 것으로 주로 위에서 유통했다. 도(刀)는 칼 등 무기를 모방한 것으로 제나라에서 만들었다. 전(錢)에는 보구(?具)를 모방한 초의 의비전(蟻鼻錢), 원형으로 구멍이 있는 진(秦)의 환전(?錢) 등이 있었다. 연·조나라에서는 도(刀)·포(布) 양 화폐를 주조했다. 당초에는 상인들이 교역을 위해 자발적으로 발행한 것이었지만 점차 국가적 통제가 가해졌다.

『초사』[편집]

楚辭 전국시대 초나라의 시인 굴원(屈原)·송옥(宋玉) 등의 사부(辭賦)를 모은 것으로서 일종의 가요집.사(辭) 또는 부(賦)라 함은 장편의 운문(韻文)의 일종으로 남방의 풍토에서 생긴 『초사(楚辭)』는 북방을 무대로 한 『시경(詩經)』과는 대조적인 시풍(詩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시대를 대표하는 운문집(韻文集)으로서 문학사상 중요하다.권두(卷頭) 「이소(離騷)」의 작자인 굴원은 진(秦)에 학대받던 초의 비애를 노래했는데 후에 참언에 의하여 번뇌 끝에 멱라(汨羅)에 몸을 던져 죽어버렸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