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통상·산업/산업의 경영형태/상업의 경영형태/한국의 상업경영형태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한국상업경영의 특성(유통경제의 특성)[편집]

韓國商業經營-特性(流通經濟-特性)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제국은 물론 일부 개발도상국에 비교해서도 상업경영상의 구조적 취약성이 두드러진다. 즉 우리나라의 상업경영에 있어 유통구조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로, 상업경영의 형태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인 유통경로(marketing channel, distribution channel)에 영세적인 소규모업자가 다단계적(多段階的)으로 개입하여 그것을 장형화(長型化)·우회화(迂廻化)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다단계적인 유통경로는 필연적으로 유통 이폭(利幅)의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유통부문이 불완전 취업의 온상이 되어 전체적인 저생산성의 근원이자 소비자 가격을 앙등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로, 동일한 상품이 동일한 생산자에 의하여 동일한 공장에서 출하되는 경우에도 유통경로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아 다양하고 복잡한 유통경로가 혼재(混在)하여 경로마다 상이(相異)한 가격이 형성됨으로써 커다란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셋째로, 최근에 이르러 유통경로에 대한 생산자의 개입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대기업이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하여 직매, 생산자 조합을 통한 위탁판매, 특약점 및 대리점을 통한 계열화(系列化)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산자의 유통과정에 대한 개입은 선진국의 경우에는 경로의 단축과 유통효율의 제고(提高)롤 유통상의 이폭을 축소시켜 소비자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유통마진의 감축을 통한 소비자가격의 인하에는 전혀 기여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유통비용의 증가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로, 유통경로의 효율화를 위하여 유통경로상의 여러 단계 중 어떤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나, 이는 유통비용의 축소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지배력이 강한 특정단계의 유통업자의 이폭을 확대시켜 주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위에서 간단히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유통경제는 영세한 중간상이 과다하게 개입됨으로써 전근대적이며 저생산적인 유통경로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상업경영의 형태[편집]

韓國商業經營-形態

우리나라 유통경제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조적 취약성 내지 문제점 속에서 허덕이고 있기 때문데, 그것의 집약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상업경영 형태도 전근대적이며 여타 선진제국 내지는 일부 개발도상국에 비하여 다른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소매상업경영의 대표적인 형태라고도 할 수 있는 백화점의 경우만 하더라도 생산자 직영 내지는 전관소유경영은 전무한 실정에 있으며, 통신판매점(mail order store)은 그 예도 찾아보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도매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로서, 기능의 분화(分化)에 따른 다양화된 도매기구는 그 예를 찾아 보기가 힘들며, 단지 소매기구와 도매기구가 혼합된 전근대적인 도매기구만이 존재할 뿐이다. 다음에서 우리나라 상업경영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형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소매상업의 경영형태[편집]

小賣商業-經營形態

독립소매점

獨卍賣店

독립소매상은 일정장소에 점포를 가지고 1인 또는 소수인이 소유 내지 경영하는 독립적인 단위체이며 비교적 소규모로 경영되는 소매점을 말한다.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의 경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매업(retailers)의 대표적 형태이다. 그리고 미국 등 선진제국에서도 이와 같은 소매상업 경영형태는 오늘날에도 쉽게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독립소매점 형태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까닭은 그 경영에 경영자의 개인적 독창력을 발휘하기가 쉽고 고객과의 인간관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가장 큰 요인으로서는 그 설립 및 운영에 자본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데에 있다.

백화점[편집]

百貨店

백화점(department stores)은 일정건물 내에 선정품(選定品)을 중심으로 여러 상품을 취급하고, 이것을 부문별 조직에 의하여 경영하는 대규모 소매상업 경영형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백화점은 외견상으로는 그 형태를 취하고는 있으나, 그 내용으로 보아서는 아직도 본격적 의미에서의 백화점과는 거리가 멀다. 즉 우리나라 백화점의 경우 대부분이 임대제(賃貸制)에 의한 소매상의 통합형태로서 나타나 있는 것이 고작이며, 백화점의 경제적인 제특징인 집중적 대경영, 다종류의 상품, 부문별조직에 의한 합리적 경영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여러 종류의 상품, 부문별 조직에 의한 합리적 경영, 집중적 대경영 등을 백화점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한다는 점에서는 잡화점과 비슷하나, 부문별 조직에 의한 매입·판매·관리를 함으로써 다양한 상품 판매업무를 과학적·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점과 경영규모면에서 잡화점과는 다르다. 또한 슈퍼마켓이 경영규모에서 비슷한 점이 있으나 슈퍼마켓의 취급품목이 식료품 위주로 한정되어 있으며, 부문별 조직도 백화점처럼 고도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백화점과는 다르다. 백화점이 각 부문에 상품관리자를 두고 어느 정도의 자주성과 판매 책임을 지우고는 있으나 전체가 하나의 기업에 소속되어 경영되는 것이 백화점의 특징이다.

연쇄점[편집]

連鎖店

연쇄점이란 집중적인 소유경영하에서 같은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소규모 산재적(散在的) 점포의 집단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쇄점은 정규연쇄(reqular chain store) 내지 회사연쇄점(cooperate chain stores)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쇄점의 특징은 집중적 소유와 경영하에서 운영되고 있다는 점, 동일 종류에 속하는 상품을 취급한다는 점, 소규모 산재적 점포의 집단이라는 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쇄점은 1875년 이후 급진적으로 발전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연쇄점의 기본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곳은 거의 없다. 1960년대 후반 독립소매상의 변형(變形)인 것에 불과하다. 즉 영세적인 독립소매상을 그 설비 면에서 다소 개선, 생산자와의 직결로 가격 인하를 한 것일 뿐 연쇄점의 기본적 요구는 전혀 충족되고 있지 않다.

통신판매점[편집]

通信販賣店

통신에 의해 주문받고 우송으로 주문상품을 인도하는 판매방법으로 상품은 신문·잡지·라디오·텔레비전·카탈로그 등에 의해 광고·선전되며, 우편환 등으로 대금을 지급받는다.

통신판매의 특징은 상품의 실물은 전혀 보지 않은 채 성립되는 상거래라는 점에 있다. 통신판매는 부패의 염려가 있는 식료품 외에는 모두가 취급대상이 될 수 있느나, 표준화가 가능한 품목의 상품이 주종을 이루는 것은 판매의 성격상 부득이하다. 통신판매의 이점은 저렴한 점포유지관리비,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입, 고객의 현금선불에 의한 주문 등에 있다. 단점으로는 카탈로그와 실물의 상위(相違)에 의한 높은 반품률, 에누리가 없는 것, 카탈로그의 간행, 인쇄·배포나 광고선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수산물의 통신판매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신용카드 전문업체·금융기관·백화점의 신용카드사업에 의해 통신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3년 12월부터는 아시아나항공과 신세계백화점의 협약에 의해 스카이(항공)통신판매제도가 실시되고 있고, 통신판매 전문업체들도 등장했다. 1995년에는 케이블 TV를 통한 홈쇼핑이 운영되어 시청인구의 한정에도 불구하고 기반구축에 성공했으며 인터넷과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사이버 쇼핑도 하나의 유통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슈퍼마켓[편집]

super market

생활필수품·음식료품·잡품 등을 셀프 서비스 방식에 의해 취급하는 유통조직으로 미국에서 발달하였으며 소매업의 가장 일반화된 형태이다. 그 운영형태는 중앙에 전국조직인 본부를 두고 직영점·가맹점체제를 취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대기업의 대자본에 의한 백화점식 대형 슈퍼체인이 등장하여 기존의 중소업체들에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대형 슈퍼체인들은 유통업체 종합경영정보시스템인 판매시점 정보관리제도(POS) 체제를 갖추어(통칭 바코드 시스템이라 한다)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했고 과거 공산품 중심의 상품배열을 농수산물에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가공사업의 자체경영으로까지 진전되고 있다.

도매상업 형태[편집]

都賣商業形態

우리나라의 경우 소매상도 그 발달이 뒤쳐져 있으나, 특히 도매상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즉 대부분의 도매상은 소매상의 규모가 다소 확대된 것에 지나지 않으며, 그 기능 역시 도매상의 전문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제조업자에 의한 직접판매기관으로서 제조업자판매지점, 제조업자들의 판매소, 중개인·수수료상(commis­sion house) 등은 다소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安 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