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통상·산업/산업의 경영형태/특수산업의 경영형태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特殊産業-經營形態〔序說〕오늘날 신산업(新産業)이라 볼 수 있는 지식·정보산업(知識·情報産業)과 학교·병원의 특수경영체도 역시 그 경영이 목표로 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경영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경영계획(經營計劃)을 수립하고 조직을 하게 되며, 조직을 통한 경영계획의 집행과정에서 통제(統制)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끊임없는 경영관리과정을 통하여 경영이 목표로 하고 있는 문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체제를 독자적으로 가지면서 경영조직도 외적 환경과 관련, 규모·형태 등이 서로 다른 여러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음은 물론, 조직 안에서의 생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여러 대책과 활동, 그 경영체의 경영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지식·정보산업의 생성(生成)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경제의 발전에 따라 인류에게 축적되는 지식이 증가하고 다양하게 된 데에 있다. 이러한 지식은 상품과 같아 때와 곳에 따라 그 효용성은 달라지는 것이며, 따라서 지식의 전달(傳達)·이동은 또 하나의 가치(價値)를 창출하게 된다. 정보(情報)란 인간이 이제까지 축적시켜 놓은 지식을 담은 유형무형(有形無形)의 매개체를 말하는데, 지식·정보산업은 논자에 따라 분리하거나 혹은 함께 보는 사람도 있다. 지식(knowledge)이라 함은 안다(know)는 것으로, 알고 있는 상태를 정태적(情態的)으로 나타낸 말이며, 정보(information)라 함은 알게 한다(inform)는, 정보전달에 필요한 활동이 내포되어 있다. 이는 활동기준인 과정으로서 지식의 생산과 전달과정에 대한 차이이며, 편의상 여기서는 구분하지 않고 지식·정보산업이란 용어를 포괄적인 내용으로 사용한다. 지식·정보산업의 영역은, 교육·연구개발·커뮤니케이션 미디어·정보기계·정보 서비스로, 크게 5개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지식의 생산·전달에 관계하는 관점에서 보면, 지식의 전달·변형(變形)·처리·해석·분석자와 지식의 독창적 창조자로 분류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활동은 각종 과학기술 문헌을 중심으로 한 정보수집·축적 업무와 대별할 수 있는 바,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정보센터가 체계적으로 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학교경영(學校經營)은 교육을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점이 기업경영 및 기타 특수경영과 다르다. 교육은 인간의 성장·발달을 조성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인도하는 작용이다. 따라서 교육의 본질은 이상적 인간의 형성에 있으며, 그것은 자각적·표현적·이성적 존재의 인간임을 요한다. 학교경영은 학교의 체계·조직체인 학교제도와, 이 교육제도의 강력한 규제하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경영의 목적인 교육을 하는 점이 경영상의 특수한 점이다. 그리고 학교는 그 조직목적과 조직구조·구성원·통제제도 등 정부나 일반기업체·병원·교회 등과는 다른 특수한 체제를 지니고 있다. 학교경영은 학교교육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따라서 그 궁극의 목적은 인력(人力)과 시간과 경비 및 물자를 최소한도로 사용하여 바라는 교육의 최대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으로는 크게 관리활동과 지도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병원은 인간의 생명을 질병으로부터 예방 및 치료하여 보호함으로써 인류의 행복에 직접적인 공헌을 하고 있는 서비스 업무를 그 본래의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병원이란 특수경영체는 의료사업이기 때문에 국민의 건강 복지를 주재하며, 한편으로는 예방의학·사회의학·공중위생 등의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치료의학의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근대사회 경제상태에 있어서 의료사업은 사회보장제도의 중심적 존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개인병원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이 각종의 사회적 제약과 국가의료제도 및 각종 법령으로 강한 규제를 받고 있는 병원의 경영관리는 이윤추구(利潤追求)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일반경영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이 점이 병원 경영상의 특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지식·정보산업, 학교 및 병원이나 특수경영체를 볼 때 공통점은 서비스 업무라는 점과 공익(公益)을 위하는 법령의 강한 규제를 받는다는 것인 바, 이른바 공익사업(公益事業)의 성격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공기업(公企業)의 특성은 한편으로는 계속적으로 상품(財貨와 用役)을 생산하는 조직체로서의 기업이라는 특질을 가지고 있어 사기업(私企業)과 공통의 본질을 지니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성(公共性)이라는 사기업과 다른 특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지식·정보산업, 학교 및 병원이라는 공익사업은 그 특성상 다음과 같은 경영에 있어서의 모순을 내포하게 된다. 즉, ① 공공 중심주의와 자본 중심주의, ② 공공성과 기업성의 모순, ③ 민주주의와 능률주의의 모순, ④ 공공중점주의와 채산(採算)중점주의 모순이 그것이다. <李 奭 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