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고구려의 미술/고구려의 공예·서적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투각용봉문 금동관형장식[편집]

透刻龍鳳紋 金銅冠形裝飾

평안남도 중화군 진파리 고분에서 발견된 것으로 고구려인들의 세련된 공예수준을 보여주는 뛰어난 공예품이다. 비행기의 뒷날개처럼 생긴 투각된 금동틀을 두 개 맞붙여 모형(帽形)을 만들고 한복판에는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를 주문대(珠紋帶)의 원형(圓形) 안에 두고 상부에는 봉황(鳳凰), 하부에는 용 두 마리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여러 동물을 제한된 공간에 도안으로 배치함에 있어 조금도 어색하거나 부자연함이 없고 유려하면서도 세련된 힘이 보인다. 뒷바탕에는 남청색(藍靑色)의 비단벌레(Chrysochroa fulgidissima) 날개를 붙여 금빛을 더 찬란하게 만들고 있는데, 비단벌레의 날개를 투조금구(透彫金具)의 바탕 무늬로 사용한 예는 금관총의 신라 유물에서도 볼 수 있고 일본의 다마무시노즈시에서도 볼 수 있다.

투각초화문 금동관[편집]

透刻草花紋 金銅冠

평양 부근 고분에서 나온 것이며 금동판투작(金銅板透作)이다. 초화문 장식이 머리 전면에서 주형 광배(舟形光背)처럼 서 있는 외에는 아무 장식도 없는 간단한 것으로 동시대의 불상에서 보는 따위의 간단한 화관(花冠)들과 같은 계통의 것으로 믿어진다.

금동귀고리[편집]

金銅耳飾

고구려의 귀고리로는 순금 제품이 없고 청동으로 만든 위에 도금한 금동제품뿐인데 평안북도 영변(寧邊) 일대의 도굴된 고분에서 채집한 것들이 약간 있을 뿐이다. 신라의 귀고리처럼 굵은 고리식·가는 고리식의 두 가지 양식이 아니라 가는 고리식만 보인다.

신라의 귀고리는 귀에 끼는 큰 고리와 그 밑에 달리 구형(球形)장식, 그리고 또 그 아래에 달린 하트형(心葉形)장식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중간부의 구형 형식은 대단히 정교하고 복잡하며, 거기에 영락(瓔珞)이 달려 있는 데 비하여, 고구려의 귀고리는 형식상 매우 간단하고 또 고식(古式)인 것이 분명하다. 고구려 귀고리의 기본형은 가는 고리에 작은 고리를 달고, 그 고리에 각추(角錐) 같은 장식을 달아놓았고, 그 매달린 장식 중에 작은 고리를 합쳐 가운데가 빈 금구(金具)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식은 낙랑의 이당에서 출발하였는데, 낙랑의 이당의 기본형은 귀에 끼는 관옥(管玉)과 그 밑에 달리는 구옥(球玉) 및 하트형 수옥(垂玉)으로 되어 있음이 그 특색이다.

고구려 귀고리가 또 발전하여 신라의 복잡한 귀고리 형식을 낳게 되는데, 우선 고구려인에 의해 처음으로 한국화된 귀고리의 형식이 만들어졌다는 점이 중요하다.

을묘년명 청동호우[편집]

1946년 경주 호우총에서 발굴된 고구려의 명문(銘文)을 가진 청동유개합(靑銅有蓋盒). 십판화형뉴좌에 꼭지가 달린 반원형 뚜껑과, 역시 깊이 10cm나 되고 둘레(腹徑) 24cm나 되는 깊고 넓은 원형 기신(器身)이 합친 것인데, 그 표면에는 두 군데 세 가닥(三條)이 합친 융기대(隆起帶)가 돌고 있다. 이 그릇이 유명한 것은 그릇 바닥에 있는 4행 13자의 양명문(陽銘文)이다. 자체(字體)는 대왕비(廣開土大王碑)에서 보는 그 웅건한 예서체(隸書體)인데, 이 명문에 의하면 이 그릇은 호태왕(好太王)이 죽은 후 3년인 장수왕(長壽王) 3년(415년)에 왕의 사당(祠堂)에 쓰기 위해 만든 제기(祭器)의 하나임이 분명하다.

이 광개토왕의 제기가 어떤 연유로 해서 신라로 흘러들어와 신라 분묘에 부장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추측하건대 고구려로 인질(人質)로 갔던 신라의 왕족이 기념으로 갖고 왔을 가능성이 크다.

신라 영토 안에서 나타난 연대가 확실한 고구려의 공예품으로서 귀중한 유물이다. 전체의 높이 19.4m.

채색백호문 운모감[편집]

높이 150cm 정도에 구경(口徑) 180cm되는 독으로서 평안북도 강계(江界) 출토. 우현리 고분벽화의 백호도와 상통하는 화문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육조시대 말기의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종류의 토기 가운데서도 빼어난 우품(優品)이라 할 수 있겠는데, 장식그림이 지닌 묘(妙)는 물론이고 형태의 단정하고 웅건한 점에 있어서도 중요한 고구려 공예품이다. 고구려의 토기는 대체로 중국식 흑회색(黑灰色) 연질토기(軟質土器)의 계통이며 질에 있어서나 형태에 있어서 신라 토기와는 구별된다.

만달상 고분군출토 토기류[편집]

晩達山古墳群出土 土器類

평양에 있는 고구려의 고분군에서 채집된 토기류. 난형(卵形)의 호신(壺身)에 주둥이(口緣部)가 넓어진 목이 달린 것인데, 그릇 표면의 처리에 있어서 간단한 자갈과 같은 물체로 격자문(格子紋)을 그은 것이 있고 또 한 대(漢代)의 염을 연상시키는 원통형 호신에 짧은 세 다리가 달리고 납작한 뚜껑이 덮인 것도 있다.

와당[편집]

瓦當

수막새기와의 끝에 마구리로 달리는 고구려 와당은 통구 지방의 석총들 외부나 평양 지방의 안학사지(安鶴寺址), 평원군(平原郡)의 원오리사지(元五里寺址)등에서 발견된다. 대체로 붉은색 계통이 많고, 무늬로는 연화문(蓮花紋)·인동문(忍冬紋)·수면문(獸面紋)·와문(渦紋) 등인데 연화문 계통이 압도적이다. 신라나 백제의 와당에 비해 변화가 많고 시문(施紋)이 예리하고 간결한 것이 특색이다.

특히 중앙의 유 주위를 쌍선방사선(雙線放射線)으로 8등분하고 그 사이마다 연꽃 화판(花瓣)을 배치하는 방법은 낙랑의 와당과 통하여 토기와 함께 낙랑의 영향이 크다. 이밖에 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전면을 연이어 인동문이나 당초문으로 표현한 것도 있는데, 그 무늬의 형태로 보아 구획식 와당보다 뒤에 온 형식으로 보인다.

그 형태의 다양함에 있어 고구려의 와당은 삼국 중에 으뜸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