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선사시대의 미술/석기시대의 미술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수혈주거지[편집]

竪穴住居址

선사인들의 집터로 직경 4m-10m 정도의 크기를 가진 원형 또는 방형의 노지(爐址)가 있어 난방장치가 있었던 흔적으로 보인다. 공방(工房)으로 추측되기도 하며 온돌의 시원(始源)으로도 여겨진다. 그 분포도는 함경북도 일대 해안 및 두만강 유역으로부터 시작하여 평안도 지방, 서해안을 따라 중부지방, 그리고 경상도에 이른다. 신석기시대 유적.

적석총·석관총·옹관 총[편집]

積石塚·石棺塚·甕棺塚 선사시대 분묘의 여러 양식. 적석총은 케어른(Cairn)이라고 부르며 흙 대신 돌로 덮은 무덤이다. 석관총은 판석(板石)을 사용한 직사각형의 관으로 된 무덤이다. 옹관총은 유해를 독에 넣어서 매장한 무덤이다.

지석묘의 남북양식[편집]

支石墓-南北樣式

우리말로는 고인돌. 서양에서 볼 수 있는 돌멘과 똑같은 형식을 갖춘 지석묘는 금석병용시대(金石竝用時代)로부터 철기시대(鐵器時代) 초기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선사인들의 분묘, 내지는 제단(祭壇)의 한 양식이다. 함경북도 지방을 제외한 전역에 그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대동강·한강·낙동강·영산강 등 대하(大河)를 끼고 많이 눈에 띈다. 지역적으로 다소 양식의 차이를 보이는데, 대개 북방식 지석묘(北方式支石墓)와 남방식 지석묘(南方式支石墓)의 두 가지로 나뉜다. 북방식 지석묘는 탁상형(卓床形=table 式)으로서 중부 이북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석(支石=撑石) 위에 개석(蓋石=上石)을 얹어 놓아 전체를 지상에 노출되도록 축조했다. 현실(玄室)이 지상에 있기 때문에 오늘날 그 속에서 부장품(副葬品)이 발견되는 예는 거의 없다. 남방식 지석묘는 기반식(碁盤式)으로서 남부,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석이 아주 낮거나 전혀 없는 것도 있어 상석이 지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상석 밑 지하에는 적석(積石)이 있어 이 분묘의 중핵을 이룬다. 북방식 지석묘가 변화하여 하나의 완성된 형식으로서 남방식 지석묘로 발전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패총[편집]

貝塚

셸 마운드(Shell mound). 우리말로 '조개무지'. 신석기시대부터 금석병용기에 걸쳐 선사인들이 어로생활(漁撈生活)을 하면서 그들의 중요한 식료품이던 조개(貝)의 껍질을 버렸던 곳으로 토기·석기·골각기(骨角器) 같은 각종 유물이 동시에 발견된다. 하천 유역과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동침 신전앙와장[편집]

東枕神展仰臥葬

선사인들의 유해처리 방법(遺骸處理方法)의 하나이다. 대체로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굴신장(屈身葬)이라 하여 다리를 구부리게 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다리를 뻗친 신전장(神展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개 다리를 뻗치고 눕힌 신전앙와장의 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머리를 동쪽으로 두고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한 데서 이 말이 생겼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시베리아 일대의 기본 침향(枕向)으로서 선사인들의 신앙 및 분묘 연구에 중요하다.

석부·석촉·석검[편집]

石斧·石鏃·石劍

우리나라의 석기는 타제(打製)보다 마제(磨製)가 압도적이다. 타제석기와 마제석기 사이에는 확실한 연대의 한계를 그을 수가 없을 만큼 병존하는 예가 많은데 타제석기의 발견은 함경북도에 국한되고 있다. 석부(돌도끼)는 주로 나무를 벌채하는 데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실제로 땅을 파는 데에 사용했던 것도 있는 것 같다. 석부의 형태는 단면이 타원형인 것이 주로 많고 평평하거나 직사각형을 이룬 것도 간혹 눈에 띈다. 석촉(돌화살)은 마제석촉의 경우 그 형태가 잎사귀형(葉形) 촉신(鏃身)에 경(莖)이 달린 유경식(有莖式), 각형(角形)으로 된 무경식(無莖式), 버드나무잎 모양의 장엽형(長葉形)촉 등 세 가지로 구별된다. 대체로 석기시대 말기, 또는 금석병용기에 만들어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석검은 자루가 달린 유병식(有柄式)이 태반이고 금속기를 모조(模造)한 점으로 미루어 금석병용기의 유물로 보인다. 비교적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나 실용기(實用器)라기보다는 부장(副葬)을 위한 의기(儀器)에 가깝다.

골각기·패기류[편집]

骨角器·貝器類 선사인들의 일상 용기 가운데는 유기질로 된 수골(獸骨), 수각기(獸角器)와 패기(貝器)가 있다. 골각기로서는 골촉(骨鏃)·골검(骨劍)·골부(骨斧)·골침(骨針) 등이 있는데 골침을 제외한 골각기의 모든 형태는 석기와 별로 다를 바 없다. 조개를 용기(容器)나 장신구로 사용한 것은 세계 어느 지방에서나 통용되는 예이며 조개용기 가운데에는손잡이를 붙여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구멍이 뚫어진 것들도 있다.

빗살무늬토기[편집]

櫛紋土器

빗살무늬 토기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토기형식으로 신석기시대부터 금속병용기 초기까지 계속되었고 무문토기(無紋土器)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 신석기시대의 승문(繩紋)토기나 철기시대의 엔가가와(遠賀川) 토기에도 영향을 준 흔적이 있다. 붉은 점토의 태토(胎土) 가운데에 미세한 운모나 활석, 또는 석면(石綿) 가루를 섞어 만들었고 기형은 바닥이 뾰족한 첨저(尖底), 둥근 원저(圓底)가 대부분이며 반란형(半卵形)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함경북도에 한해서는 말기의 것으로 보이는 평저(平底)가 발견된다. 토기의 표면에는 뼈조각이나 나무조각, 혹은 조개 등으로 그어 각인(刻印)한 것으로 보이는 점선(點線) 무늬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주둥이 부분(口緣部)의 무늬는 보통 횡렬점(橫列點), 단선문(短線紋)이 쓰여지고 배부분(器腹部)에는 평행절선(平行折線)으로 된 어골문(魚骨紋)이 많이 쓰여진다. 기종(器種)은 그렇게 다양하지 못하며 손잡이가 없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제작에 있어서는 적륜(積輪)이나 권륜법(捲輪法)이 쓰여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어로용 용기가 많고 수렵용 용기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어로를 주생산으로 하며 수렵을 병행한 민족의 소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포상태도 해안이나 하천유역에 한한다.

번개무늬토기[편집]

雷紋土器

함경도 지방에서만 발견된 유문토기이며 빗살무늬 토기 유지에서 빗살무늬토기와 함께 나왔다. 표면에 동물의 이끝 같은 것으로 음각한 삼각형, 혹은 사각의 뇌문형이 둘려 있는 것이 특색이며 장식적, 문양적인 효과를 목표로 한 점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후육무문토기[편집]

厚肉無紋土器

대체로 무늬가 없고 각형(角形) 손잡이가 달린 것이 특색이다. 점토질 태토(胎土)에 굵은 돌가루를 섞어 손으로 빚어 만들었기 때문에 두껍고 질이 거칠다. 흡수성이 강하고 그 소성온도(燒成溫度)도 낮아서 보통 붉은색이나 다갈색(茶褐色)을 띤다. 기형은 다양하며 바닥이 평평하고 화분 같은 모양을 이룬 화분형 평저(花盆形平底)가 그 중 많다. 바닥이 좁은 대신에 위가 벌어져 올라가서 쇠뿔을 도치(倒置)한 것 같아 각형토기(角形土器)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기본형에서 출발하여 대형의 옹관(甕棺)으로까지 발전하고 있으며 고배도 있다. 분포는 전국 각지이나 주로 내륙지방, 특히 구릉지대(丘陵地帶)에 많아 빗살무늬 토기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 무문토기계의 민족도 수렵과 목축농경에 종사하고 있던 민족임을 알 수 있다. 마제석기와 반출(伴出)된 예가 많고 빗살무늬 토기를 동화 흡수하여 철기시대까지 명맥을 이어왔다.

붉은간토기[편집]

丹塗磨硏土器

홍도(紅陶)라고도 불린다. 토기의 표면을 닦고 붉은색단(丹=酸化鐵)을 바른 토기이다. 동류(東流)해 중국에서 온 채도문화권(彩陶文化圈)에 속하는 것으로서 주로 함경북도 지방에서 많이 출토되었고 빗살무늬 토기와 반출된 예는 없다.

홍지흑채문장경호[편집]

紅地黑彩紋長頸壺

함경북도 웅기(雄基) 송평동(松平洞)의 패총 인골(人骨)곁에서 발굴된 채문토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무늬를 가진 유일한 채도(彩陶)로 알려지고 있다. 넓은 몸통(胴部)과는 달리 하반신이 급히 좁아지고 바닥이 평평한 이 장경호에는 담흑색(淡黑色)의 U자무늬가 세 겹으로 둘러져있는 것이 특색이다. 이러한 무늬는 중국의 채도에서 찾아볼 수 없으나 기형만은 중국의 채도에 기원을 두고 있음을 보인다.

김해토기[편집]

金海土器

경상남도의 일부 해안지역의 패총에서 발굴된 경질의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 김해읍 회현리의 패총으로 대표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1000도 이상의 높은 열로 구운 것이며 처음으로 물레가 사용되고 많은 화력을 낼 수 있는 터널식 등요(登窯)가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기형은 원저감이 많고 토기의 색은 밝은 적갈색(赤葛色) 계통과 회청색(灰靑色)의 두 가지로 나뉜다. 이 토기는 고분시대의 전형적인 신라 토기로 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