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 (제2005-32호)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외래어표기법
문화관광부고시 제2005-32호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제2014-43호)

시행: 2005.12.28
제정: 2005.12.28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편집]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편집]

외래어는 표 1~13에 따라 표기한다.


표 1[편집]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표 2[편집]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ll, y, ,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3[편집]

이탈리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4[편집]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편집]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성모(聲母)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중순성
(重脣聲)
b p 설면성
(舌面聲)
j ch
p p' q ch'
m m x hs
순치성
(脣齒聲)
f f 교설첨성
(翹舌尖聲)
zh[zhi] ch
[chih]

[즈]
설첨성
(舌尖聲)
d t ch
[chi]
ch'
[ch'ih]

[츠]
t t' sh
[shi]
sh
[shih]

[스]
n n r
[ri]
j
[jih]

[르]
l l 설치성
(舌齒聲)
z
[zi]
ts
[tzŭ]

[쯔]
설근성
(舌根聲)
g k c
[ci]
ts'
[tz'ŭ]

[츠]
k k' s
[si]
ss
[ssŭ]

[쓰]
h h
운모(韻母)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음의 분류 주음
부호
한어 병음
자모
웨이드식
로마자
한글





a a















ㄧㄚ ya
(ia)
ya
(ia)
o o ㄧㄛ yo yo
e ê ㄧㄝ ye
(ie)
yeh
(ieh)
ê e ㄧㄞ yai yai 야이
yi
(i)
i ㄧㄠ yao
(iao)
yao
(iao)
야오
wu
(u)
wu
(u)
ㄧㄡ you
(ou, iu)
yu
(iu)
yu
(u)

(ü)
ㄧㄢ yan
(ian)
yen
(ien)





ai ai 아이 ㄧㄣ yin
(in)
yin
(in)
ei ei 에이 ㄧㄤ yang
(iang)
yang
(iang)
ao ao 아오 ㄧㄥ ying
(ing)
ying
(ing)
ou ou 어우






ㄨㄚ wa
(ua)
wa
(ua)







an an ㄨㄛ wo
(uo)
wo
(uo)
en ên ㄨㄞ wai
(uai)
wai
(uai)
와이
ang ang ㄨㄟ wei
(ui)
wei
(uei, ui)
웨이
(우이)
eng êng ㄨㄢ wan
(uan)
wan
(uan)
권설운
(捲舌韻)
er(r) êrh ㄨㄣ wen
(un)
wên
(un)
원(운)
ㄨㄤ wang
(uang)
wang
(uang)
ㄨㄥ weng
(ong)
wêng
(ung)
웡(웅)







ㄩㄝ yue
(ue)
yüeh
(üeh)
ㄩㄢ yuan
(uan)
yüan
(üan)
위안
ㄩㄣ yun
(un)
yün
(ün)
ㄩㄥ yong
(iong)
yung
(iung)

표 6[편집]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sz, rz의 ‘시’와 j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7[편집]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d’, , , t, j의 ‘디, 니, 시, 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8[편집]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lj, nj, ,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9[편집]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10[편집]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ny, s, j, ly의 ‘니, 시, 이,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11[편집]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2[편집]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3[편집]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4[편집]

말레이인도네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5[편집]

타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6[편집]

베트남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7[편집]

포르투갈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ch의 ‘시’, lh의 ‘리’, nh의 ‘니’, x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 k, w, y는 외래어나 외래어에서 파생된 포르투갈식 어휘 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약자나 기호의 표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포르투갈어 알파벳에 속하지 않으므로 해당 외래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한다.
* (브)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되는 표기이다.


표 18[편집]

네덜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j의 ‘이’,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표19[편집]

러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sh(ш), shch(щ)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제3장 표기 세칙[편집]

제1절 영어의 표기[편집]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 ([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2항 유성 파열음([b], [d], [])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제3항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는 ‘슈’로, 모음 앞의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는 ‘ㅈ’으로 적는다.
제4항 파찰음([ts], [dz], [t], [d])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 [d]는 ‘치’, ‘지’로 적는다.
2. 모음 앞의 [t], [d]는 ‘ㅊ’, ‘ㅈ’으로 적는다.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제6항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제8항 중모음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는 ‘아워’로 적는다.
제9항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 [w], [wou]는 ‘워’, [w]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제10항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제2절 독일어의 표기[편집]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r]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r]와 ‘-er’는 ‘어’로 적는다.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2항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라이선스[편집]

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