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 (제2005-32호)
보이기
외래어표기법 문화관광부고시 제2005-32호 |
시행: 2005.12.28 |
제정: 2005.12.28 |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편집]-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편집]- 외래어는 표 1~13에 따라 표기한다.
표 1
[편집]-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표 2
[편집]-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ll, y, ,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3
[편집]- 이탈리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4
[편집]-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편집]-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성모(聲母) | |||||||||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중순성 (重脣聲) |
ㄅ | b | p | ㅂ | 설면성 (舌面聲) |
ㄐ | j | ch | ㅈ |
ㄆ | p | p' | ㅍ | ㄑ | q | ch' | ㅊ | ||
ㄇ | m | m | ㅁ | ㄒ | x | hs | ㅅ | ||
순치성 (脣齒聲) |
ㄈ | f | f | ㅍ | 교설첨성 (翹舌尖聲) |
ㄓ | zh[zhi] | ch [chih] |
ㅈ [즈] |
설첨성 (舌尖聲) |
ㄉ | d | t | ㄷ | ㄔ | ch [chi] |
ch' [ch'ih] |
ㅊ [츠] | |
ㄊ | t | t' | ㅌ | ㄕ | sh [shi] |
sh [shih] |
ㅅ [스] | ||
ㄋ | n | n | ㄴ | ㄖ | r [ri] |
j [jih] |
ㄹ [르] | ||
ㄌ | l | l | ㄹ | 설치성 (舌齒聲) |
ㄗ | z [zi] |
ts [tzŭ] |
ㅉ [쯔] | |
설근성 (舌根聲) |
ㄍ | g | k | ㄱ | ㄘ | c [ci] |
ts' [tz'ŭ] |
ㅊ [츠] | |
ㄎ | k | k' | ㅋ | ㄙ | s [si] |
ss [ssŭ] |
ㅆ [쓰] | ||
ㄏ | h | h | ㅎ |
운모(韻母) | ||||||||||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음의 분류 | 주음 부호 |
한어 병음 자모 |
웨이드식 로마자 |
한글 | |
단 운 ︵ 單 韻 ︶ |
ㄚ | a | a | 아 | 결 합 운 모 ︵ 結 合 韻 母 ︶ |
제 치 류 ︵ 齊 齒 類 ︶ |
ㄧㄚ | ya (ia) |
ya (ia) |
야 |
ㄛ | o | o | 오 | ㄧㄛ | yo | yo | 요 | |||
ㄜ | e | ê | 어 | ㄧㄝ | ye (ie) |
yeh (ieh) |
예 | |||
ㄝ | ê | e | 에 | ㄧㄞ | yai | yai | 야이 | |||
ㄧ | yi (i) |
i | 이 | ㄧㄠ | yao (iao) |
yao (iao) |
야오 | |||
ㄨ | wu (u) |
wu (u) |
우 | ㄧㄡ | you (ou, iu) |
yu (iu) |
유 | |||
ㄩ | yu (u) |
yü (ü) |
위 | ㄧㄢ | yan (ian) |
yen (ien) |
옌 | |||
복 운 ︵ 複 韻 ︶ |
ㄞ | ai | ai | 아이 | ㄧㄣ | yin (in) |
yin (in) |
인 | ||
ㄟ | ei | ei | 에이 | ㄧㄤ | yang (iang) |
yang (iang) |
양 | |||
ㄠ | ao | ao | 아오 | ㄧㄥ | ying (ing) |
ying (ing) |
잉 | |||
ㄡ | ou | ou | 어우 | 합 구 류 ︵ 合 口 類 ︶ |
ㄨㄚ | wa (ua) |
wa (ua) |
와 | ||
부 성 운 ︵ 附 聲 韻 ︶ |
ㄢ | an | an | 안 | ㄨㄛ | wo (uo) |
wo (uo) |
워 | ||
ㄣ | en | ên | 언 | ㄨㄞ | wai (uai) |
wai (uai) |
와이 | |||
ㄤ | ang | ang | 앙 | ㄨㄟ | wei (ui) |
wei (uei, ui) |
웨이 (우이) | |||
ㄥ | eng | êng | 엉 | ㄨㄢ | wan (uan) |
wan (uan) |
완 | |||
권설운 (捲舌韻) |
ㄦ | er(r) | êrh | 얼 | ㄨㄣ | wen (un) |
wên (un) |
원(운) | ||
ㄨㄤ | wang (uang) |
wang (uang) |
왕 | |||||||
ㄨㄥ | weng (ong) |
wêng (ung) |
웡(웅) | |||||||
촬 구 류 ︵ 撮 口 類 ︶ |
ㄩㄝ | yue (ue) |
yüeh (üeh) |
웨 | ||||||
ㄩㄢ | yuan (uan) |
yüan (üan) |
위안 | |||||||
ㄩㄣ | yun (un) |
yün (ün) |
윈 | |||||||
ㄩㄥ | yong (iong) |
yung (iung) |
융 |
표 6
[편집]-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 sz, rz의 ‘시’와 j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7
[편집]-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d’, , , t, j의 ‘디, 니, 시, 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8
[편집]-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lj, nj, ,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 9
[편집]-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표 10
[편집]-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ny, s, j, ly의 ‘니, 시, 이,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표11
[편집]
표 12
[편집]
표 13
[편집]
표 14
[편집]
표 15
[편집]
표 16
[편집]
표 17
[편집]- 포르투갈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 ch의 ‘시’, lh의 ‘리’, nh의 ‘니’, x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 * k, w, y는 외래어나 외래어에서 파생된 포르투갈식 어휘 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약자나 기호의 표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포르투갈어 알파벳에 속하지 않으므로 해당 외래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한다.
- * (브)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되는 표기이다.
표 18
[편집]
표19
[편집]
제3장 표기 세칙
[편집]제1절 영어의 표기
[편집]-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 ([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 제2항 유성 파열음([b], [d], [])
-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제3항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으’를 붙여 적는다.
- 2. 어말의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는 ‘슈’로, 모음 앞의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는 ‘ㅈ’으로 적는다.
- 제4항 파찰음([ts], [dz], [t], [d])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 [d]는 ‘치’, ‘지’로 적는다.
- 2. 모음 앞의 [t], [d]는 ‘ㅊ’, ‘ㅈ’으로 적는다.
- 제5항 비음([m], [n], [ŋ])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 제6항 유음([l])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 제9항 반모음([w], [j])
-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 [w], [wou]는 ‘워’, [w]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 제10항 복합어
-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제2절 독일어의 표기
[편집]-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제1항 [r]
-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 2. 어말의 [r]와 ‘-er’는 ‘어’로 적는다.
-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2항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제3항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라이선스
[편집]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