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의보감/집례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東醫寶鑑內景篇卷之一

[편집]

集例

[편집]

御醫忠勤貞亮扈聖功臣崇祿大夫陽平君臣許浚奉敎撰

어의충근정량호(御醫忠勤貞亮扈) 성공신종록대부(聖功臣崇祿大夫) 양평군(陽平君) 신 허준(臣許浚) 하교(下敎) 받들어 지음


臣勤按人身內有五藏六府外有筋骨肌肉血脈皮膚以成其形而精氣神又爲藏府百體之主故道家之三要釋氏之四大皆謂此也

黃庭經有內景之文醫書亦有內外境象之圖道家以淸靜修養爲本醫門以藥餌鍼灸爲治是道得其精醫得其粗也

今此書先以內景精氣神藏府爲內篇次取外境頭面手足筋脈骨肉爲外篇又採五運六氣四象三法內傷外感諸病之證列爲雜篇末著湯液鍼灸以盡其變使病人開卷目擊則虛實輕重吉凶死生之兆明若水鏡庶無妄治夭折之患矣

신이 생각건대 인체 구성은 안으로 5장 6부(五臟六腑), 밖으로 근골(筋骨), 기육(肌肉), 혈맥(血脈), 피부(皮膚)가 있어 그 형태를 이루고, 정(精), 기(氣), 신(神) 또한 장부(臟腑)와 백체(百體)의 주(主)가 되는 것이므로 도가(道家)의 ‘삼요(三要)’와 석씨(釋氏, 佛家)의 ‘사대(四大)’가 이것을 말함이다. 도학(道學)의 서(書) 『황정경(黃庭經)』에도 내경에 관한 글(文) 이 있고, 의서에도 『내외경상지도內外境象之圖)』가 있으니 도가는 청정(淸靜)과 수양(修養)으로써 삶의 근본을 삼고, 의가는 약이나 침뜸으로써 치료의 법칙을 삼았으니, 도가는 자상하게 심신 전체를 다룬 셈이요, 의가는 거칠게 구체적인 부분만을 다루는 셈이다. 이제 이 책에서도 먼저 내경의 정, 기, 신과, 장부를 「내경편」으로 하고, 다음에 외경의 두(頭), 면(面), 수(手), 족(足), 근(筋), 맥(脈), 골(骨), 육(肉)을 「외형편」으로 하였다. 또 오운(五運), 육기(六氣), 사상(四象), 삼법(三法), 내상(內傷), 외감(外感) 등 모든 병례(病例)를 따서 「잡병편」으로 하고 끝으로 탕액, 침뜸을 마지막편으로 함으로써 두루 병인(病人)에 쓰게 하였다. 이 책을 보면 허실(虛實), 경중(輕重), 길흉(吉凶), 사생(死生)의 징조가 물에 물체를 비쳐 보이듯이 환하다. 헛 치료로 요절하는 환회(患悔) 없기를 바란다.


古人藥方所入之材兩數太多卒難備用局防一劑之數尤多貧寒之家何以辦此

得效方醫學正傳皆以五錢爲率甚爲鹵芥盖一方只四五種則五錢可矣而至於二三十種之藥則一材僅入一二分性味微小焉能責效惟近來古今醫鑑萬病回春之藥一貼七八錢或至一兩藥味全而多寡適中合於今人之氣稟故今者悉從此法皆折作一貼庶使劑用之便易云

옛사람들 처방(藥方)은 들어가는 약재의 중량(重量)이 너무 많아서 아주 곤란하다. 비용(備用) 국방(局方) 일제(一劑)의 수(數)가 더욱 많으니 가난(貧寒)한 집에서 어찌 이런 것을 갖출 수 있으리오. 『득효방得效方)』과 『의학정전(醫學正傳)』에는 모두 5전(五錢)으로 하였는데, 그것은 매우 경솔하고 터무니없는 일이다. 대개 한 처방에 그저 4, 5종이면 5전도 가능하지만, 2, 30종이나 되는 약제라면 1재(一材)가 겨우 1,2분중(分重) 밖에 못 들어가므로 함량(性味)이 적어서 어찌 소기(所期)의 효과를 바랄 수 있으리오. 이 근자에 나온 『고금의감(古今醫鑑)』과 『만병회춘(萬病回春)』에는 약 1첩의 분량을 7,8전 혹은 1냥까지로 하였는데, 이것은 약미(藥味)가 완전하고 다과(多寡)가 알맞아서 요즘 사람(今世人)의 기품(氣稟)에 합치되므로 이 책은 모두 이 표준에 따라 1첩으로 만들어 제용(劑用)에 편리하게 쓰도록 하였다.


古人云欲學醫先讀本草以知藥性但本草浩繁諸家議論不一而今人不識之材居其半當撮取方今行用者只載神農本經及日華子註東垣丹溪要語且書唐藥鄕藥鄕藥則書鄕名與産地及採取時月陰陽乾正之法可易備用而無遠求難得之磴矣

王節齋有言曰東垣北醫也羅謙甫傅其法以聞於江淅丹溪南醫也劉從厚世其學以鳴於陜西云則醫有南北之名尙矣我國僻在東方醫藥之道不絶如線則我國之醫亦可謂之東醫也鑑者明照萬物莫逃其形是以元時羅謙甫有衛生寶鑑本朝嚒信有古今醫鑑皆以鑑爲名意存乎此也今是書披卷一覽吉凶輕重皎如明鏡故遂以東醫寶鑑名之者慕古人之遺意云

옛사람이 “의술을 배우려면 먼저 본초학(本草學)을 읽어서 약성(藥性)을 알라”고 하였으나 본초(本草)는 활번(活繁)하고, 제가(諸家)의 의론이 일치하지 않고, 지금 사람이 알지 못할 약재가 그 반이나 된다. 바로 행용(行用)하는 것을 뽑는 데는 신농본경(神農本經, 본초) 및 일화자주(日華子註, 송조(宋朝)간행의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와 동원(東垣, 원조(元朝) 이고(李고)) 단계(丹溪, 원조(元朝) 주진형(朱震亨))의 요어(要語)와 또 당약(唐藥)과 향약(鄕藥)에 적혀 있는 것을 고용(考用)하는데, 향약(鄕藥)은 향명(鄕名)과 더불어 산지(産地) 및 채취하는 시월(時月), 음양 건정(乾正)하는 법이 씌어져 있으므로 이용하기가 쉽고, 멀리서 구해 온다든지 얻기 어렵다든지 하는 폐단이 없다. 왕절제(王節齊)가 “동원 이고는 북방의자(北方醫者)인데 나겸보(羅謙甫)가 그 법을 전함으로써 강절(江浙)지방에 알려졌고, 단계 주진형(朱震亨)은 남의(南醫)인데 유종후(劉宗厚)가 그를 배움으로써 섬서(陝西)지방에서 이름났다”고 한 바, 의(醫)에는 남북으로 부르는 이름이 있다.

우리나라는 구석진 동방에 있고, 의약의 연구가 줄기차게 계속되고 있는 바, 우리나라의 의는 ‘동의(東醫)’라고 일러야 옳을 것이며, 또 감(鑑)이라 함은 ‘만물을 환히 비쳐서 그 형태를 놓치지 않는다’는 뜻이니, 원조(元朝) 나겸보(羅謙甫) 저서에 『위생보감(衛生寶鑑)』이 있고, 명조(明朝) 공신( 信) 저서에 『고금의감(古今醫鑑)』이 있는데, 다 감(鑑)으로써 이름한 뜻이 여기에 있다. 이제 이 책을 펼쳐 보면 길흉(吉凶) 경중(輕重)의 환함이 거울과 같으므로 드디어 『동의보감』이라고 이름을 부쳤는데, 이것은 옛사람들의 뜻을 본받은 것이라고도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