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매천집/제5권/시○경술고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正月二十三日得滄江穀日見寄詩和之

[편집]

天涯濯足戱滄溟(천애탁족희창명)
幾樹梅花獨掩扃(기수매화독엄경)
回首辰韓悲點墨(회수진한비점묵)
揚帆南斗耀文星(양범남두요문성)
袖盈吳越才人剌(수영오월재인랄)
筆洗江淮戰地腥(필세강회전지성)
坐送春風西渡去(좌송춘풍서도거)
枕邊惟有涕雙零(침변유유체쌍령)

膏秣當年悔未忙(고말당년회미망)
望君去路只靑蒼(망군거로지청창)
十年別久忘顔髮(십년별구망안발)
萬里書來共室堂(만리서래공실당)
已矣應劉曾在鄴(이의응류증재업)
何時枚馬與游梁(하시매마여유량)
定知壽骨淸逾鍊(정지수골청유련)
揚子江光直上床(양자강광직상상)

筆筆狼山積翠痕(필필랑산적취흔)
史成何日更東轅(사성하일갱동원)
闡幽自許緣多愛(천유자허연다애)
尙直寧嫌近少恩(상직녕혐근소은)
好把沈金重洗面(호파침근중세면)
力追南董一還魂(력추남동일환혼)
此間便足千秋事(차간편족천추사)
灑墨淮雲當壽言(쇄묵회운당수언)

정월이십삼일득창강곡일견기시화지

[편집]


又和滄江寄季方之作

[편집]

我夢昨夜隨飛龍(아몽작야수비룡)
枕上栩然海溯江(침상허연해소강)
皷浪直入南通州(고낭직입남통주)
石尤颶母紛迎降(석우구모분영강)
翰墨林開人影頎(한묵림개인영기)
延津依舊蜿蜒雙(연진의구완연쌍)
鄕井東望不可思(향정동망불가사)
有似火宅千杵撞(유사화택천저당)
子幸高蹈能脫網(자행고도능탈망)
今此棲泊猶浮艭(금차서박유부쌍)
有書有眼天困子(유서유안천곤자)
靉靆兀兀晨褰窓(애체올올신건창)
宗文弄墨將繼杜(종문농묵장계두)
靈照挈籃能助龐(영조설람능조방)
卽此可以忘憂耳(즉차가이망우이)
何勞史筆替人扛(하로사필체인강)
不如棄置塵寰事(불여기치진환사)
力躡八仙窮遺跫(력섭팔선궁유공)
丹成勿許鷄犬嘗(단성물허계견상)
餘瀝貽我消膨肛(여력이아소팽항)
集君游淮以後作(집군유회이후작)
坐令東國歌新腔(좌령동국가신강)
間附拙詩爲驥蠅(간부졸시위기승)
不愧土壁施金缸(불괴토벽시금항)
覺來人事墮虛妄(각래인사타허망)
曉燈愁殺靑幢幢(효등수살청당당)

우화창강기계방지작

[편집]


挽朴祕丞周鉉

[편집]

鄕人共說地行仙(향인공설지행선)
獨自傷心望杞天(독자상심망기천)
夢斷春明抄舊錄(몽단춘명초구록)
山靑潁尾起閒田(산청영미기한전)
橫來難道非懷璧(횡래난도비회벽)
危授應嗟失著鞭(위수응차실저편)
灑淚滄桑驚小別(쇄루창상경소별)
燈前顔髮卄三年(등전안발입삼년)

만박비승주현

[편집]


絶命詩

[편집]

亂離溒到白頭年(난리료도백두년)
幾合損生却未然(기합연생각미연)
今日眞成無可奈(금일진성무가내)
輝輝風燭照蒼天(휘휘풍촉조창천)

妖氛掩翳帝星移(요분엄예제성이)
久闕沉沉晝漏遲(구궐침침주루지)
詔勅從今無復有(조칙종금무부유)
琳琅一綜淚千絲(임랑일지루천사)

鳥獸哀鳴海岳嚬(조수애명해악빈)
槿花世界己沉淪(근화세계이침륜)
秋鐙揜卷懷千古(추등엄권회천고)
難作人間識字人(난작인간식자인)

曾無支厦半椽功(증무지하반연공)
只是成仁不是忠(지시성인불시충)
止意僅能追尹穀(지경근능추윤곡)
當時愧不攝陣東(당시괴불섭진동)

절명시

[편집]

난리 속에 머리가 하얗게 되었구나
이 목숨 끊을까 하였지만 그러지도 못하였고
오늘에는 참으로 어쩔 수가 없구나
가물거리는 촛불이 창천을 비추도다.

요망한 기운에 가려 제성(황제) 사라지고
옛 궁궐은 가라앉아 글은 새고 느려터져
이제는 조칙을 받을 길 없으니
구슬같은 눈물이 주룩주룩 조칙에 얽히누나

새와 짐승마저 슬피울고, 강산도 들썩이니
무궁화 핀 강산 가라앉아 사라지고
가을 등불 아래 천고의 한 덮어두니
배운 사람 사람노릇 어렵구나

일찍이 나라 위해 반조각 공도 없었고
다만 인을 이뤘을 뿐, 충이라 할 수 없었으니
겨우 윤곡의 뜻을 따르를 뿐이요,
그때의 진동처럼 몰아부치지 못함이 부끄럽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