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번역:악의 꽃/난 그 벌거벗은 나날의 기억을 즐기지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악의 꽃
난 그 벌거벗은 나날의 기억을 즐기지
저자: 샤를 보들레르, 역자: 위키문헌
악의 꽃

Les Fleurs du Mal

우울과 이상
Spleen et Idéal

V. 난 그 벌거벗은 나날의 기억을 즐기지
난 그 벌거벗은 나날의의 기억을 즐기지,
포이보스1가 동상들을 가꾸며 즐거워하던.
그리고 남자와 여자는 몸놀림도 가볍게
거짓도 걱정도 없이 즐거워했지,
그리고, 사랑 가득한 하늘은 그들의 등뼈를 아루만지고,
그들의 고귀한 기계에 건강을 불어넣었지.
그리고 퀴벨레2는 그 자식들이 살찌지 않은 것을 보고
자비로운 작물들을 풍부하게 베풀었지,
함께하는 고운 마음을 지닌 암늑대는
그 갈색 젖꼭지로부터 세계를 먹였지.
고귀하며 굳세고 강한 사람은 그를 왕으로 추대한
아름다운 것들에 둘러싸여 자랑스러워했지;
모욕과 오점으로부터 순결한 과실은,
그 부드럽고 단단한 살결로 입맞춤을 불렀으니!
오늘날의 시인은, 그가 보고자 할 때면,
남자와 여자의 알몸이 드러나는 장소에서,
그 원래의 웅장함을 보곤 하지,
어두운 냉기가 그의 영혼을 감싸는,
두려움으로 가득한 검은 판의 앞에서.
아, 옷을 달라고 외치는 괴물들이여!
아, 우스꽝스러운 바지와 가면이 어울리는 옷들이여!
아, 비틀어지고 깡마르고 비대하고 늘어진 불쌍한 육체여,
가차없고 고요하신 쓸모의 신께서,
아이들을 청동 강보로 감아두셨네!
그리고 그대, 여자여, 아아! 양초와 같이 창백하네,
녹슬어 가면서도 죄는 자라네, 그리고 그대, 처녀여,
어머니의 죄와, 유용성의 추악함은
우리가 이어받는 유산인 것이다!
타락한 자들아, 우리가 고대인들이 알지 못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음은 사실이다:
고뇌의 가슴으로 인해 부식되어버린 얼굴과,
피로의 아름다움이라고 불리는 것 말이다:
그러나 우리 무사들의 때늦은 발명들도
젊음에 크나큰 경의를 표하게 될
병든 자들의 도래를 막지는 못하겠지,
— 젊음의 건강에, 간소한 분위기에, 부드러운 얼굴에,
흐르는 물처럼 맑고 깨끗한 눈에,
그리고 거리낄 것 없이 퍼져나가는
하늘의 푸름과 같은, 새와 꽃과 같은,
그 향과 노래와 부드러운 냄새에!

역주:

  1. 포이보스(Phoebus): 아폴론, 그리스 신화의 태양의 신
  2. 퀴벨레(Κυβέλη): 아나톨리아, 현재 터키의 비옥한 대지, 동굴과 산, 성벽과 요새, 야생동물들의 여신. 후에 그리스 신화에 편입되었고, 로마에서는 마그나 마테르 데오룸 이다이아, "이다 산의 위대한 신들의 어머니"라고 불렸다.

  이 저작물은 번역문으로서 원문과 다른 저작권의 적용을 받습니다. 원문과 번역문의 저작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미국을 포함하여 저자가 사망한 후 10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저작물이 미국에서도 자유 라이선스 또는 퍼블릭 도메인인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여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

번역:

이 저작물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판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라 본 문서를 복제하거나 개작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변경 불가 부분이 없으며, 앞 표지 구절과 뒷 표지 구절도 없습니다.

위키미디어 재단의 이용 약관에서는 2008년 11월 이후 등록하는 GFDL 라이선스 하의 문서는 반드시 다른 라이선스와 함께 이중 등록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직 GFDL로만 이용 가능한 콘텐츠는 가져올 수 없습니다". 이 조항은 텍스트 이외의 대상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