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한택영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서와《棲瓦》 한택영《韓澤永》

■세계최초 문자 와 언어에 담겨진 어원 복원■

《서와 대표》 《조선글씨어원연구회 어원장》 《어원연구가》 《아리랑저널 기자》 《시각디자이너》


■기자도《箕子島》는 現조선반도입니다.■

대륙에 있었던 대조선《大朝鮮》 역사가 맞습니다.

現한반도는 기자《箕子》의 기국《箕國》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소도이며 서세동점시기에 대륙에서 밀려온 귀족=구이족인 조선인들을 품고있는 것입니다.

기자도《箕子島》를 현재 조선반도로 날조한것으로 구한말 대유학자(大儒學者)이자 경주 최씨이신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선생께서 일본열도로 끌려가실때 순절《殉節》하신곳이며 현재 대마도로 왜곡시켜놓은 것입니다.

면암(勉庵) 선생께서 시한구절을 남기시지 않으셨으면 기자도《箕子》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입니다.

또한 독립운동가이신 이내수《李來修》선생의 기자도《箕子島》 유배에 대한 기록을 확인하지 못했다면 기자도《箕子島》 와 기국《箕國》의 범위를 짐작하지 못했을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있는 조선반도는 옛 기국《箕國》 지역의 일부로 뎐아도 남부에 속하는 《기자도》로 한국 성씨의 조상님이 되시는 구리족의 선영《소도》입니다.

즉 대륙 대조선역사에 있어 임진왜란때 좌수영 우수영은 전혀 맞지않는 것으로 황제의 옥좌를 기준으로 신하를 바라보는 시점의 방향에 오른쪽이 우수영이며 당연히 왼쪽이 좌수영인것이다.

이것을 날조하기 위해 제례의 집사자 좌봉 우봉 또한 왜곡시켜 놓았습니다.

고로

뎐아도에 속한 반도가 기자도《箕子島》 인것이다.

헌원자손업어 키웠다는것도 날조된것으로 헌원이 바로 한웅이시며 윗대 분파된 자식들을 기자《箕子》께서 단군을 계승해 현재까지도 업어 키운것이 되는것이다.

왜정 이후에도 단군 과 기자를 신앙으로 믿었던것을 이래도 부정하시겠습니까?

지도를 잘라내고 변조해 現한반도를 조선으로 표기한것은 현재 조선반도에 조선인으로 세탁해 왜왕놈에게 충성하는 종신파견 자위대 와 그시대 왜왕에게 작위를 받은 후손 잡배들이나 하는짓거리 일것이다.

《고한국기》 조선의 역사는 하나라까지가 古한국이며 칸의 칭호를 썼으며 《단군기》《기자기》 상나라가 고조선으로 기자의 후대로 계승되며 단군《천간,天干》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난생신화=단군=알에서 나온子》

《천》의 고대 발음은 턴,텐,탄..등이 같은 발음에 속하며 , 《간》의 발음 또한 가니,구니,칸(한),군등이 같은 발음에 속합니다.

《천간,천가니,텬군,텬가니,텐군,텐구니,탄군,탄구니,단군,단구니(리)》등으로 발음이 파생됨을 알수있습니다.

이들을 고한국 칸을 계승했다하여

한《 韓》이라 불렀으며 자손들의 구성 연맹체가 부여,실라,고려계통인것이다.

이들이 모두 기자《箕子》의 후손이 되는것이다. 그 천통《天統》을 계승해

《대실라기》 《대고려기》 《대조선기》 《대한뎨국기》 《상해정부 외 망명정부들 수립 및 독립전쟁기》 《現 대한민국 과 북조선》으로 숭조사상을 받들어 오늘날 역사가 전해지는것이다.

전세계 유일하게 족보를 각성씨 마다 간직해서 수단하는 나라는 대한민국 밖에 없습니다. 족보가 조선인《chosen 》이 하늘에서 내진 천자의 혈통이라는것을 증명하는것입니다.

《삼가 차려 서와 드림 》


1년에 한번만이라도 나에 정체성의 시작인 문중 제례에 꼭 참석하셔서 조상님의 정신도 내 두개골 좌뇌 우뇌에 꼭 채우시길 바랍니다.

각성씨 문중은 국가 지원도 없고 70,80세에 어르신들께서 겨우 숭조사상을 꾸려가고 계십니다. 50대 이하 후손들은 찾아보기도 힘듭니다. 40대도 없습니다.

가벼운 물건이라도 가셔서 들어주시면 따듯하게 반겨줄실것입니다.

역사의 시작은 각 일가들의 성씨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정신들 차리시기 바랍니다.

《삼가 차려 서와 드림 》

https://story.kakao.com/mepssi/eEtEX5rNjn0


https://www.gelssi.com

  1. 고조선 #etymologist #etymology #koreahistory #language #글 #글씨 #스토리와떠나요 #어원 #한국사 #어학 #조선사 #조선사 #조선역사 #고조선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