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삼국사기/권03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내물 이사금[편집]

9년(364년)[편집]

9년 4월 여름 왜병이 크게 다다르니, 왕이 그를 듣고 그들을 대적하지 못함을 두려워하여 수천 개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병사의 옷을 입히고, 토함산 밑에 놓았다.부현 동쪽 평야에 용사 1천명이 잠복하였다.왜인의 무리들이 직진하니, 복병들이 나와 그들을 격퇴하여 왜인들이 크게 패하여 도주하니, 그들을 추격하여 죽였더니 그들의 수가 다하더라.

11년 (366년)[편집]

11년 봄 3월 백제인이 내빙하였다. 여름 4월 홍수가 나 산 13곳이 무너졌다 十一年 春三月 百濟人來聘[1] 夏四月 大水 山崩十三所

13년 (368년)[편집]

13년 봄에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좋은 말 두 필을 바쳤다.

18년(373년)[편집]

백제의 독산(禿山)성주가 사람 삼백명을 이끌고 와서 투항하였다. 王納之 分居六部 百濟王移書曰 兩國和好 約爲兄弟 今大王納我逃民 甚乖和親之意 非所望於大王也 請還之 答曰 民者無常心 故思則來 斁則去 固其所也 大王不患民之不安 而責寡人 何其甚乎 百濟聞之 不復言 夏五月 京都雨魚

26년 (381년)[편집]

二十六年 春夏旱 年荒民飢 遣衛頭入苻[2][3] 貢方物 苻[4]堅問衛頭曰 卿言海東之事與古不同 何耶 答曰 亦猶中國 時代變革名號改易 今焉得同

37년(392년)[편집]

三十七年 春正月 高句麗遣使 王以高句麗强盛 送伊湌大西知子實聖爲質

38년(393년)[편집]

三十八年 夏五月 倭人來圍金城 五日不解 將士皆請出戰 王曰今賊棄[5]舟深入 在於死地 鋒不可當 乃閉城門 賊無功而退 王先遣勇騎二百 遮其歸路 又遣步卒一千 追於獨山 夾擊大敗之 殺獲甚衆

46년(401년)[편집]

四十六年 春夏旱 秋七月 高句麗質子實聖還

47년(402년)[편집]

四十七年 春二月 王薨

실성 이사금[편집]

實聖尼師今立 閼智裔孫 大西知伊湌之子 母伊利夫人 伊一作企[6] 昔登保阿干之女 妃味鄒王女也 實聖身長七尺五寸 明達有遠識 奈勿薨 其子幼少 國人立實聖繼位

원년(402년)[편집]

元年 三月 與倭國通好 以奈勿王子未斯欣爲質

2년(403년)[편집]

二年 春正月 以未斯品爲舒弗邯 委以軍國之事 秋七月 百濟侵邊

3년(404년)[편집]

三年 春二月 親謁始祖廟

4년(405년)[편집]

4년 (405년) 여름 4월 왜병이 와서 명활성(明活城)을 쳤으나,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왕이 기병을 거느리고 독산(獨山)의 남쪽에서 이들을 가로막고 다시 싸워 깨뜨렸다. 300여 수급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5년 (406년)[편집]

五年 秋七月 國西蝗 害穀 冬十月 京都地震 十一月 無氷

6년 (407년)[편집]

六年 春三月 倭人侵東邊 夏六月 又侵南邊 奪[7]掠一百人

7년 (408년)[편집]

七年 春二月 王聞 倭人於對馬島[8]置營 貯以兵革資粮 以謀襲我 我欲先其未發 揀精兵擊破兵儲 舒弗邯未斯品曰 臣聞 兵凶器 戰危事 況涉巨浸以伐人 萬一失利 則悔不可追 不若依嶮設關 來則禦之 使不得侵猾 便則出而禽之 此所謂致人而不致於人 策之上也 王從之

11년(412년)[편집]

十一年 以奈勿王子卜好 質於高句麗

12년(413년)[편집]

十二年 秋八月 雲起狼山 望之如樓閣 香氣郁然 久而不歇 王謂 是必仙靈降遊 應是福地 從此後 禁人斬伐樹木 新成平壤州大橋

14년(415년)[편집]

十四年 秋七月 大閱於穴城原 又御金城南門觀射 八月 與倭人戰於風島 克之

15년(416년)[편집]

十五年 春三月 東海邊獲大魚 有角 其大盈車 夏五月 吐含山崩 泉水湧 高三丈

16년(417년)[편집]

十六年 夏五月 王薨

  1. 눌지 마립간
  2. 자비 마립간
  3. 소지 마립간

주석[편집]

  1. 原本 誤刻. 三國史節要·鑄字本에 의거 수정.
  2. 原本 「符」. 三國史節要·鑄字本에 의거 수정.
  3. 原本 誤刻. 三國史節要·鑄字本에 의거 수정.
  4. 原本 「符」. 三國史節要·鑄字本에 의거 수정. 朝·權·烈 「符」.
  5. 原本 「弃」. 棄의 古字. 以下 同.
  6. 原本 誤刻. 鑄字本에 의거 수정.
  7. 原本 𡙸. 奪의 古字.
  8. 原本 「㠀」. 島의 本字. 以下 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