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수트라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1부. 사마디 파다 Samādhi Pāda[편집]

사마디는 요가를 의미하고, 요가는 사마디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마디 파다'에는 사마디의 중요성뿐 아니라 요가의 중요성까지 설명되어 있다.

요가와 사마디 모두 깊은 명상 그리고 지극한 헌신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Samādhi means yoga and yoga means samādhi. this pāda therefore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yoga as well as of samādhi; both mean profound meditation and supreme devotion.


1.1 atha yogānuśāsanam[편집]

'신께서 신성한 축복을 내려 주시길 기도하며, 이제 요가의 거룩한 방법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고자 한다.'

With prayers for divine blessings, now begins an exposition of the sacred art of yoga.


atha 지금부터, 길조, 기도, 은총, 축복, 권위, 좋은 징조 now, auspiciousness, a prayer, a blessing, benediction, authority, a good omen

yoga 결합, 합일, 접합, 조합, 응용, 활용, 수단, 결과, 깊은 명상, 집중, 최고의 영혼에 대한 명상 joining, direction, order, command, instructions, laying down rules and precepts, a revised text, introduction, or guide given in procedural

anuśāsanam 충고, 지시, 질서, 명령, 가르침, 규칙 및 법칙 제정, 개정된 내용, 서론, 절차에 따라 기술된 지침, 따라서 이는 사람들이 지켜야 할 행동 규범 지침을 이른다. 우리는 이를 통해 윤리적인 삶 및 영적인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advice, direction, order, command, instructions, laying down rules and precepts, revised text, introduction, or guide given in procedural form. Thus, it means guidance in the codes of conduct which are to be observed, and which form the base from which to cultivate one's ethical and spiritual life.

1.2 yogaḥ cittavṛtti nirodhaḥ[편집]

'요가란 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이 멈추는 것을 말한다.'

yogaḥ 가장 바깥층에서 가장 내면의 자기까지(즉, 피부・근육・뼈・신경・마음・지성・의지・의식・자아의 순으로) 합일되는 것.

citta 의식을 뜻하며, 마음(마나스)・지성(붇디)・자의식(아함카라)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치타는 관찰・집중・목표 설정・추론의 수단으로, 인지・결단・행동의 세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vṛtti 마음의 상태, 마음속의 동요, 행위 과정, 행동, 존재의 상태, 행위 양상, 움직임, 기능, 작동

nirodhaḥ 차단, 중지, 반대, 소멸, 제어, 통제, 그침


1.3 tadā draṣṭuḥ svarūpe avasthānam[편집]

'그러면, 관조자는 자신의 진정한 빛 속에 살게 된다.'


tadā 그러면, 그때

draṣṭuḥ 영혼, 관조자

svarūpe 그 자신의, 자신의 상태

avasthānam 쉬다, 머무르다, 살다, 빛을 발하다


1.4 vṛtti sārūpyam itaratra[편집]

'그렇지 못할 때, 관조자는 동요하는 의식에 동화된다.'


vṛtti 행동, 동요, 변화, 기능, 마음 상태

sārūpyam 유사성, 밀접함, 가까움

itaratra 그렇지 않을 때, 다른 경우에는


1.5 vṛttayaḥ pañcatayyaḥ kliṣṭāḥ akliṣṭāḥ[편집]

'의식에는 다섯 가지 움직임이 있다. 이것들은 인식이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하며, 고통스럽기도하고 고통스럽지 않기도 하다.'


vṛttayaḥ 움직임, 변화

pañcatayyaḥ. 다섯 겹의

kliṣṭāḥ 번뇌를 일으키는, 고문하는, 걱정스러운, 고통스러운

akliṣṭāḥ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방해를 하지 않는, 번뇌를 없애는, 걱정을 없애는, 즐거운


1.6 Pramāṇa viparyaya vikalpa nidrā smṛtayaḥ[편집]

'그것들은 올바른 지식, 착각, 망상, 수면 및 기억에 의해 일어난다.'


Pramāṇa 정당한 지식, 경험으로 입증된 지식, 연구와 검증을 거친 올바른 지식, 증명 혹은 증거

viparyaya 전도된, 잘못된, 반대의

vikalpa 의심, 우유부단, 망설임, 공상, 상상, 혹은 백일몽

nidrā 수면, 공한 상태

smṛtayaḥ 기억


1.7 pratyakśa anumāna āgamāḥ pramāṇāni[편집]

'올바른 지식은 직접적이거나, 올바른 추론을 거친 것이거나, 사실로 증명된 것을 말한다.'


pratyakśa 직접적인 인식

anumāna 추론

āgamāḥ 고대의 신성한 경전, 신성한 경전 해석에 관한 권위자로 의지할 수 있는 사람

pramāṇāni 여러 종류의 증명


1.8 viparyayaḥ mithyājñānam atadrūpa pratiṣṭham[편집]

'망상에 젖은 잘못된 지식은 사실이나 실제가 아닌 것을 기반으로 한다.'


viparyayaḥ 잘못된, 비실제적인

mithyājñānam 망상에 젖은 지식

atadrūpa 자기 자신의 형태로 있지 않은

pratiṣṭham 점유하는, 서 있는, 보고 있는


1.9 śabdajñāna anupātī vastuśūnyaḥ vikalpaḥ[편집]

'공상 혹은 상상이란 실질적 내용이 없는 말뿐인 지식을 말한다.'


śabdajñāna 말뿐인 지식

anupātī 차례로 따르는, 추구되는, 규칙적인 순서에 따라 단계가 나뉜

vastuśūnyaḥ 대상이 없는, 실질적 내용이나 의미가 없는

vikalpaḥ 상상, 공상


1.10 abhāva pratyaya ālambanā vṛttiḥ nidrā[편집]

'수면이란 의도하지 않아도 생각의 물결이나 지식이 없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abhāva 비존재, 비존재의 느낌, 인식의 부재

pratyaya 확신을 지향함, 신뢰, 자신감, 믿음, 활용, 지식, 이해, 수단, 방편, 지능

ālambanā 지지대, 거처, 버팀대에의 의존, 정신적 수련을 통해 영원성의 대강의 형태에 대해 사고함

vṛttiḥ 기능, 조건, 생각의 물결

nidrā 꿈꾸지 않는 수면 상태



---


니르비자 사마디에 들어가면 수행자는 치타를 정복하게 된다. 이때 근원적인 마음은 관조자와 하나가 된다. 수련과 초연함을 통해 수행자를 침범하는 모든 생각들이 사라지면서 이제 영혼은 속세의 갑갑한 족쇄(몸, 감각, 마음, 지성, 의식)에서 자유로워진다. 관조자는 아마나스카트바amanaskatva의 상태에 있게 된다.

치타가 어떤 대상이나 생각 혹은 상징에 의지할 때는 그 상태를 사비자 사마디라고 한다. 한편, 니르비자 사마디의 상태에서는 치타가 완전히 녹아 이산의 잔여물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모든 잠재적인 인상, 사고 기능 그리고 '나'라는 생각이 흔적도 없이 완전히 사라져 버리고 보편성을 띠게 된다. 오로지 영혼 혼자만이 아무 형상도 취하지 않고 발현하여 본래의 명징함 속에서 환한 빛을 발한다.

이상으로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의 제 1장, '사마디 파다'의 설명을 마친다.



2부. 사다나 파다 Sādhana Pāda[편집]

'사다나sādhana'는 수련을 의미한다. 요가 수행을 하면 영혼이 빛을 발하는 경지로 나아갈 수 있다.

Sādhana means practice. By the practice of yogic discipline, one is led towards spiritual illumination.

'사다카sādhaka'란 이런 수련을 하는 사람으로, 능숙한 기술과 헌신적인 태도 그리고 열의를 가지고 자신의 마음과 지성을 수련에 집중시킨다.

A sādhaka is one who practices, applying his mind and intelligence with skill, dedication and devotion.

2.1 tapaḥ svādhyāya īśvarapraṇidhānāni kriyāyogaḥ[편집]

'수련에 대한 불타는 열정, 자기 탐구 및 경전 공부, 신에 대한 귀의를 요가의 행이라 한다.'


tapaḥ 열기, 불태움, 빛남, 헌신적인 고행, 완벽의 경지에 이르려는 타오르는 열망, 모든 불순물을 태워 없애는 것, 자기단련

svādhyāya 자신에 대한 탐구,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바깥층인 몸에서부터 점차 안으로 들어와 내면의 자아를 이해하는 것

īśvara 신, 모든 존재의 주인

praṇidhānāni ~위에 두는, 부과하는, ~쪽으로 돌리는, ~쪽으로 향하게 하는; 심오한 종교적 명상; 귀의

kriyāyogaḥ 행의 요가


2.48 tataḥ dvandvaḥ anabhighātaḥ[편집]

'그때부터 수행자는 이원성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

From then on, the sādhaka is undisturbed by dualities.


tataḥ 저것으로부터, 그러면 from that, then

dvandvaḥ 이원성, 상호 대립 dualities, opposites

anabhighātaḥ 방해가 사라짐 cessation of disturbance


2.49 tasmin satiśvāsa praśvāsayoḥ gativicchedaḥ prāṇāyāmaḥ[편집]

'프라나야마는 호흡 보유와 더불어 들숨과 날숨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가리킨다.

프라나야마는 반드시 아사나에 통달한 이후에만 수련할 수 있다.'

Prāṇāyāmaḥ is the regulation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flow of breath with retention.

It is to be practiced only after perfection is āsana is attained.


tasmin 이것에 대해 on this

sati 성취되는 being accomplished

śvāsa 들숨 inbreath, inhalation

praśvāsayoḥ 날숨 sutbreath, exhalation

gati 움직임, 동작, 길, 경로, 방법 movement, motion, path, course, way

vicchedaḥ 그침, 중지, 방해 cessation, stoppage, interruption

prāṇāyāmaḥ (prāṇa=호흡 breath, 생명력 vital. āyāmaḥ=상승 ascension, 확장extension 및 신장length 혹은 길이breadth, 넓이breadth 및 둘레circumference)

호흡의 조절 regulation of breath, 호흡 조절을 통해 생명력이나 원기를 증대시키는 것 expansion of the life force or vital energy by regulation of breath


2.50 bāhya ābhyantara stambha vṛttiḥ deśa kāla saṃkhyābhiḥ paridṛṣṭaḥ dīrgha sūkṣmaḥ[편집]

'프라나야마의 움직임은 길고 미세한 들숨, 날숨, 호흡의 보유 등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이 세 가지 모두 지속 시간과 장소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Prāṇāyāma has three movements: prolonged and fine inhalation, exhalation and retention; all regulated with precision according to duration and place.

bāhya 외적인 external

ābhyantara 내적인 internal

stambha 제어, 정지, 휴지 restrain, suspension, a pause

vṛttiḥ 움직임 movement

deśa 장소 place

kāla 시간, 기간 time, duration

saṃkhyābhiḥ 숫자, 정확성, 미세함, 성찰, 숙고 number, precision, minuteness, reflection, deliberation

paridṛṣṭaḥ 조절된, 측정된 regulated, measured

dīrgha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긴, 확장, 높은 long in place and time, expansion, high

sūkṣmaḥ 미묘한, 부드러운, 미세한, 섬세한, 정교한 subtle, soft, minute, fine, exquisite


2.51 bāhya ābhyantara viṣaya ākṣepī caturthaḥ[편집]

'프라나야마의 네 번째 유형은 외적인 프라나야마와 내적인 프라나야마를 초월하며, 여기에서는 인위적인 노력과 의도가 사라진다.'

The fourth type of prāṇayāma transcends the external and internal prāṇāyāmas, and appears effortless and non-deliberate.

bāhya 외적인 external

ābhyantara 내적인 internal

viṣaya 지역, 범위, 대상, 지시물, 목적, 영역 region sphere, an object, reference, aim, realm

ākṣepī 뛰어넘는, 지배하는, 정복하는, 초월하는 passing over, gaining over, overcoming, transcending

caturthaḥ 네 번째의 the fourth


2.52 tataḥ kṣīyate prakāśa āvaraṇam[편집]

'프라나야마는 지식의 빛을 덮고 있던 베일을 벗겨 내어 지혜의 빛이 밝아 오는 것을 알린다.'

Prāṇāyāma removes the veil covering the light of knowledge and heralds the dawn of wisdom


tataḥ 그것으로부터, 그때에 from that, then

kṣīyate 파괴되는, 녹아드는 destroyed, dissolved

prakāśa 빛 light

āvaraṇam 덮고 있는 covering


2.53 dhāraṇāsu ca yogyatā manasaḥ[편집]

'마음 역시 집중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The mind also becomes fit for concentration.


dhāraṇāsu 집중을 위하여 for concentration

ca 그리고 and

yogyatā 적절함, 적합함, 타당함, 능력, 역량, 적합성 fitness, suitability, propriety, ability, capability, appropriateness

manasaḥ 마음의 of the mind


2.54 svaviṣaya asaṃprayoge cittasya svarūpānukāraḥ iva indriyāṇāṁ pratyāhāraḥ[편집]

'감각・마음・의식을 외부 대상과 접촉에서 물러나게 하여 관조자를 향해 내면으로 이끄는 것이 프라티아하라이다.'

Withdrawing the sense, mind and consciousness from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and then drawing them inwards towards the seer, is pratyāhāra.


sva 그것들 자신의 their own

viṣaya 대상 objects

asaṃprayoge 접촉하지 않는 not coming in contact with

cittasya 사고 기능의, 의식 기능의 of the thinking faculty, of the conscious faculty

svarūpa 자기만의 형상, 자연스런 형상 own form, natural form

anukāraḥ 모방, 따라 하기 imitation, following

iva ~인 것처럼, 말하자면 as if, as it were

indriyāṇāṁ 감각 senses

pratyāhāraḥ 뒤로 물러남, 퇴각, 제어, 감각의 철회 drawing back, marching back, retreating, restraining, withholding, withdrawal of the senses

(prati + aṅg + hṛ = pratyāhāra, 즉 반대의 것에 이끌리는 것. to drawn towards the opposite. prati = 반대하여, 대항하여, 그 대가로;opposite, against, in return; aṅg=가까이에, ~을 향하여, 힘; near, near to, towards, strength; hṛ = 취하다, 지니다, 가지고 다니다;to take, bear, carry; hṛ가 pratyāhara의 어원임)


2.55 tataḥ paramā vaśyatā indriyāṇām[편집]

'프라티아하라 수련의 결과로 감각 기관은 완전히 제어된다.'

Pratyāhāra results in the absolute control of the sense organs.


tataḥ 그러고 나면, 그로부터 then, from that

paramā 최고의 the highest

vaśyatā 제어된, 조절된, 지배당하는 subdued, controlled, governed

indriyāṇām 감각의 of the senses



---


'사다나 파다'는 수행자가 윤리적・신체적・생리적・지적인 영역 모든 곳에서 갖고 있는 스스로의 약점을 잘 파악하여 그것을 없앨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다. 그러한 약점들은 요가 수행을 하거나 영적 해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야마는 정직하게 사회를 살아갈 수 있는 기술을 익히게 해주는 한편, 니야마는 수행자가 지닌 불순물을 개긋이 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사는 신체적, 정신적 동요를 없애 주고, 프라나야마는 조화로운 상태를 유지시켜 생명 에너지의 소실을 막아 준다. 그러면 마음은 명상하기 좋은 상태가 된다. 프라티아하라는 감각과 마음을 순화시킨다.

외적인 수행(바히랑가 사다나)이 여기에서 끝나면서 수행자는 이제 요가의 내적 수행(안타랑가 사다나)으로 들어가는 문턱을 넘어선다.

여기서 ⌜요가 수트라⌟ 제2장 '사다나 파다'의 설명을 마친다.


Sādhana pāda instructs the sādhaka how to survey his own weaknesses in each domain - moral, physical, physiological and intellectual - and how to eliminate them, since they are not conducive to yogic discipline and spiritual emancipation.

Yama develops the art of living in society honestly; niyama, that of cleansing one's impurities. Āsana eliminates physical and mental perturbations, and prāṇāyāma maintains harmony and prevents dissipation of the flow of vital energy, making the mind a fit instrument for meditation. Pratyāhāra sublimates both senses and mind.

Thus ends the external quest (bahiraṇga sādhana). Now the sādhaka crosses the threshold of the internal quest (antaraṇga sādhana) of yoga. Here ends the exposition on sādhana, the second pāda of Patañjali's yoga Sūtras.


3부. 비부티 파다 Vibhuti Pāda[편집]

4부. 카이발랴 파다 Kaivalya Pāda[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