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상고사/제4편/제4장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별천지(別天地)[편집]

계립령은 지금의 조령(鳥領 : 새재) 이다. 지금 문경읍(聞慶邑)의 북산(北山)을 계립령이라고 하지마는, 고대에는 조령의 이름이 '저릅 재'이니, '저릅'은 삼(麻)의 옛 말이다. '저릅'을 이두자의 음으로는 '계립(鷄立)'이라 쓰고, 뜻으로는 '마목(麻木)'이라 쓰는 것이니 그러므로 조령이 곧 계립령이다.

계립령 이남은 지금 경상남북도의 총칭인데, 계립령의 일대로 지금의 충청북도를 막으며, 태백산( 太白山 : 奉化의 태백산)으로 지금의 강원도를 막고, 지리산으로 지금의 충청남도와 전라남북도를 막으며, 동과 남으로 바다를 둘러 따로 한 판국이 되었으므로 조선 열국(列國)의 당시에 네 부여(고구려도 혹 卒本扶餘라 함)가 분립한다, 고구려가 동부여를 정복한다, 또 낙랑을 정복한다, 위씨가 한에게 망하여 그 땅이 사군(四郡)이 된다, 백제가 마한을 토멸한다---하는 소란이 있었지만 영(領) 이남은 그런 풍진(風塵)의 소식이 들리지 않아, 진한·변한의 자치령 수십 나라가 그 비옥하고 아름다운 토지에 의거하여 벼·보리·기장·조 등의 농업과 누에치기 ·길쌈 등을 힘써서 곡식과 옷감들을 생산하고 철을 채취하여 북쪽 여러 나라에 공급하고, 변진(弁辰)은 음악을 좋아하여 변한슬(弁韓瑟 : 불한고)이란 것을 창작하여 문화가 매양 발달하였으나, 일찍이 북방의 유민으로 마한의 봉지(封地)를 받았으므로 마한의 절제(節制)를 받고 마한이 망한 뒤에는 백제의 절제를 받았다. 그러나 그 절제는 소극적으로 a) '신수두'의 건설과 b) '신한' 칭호 쓰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1) 해마다의 조알(朝謁)과 2) 토산물의 진공(進貢)을 행할 뿐이었는데, 나중에 진한 자치부는 신라국(新羅國)이 되고, 변진 자치부는 여섯 가락(加羅) 연맹국이 되어, 차차 백제에 반항하기에 이르렀다.

가라(加羅) 6국(國)의 건설[편집]

지금의 경상남도 등지에 변진의 12 자치부가 설립되었음은 제 3 편 제4 장에 말하였거니와, 위의 각 자치부를 대개 `가라'라 일컬었다. `가라' 란 큰 소〔大沼〕의 뜻이니, 각 부가 각각 제방을 쌓아서 냇불을 막아 큰 소를 만들고, 그 부근에 자치부를 설치하여 그 부의 이름을 `가라'라 일컬은 것이었다. `가라'를 이두문으로 `가라 ( 加羅 ) ' , `가락 ( 駕洛 ) ' , `가야 ( 加耶 ) ' , `구야 ( 狗邪) ' , `가야 ( 伽倻 ) ' 등으로 썼으니, 야 ( 耶 ) · 야 (邪) · 야 ( 倻 ) 등은 옛 음을 다 `라'로 읽은 것이고 , `가라'를 혹 `관국 ( 官國 ) '이라 썼으니 , `관 ( 官 ) '은 그 음의 초성 · 중성을 떼어 `가'로 읽고 , `국 ( 國 ) '은 그 뜻의 초성 · 중성을 떼어 `라'로 읽은 것이다. 기원 42 년경에 각 가라의 자치부원 ( 自治部員 ) · 아도간 ( 我刀 干) · 여도간 ( 汝刀干) · 피도간 ( 彼刀干) · 오도간 ( 五刀干 ) · 유수간 ( 留水干) · 유천간 ( 留天干) · 신천간 ( 神天干 ) · 신귀간 ( 神鬼干 ) · 오전간 ( 五天干 ) 등이 지금의 김해읍 ( 金海邑 ) 귀지봉 ( 龜旨峰 ) 위에 모여 대계 ( 大계 : 계는 당시 自治會의 이름 ) 를 베풀고, 김수로 ( 金首露 ) 6 형제를 추대하여 여섯 `가라'의 임금을 삼았다.

김수로는 제 1 가라, 곧 김해를 맡아 `신가라'라 일컬으니, `신'은 크다는 뜻이요, 첫째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신가라'는 전사 ( 前史 ) 에 금관국 ( 金官國 ) 이라 쓴 것이 옳은데, 가락 ( 駕洛 ) 혹은 구야 ( 狗邪) 라고 썼으니, 이 둘은 다 `가라'의 이두자이므로, 이로써 여섯 가라를 총칭 하는 것은 옳으나, 다만 `신가라'를 가리켜 일컬음은 옳지 않다.

둘째는 `밈라가라'니, 지금 고령 ( 高靈 ) 의 앞내를 막아 가라〔大沼〕를 만들고, 이두자로 `미마나 ( 彌摩那 )' 혹은 `임나 ( 任那 )'라 쓴 것으로서, 여섯 가라 중 그 후손이 가장 강대하였으므로 전사에 대가라 ( 大加羅 ) 혹은 대가야 ( 大加耶 ) 라 기록하였다.

셋째는 `안라가라'이니, 지금 함안 (咸安 ) 의 앞내를 막아 가라를 만 들고, 이두자로 `안라 ( 安羅 )', `아니라 ( 阿尼羅 )' 혹은 `아니량 ( 阿尼良 )'이라 기록한 것인데, 아니량이 나중에 와전하여 `아시라 ( 阿尸羅 )'가 되고 아시라가 다시 와전하여 `아라 ( 阿羅 )'가 되었다.

넷째는 `고링가라'이니, 지금의 함창 ( 咸昌 : 尙州郡 ) 으로 또한 앞내를 막아 가라를 만들고 이두자로 고령 ( 古寧 ) 이라 기록한 것인데, `고링가라'가 와전하여 `공갈'이 되었으니 지금의 `공갈못〔恭儉池〕'이 그 자리이다. 여섯 가라 고적 중 오직 이것 하나가 전해져 그 물에는 연꽃 · 연잎이 오히려 수천 년 전의 풍경을 말하는 듯하더니, 이조 광무 ( 光武 ) 시절에 총신 ( 龍臣 ) 이채연 ( 李采淵 ) 이 논을 만들려고, 그 둑을 헐어 아주 폐허가 되게 하였다.

다섯째는 `별뫼가라'이니, `별뫼가라'는 `별뫼'라는 산중에 만든 가라로서 지금의 성주 ( 星州 ) 다. 이두자로 `성산가라 ( 星山加羅 )' 혹은 `벽진가라 ( 碧珍加羅 )'로 기록한 것이다.

여섯째는 `구지가라'니, 지금 고성 ( 固城 ) 의 중도 ( 中島 ) 이다. 역시 내를 막아 가라를 만들고, 이두자로 `고자가라 ( 古資加羅 )'라 기록할 것인데, 여섯 나라 중 가장 작은 나라이므로 또한 `소가야 ( 小加耶 )'라 일컬었다.

여섯 가라국이 처음에는 형제의 연맹국이었으나 나중에 연대가 내려갈수록 촌수가 멀어져, 각각 독립국이 되어 각자의 행동을 취하였는데, 삼국사기에 이미 육가라 ( 六加羅 ) 본기 ( 本紀 ) 를 빼고 오직 신라 본기와 열전 ( 列專 ) 에서 신라와 관계된 가라의 일만 기록한 가운데, `신가라'를 금관국이라 쓴 이외에는 그 밖의 다섯 가라를 거의 구별이 없이 모두 가야 ( 加耶 ) 라 써서 그 가야가 어느 가라를 가리킨 것인지 모르게 된 것이 많다. 이제 이 책에서는 할 수 있는 대로 이를 구별하 여 쓰고, 여섯 가라의 연대도 삭감당한 듯하므로 신라의 앞에 기술하였다.

신라(新羅)의 건국[편집]

종래의 학자들이다, `신라사가 고구려·백제 두 국사보다 비교적 완전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아주 모르는 말이다. 고구려사와 백제사는 삭감이 많거니와, 신라사는 위찬(僞撰)이 많아서 사료로 근거 삼을 것이 매우 적으니, 이제 신라 건국사를 말함에 있어 이를 대강 논술하려 한다.

신라의 제도는 6부(部) 3성(姓)으로 조직되었는데, 신라 본기에 의거하면 6부는 처음에 알천양산(閼川楊山)·돌산고허(突山高墟)·무산대수(茂山大樹)·취산진지(觜山珍支 )·금산가리(金山加利)·명활산 고야(明活山高耶)의 여섯 마을이었는데,[편집자 주 1] 신라 건국 후 제3세 유리왕 9년 (기원32년)에 여섯 마을의 이름을 고치고 성을 주었다. 곧 알천양산은 양부(梁部)라 하고 성을 이(李)로 하였으며, 돌산고허는 사량부(沙梁部)라 하고 성을 최(崔)로 하였으며, 무산대수는 점량부(漸梁部: 一名 弁梁部)라 하고 성을 손(孫)으로 하였으며, 자산진지는 본피부(本彼部)라 하고 성을 정(鄭)으로 하였으며, 금산가리는 한기부(漢祇部)라 하고 성을 배(裵)로 하였으며, 금산가라는 한기부 (習比部) 라 하고 성을 설(薛)로 하였다고 한다.

3 성은 박 ( 朴 ) · 석 ( 昔 ) · 김 ( 金 ) 세 집이니, 처음에 고허촌장 ( 高墟村長 ) 소벌공 ( 蘇代公 ) 이, 양산 ( 楊山 ) 아래 나정 ( 羅井 ) 곁에 말이 꿇어앉아 우는 것을 바라보고 쫓아가보니, 말은 간 곳이 없고 큰 알 하나가 있으므로, 이것을 쪼개니 어린아이가 나왔다. 데려다가 기르고 성을 박이라고 하였는데, 그가 나온 큰 알이 박만하므로 `박'의 음을 딴 것 이라고 한다. 이름을 혁거세 ( 赫居世 ) 라고 하였는데, 혁거세는 그 읽는 법과 뜻이 다 전하지 않는다. 나이 13 살에 영특하고 숙성하므로 백성이 그를 높여 거서간 ( 居西干) 을 삼았다. 거서간은 그때의 말로 귀인 ( 貴人 ) 의 칭호라고 한다. 이것이 신라 건국 원년 ( 기원전 57 년 ) 이고, 이이가 박씨의 시조이다.

신라의 동쪽에 왜국 ( 倭國 ) 이 있고, 왜국의 동북쪽 1 천 리에 다파나국 ( 多婆那國 ) 이 있는데, 그 국왕이 여국왕 ( 女國王 ) 의 딸에게 장가 들어 아이를 밴 지 7 년만에 큰 알을 낳으므로, 왕이 상서롭지 못한 일이라 하여 내다 버리라고 하니, 여자가 차마 그럴 수 없어서 비단으로 싸고 금궤에 넣어 바다에 띄워보냈다. 그 금궤가 금관국의 해변에 이르니, 금관국 사람들은 괴이하게 여겨 가지지 아니하였는데, 진한의 아진포 ( 阿珍浦 ) 포구에 이르니 바닷가의 한 노파가 이를 건져냈다. 열고 보니까, 그 속에 어린아이가 있어 이 노파는 데려다가 길렀다. 이 때가 박혁거세 39 년 ( 기원전 19 년 ) 이었는데, 금궤에서 빠져나왔으므로 이름을 탈해 ( 脫解 ) 라 하고 금궤가 와 닿을 때에 까치〔鵲〕가 따라오면서 울었으므로 작 ( 鵲 ) 자의 변을 따서 성을 석 ( 昔 ) 이라 하니, 석씨의 시조다.

석탈해 ( 昔脫解 ) 9 년 ( 기원후 65 년 ) 에 금성 ( 金城 : 신라의 서울, 곧 慶 州 ) 서쪽 시림 ( 始林 ) 에서 닭 우는 소리가 나므로 대보 호공 ( 瓠公 ) 을 보내어 가보게 하였더니, 금빛 조그만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그 아래에서 흰 닭이 울므로, 그 금궤를 가져다가 열어보니, 또 한 조그만 어린아이가 있으므로 데려다가 기르면서 이름을 알지 ( 閼智 ) 라 하고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 ( 金 ) 이라 하니 이는 김씨의 시조라 하였다.

궤에서 나왔다, 알에서 깨어났다 하는 신화는 그때 사람이 그 시조 의 출생을 신이 ( 神異 ) 하게 장식한 것이거니와, 다만 6 부 · 3 성의 사적 이 고대사의 원본이 아니고 후세 사람의 보태고 줄임이 많음은 가석한 일이다. 이를테면 조선 고사의 모든 인명 · 지명이 처음엔 우리말로 짓고 이두자로 기록하였는데, 그 뒤 한문화 ( 漢文化 ) 가 성행하면서 한자로 고쳐 만들었으니, 원래는 `메주골'이라 하고, `미추홀 ( 彌鄒忽 )' 혹은 `매초홀 ( 買肖忽 )'이라 쓰던 것을 나중엔 인천 ( 仁川 ) 이라 고친 따위인데, 이제 알천양산 ( 閼天楊山 ) · 돌산고허 ( 突山高墟 ) 등 한자로 지은 여섯 마을의 이름이 6 부의 본 이름이고, 양부 ( 梁部 ) · 사량부 ( 沙梁 部 )---등 이두자로 지은 6 부의 이름이 여섯 마을의 나중 이름이라 함이 어찌 앞뒤의 순서를 뒤바꾼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음이 그 하나다.

신라가 불경을 수입하기 전에는 모든 명사를 다만 이두자의 음이나 뜻을 맞추어 쓸 뿐이었는데, 불교가 성행한 뒤에 몇몇 괴벽한 중들이 비슷만 하면, 불경의 숙어에 맞추어 다른 이두자로 고쳐 만들었으니, 예를 들면 소지왕(炤智王)을 혹 비처왕(毘處主)이라 일컫는데, 소지나 비처가 다 '비치'로 읽은 것이지마는, 비처는 원래 쓴 이두자이고, 소지는 불경에 맞추어 고쳐 만든 이두자요, 유리왕 ( 圖理王 ) 을 혹 세리지왕 ( 世利智王 ) 이라 일컫는데, 유리나 세리가 다 `누리'로 읽은 것이 지마는, 유리는 원래 쓴 이두자이고, 세리는 또한 불경에 맞추어 고쳐 만든 이두자이다. 탈해왕 ( 脫解王 ) 도 그 주에 일명 `토해 ( 吐解 ) '라 하였는데, 탈해나 토해는 다 `타해' 혹 `토해'로 읽을 것이고, 그 뜻은 무엇인지 알 수 없으나, 당시의 속어로 된 명사임은 분명하니, 토해 ( 吐解 ) 는 본래 쓴 이두자이고, 탈해는 고쳐 만든 이두자로서, 불경에 해탈 ( 解脫 ) 이라는 말이 있으므로 토해의 뜻을 탈 ( 脫 ) 로 고쳐 만든 것이다. 원래는 당시 속어의 음을 취한 것이고, 탈출 ( 脫出 ) 혹은 해출 ( 解出 ) 의 뜻이 없으니, 금궤에서 탈출하였으므로 탈해라 하였다고 함이 괴벽한 중들의 부회 ( 附會 ) 임을 단언할 수 있음이 그 둘이다.

3 성의 시조가 다 큰 알에서 나왔으니, 그 큰 알은 다 `박'만 할 것인데, 어찌하여 3 성의 시조가 다 같은 박씨가 되지 않고, 박씨 시조 이 외에 두 시조는 석씨와 김씨가 되었는가? 석 · 김 두 성이 다 금궤에서 나왔는데 어찌하여 같은 김씨가 되지 아니하고, 하나는 석씨, 하나 는 김씨가 되었는가? 석탈해 ( 昔脫解 ) 의 금궤에 까치가 따라와 울었으므로, 작 ( 鵲 ) 자의 변을 따서 석씨 ( 昔氏 ) 가 되었으며, 김알지 ( 金斡智 ) 가 올 때에 닭이 따라와 울었으니, 계 ( 鷄 ) 자변을 따서 해씨 ( 采氏 ) 가 되어야 옳겠는데 어찌하여 두 사람에게 다른 예를 써써 앞에서는 김씨가 되지 않고 석씨가 되었으며, 뒤에서는 해씨가 되지 않고 김씨가 되었는가? 신화라도 이같이 뒤섞여 조리가 없을 뿐더러 게다가 한자 파자장 ( 破字匠) 의 수작이 섞여서 이두문 시대의 실례와 많이 틀림이 그 셋이다.

초년(初年)에 초창(草創)한 신라는 경주 한 구석에 의거하여 여러나라 중에서 가장 작은 나라였는데, '변한이 나라로 들어와서 항복하였다.' [편집자 주 2] 느니 , `동옥저가 좋은 말 200 마리를 바쳤다.'[편집자 주 3]느니 함이 거의 사세에 맞지 아니할 뿐 아니라, '북명인(北溟人)이 밭을 갈다가 예왕(濊王)의 도장을 얻어서 바쳤다.'[편집자 주 4] 함은 더욱 황당한 말인듯하다. 왜냐하면 북명(北溟)은 '북가시라'--- 북동부여의 별명으로 지금의 만주 훈춘 등지이고, 고구려 대주류왕의 시위장사(待衛壯士) 괴유(怪由)를 장사 지낸 곳인데, 이제 훈춘의 농부가 밭 가운데서 예왕의 도장을 얻어 수천 리를 걸어 경주 한 구석의 조그만 나라인 신라왕에게 바쳤다 함이 어찌 사실다운 말이랴? 이는 경덕왕(景德王)이 동부여 곧 북명의 고적을 지금의 강릉으로 옮긴 뒤에 조작한 황당한 말이니, 다른 것도 거의 믿을 가치가 적음이 그 넷이다.

신라가 여러 나라중에서 문화가 가장 늦게 발달하여 역사의 편찬이 겨우 그 건국 6 백 년 후에야 비로소 억지로 북쪽 여러 나라의 신화를 모방하여 선대사 ( 先代史 ) 를 꾸였는데, 그나마도 궁예 ( 弓裔 ) · 견훤 ( 甄萱 ) 등의 병화 ( 兵火 ) 에 다 타버리고, 고려의 문사들이 남산 · 북산의 검불을 주워다가 만든 것이므로, 신라 본기의 기록의 진위를 가려냄이 고구려 · 백제 두 나라 역사나 마찬가지인데, 역사가들이 흔히 신라사가 비교적 완벽된 것인 줄로 알아 그대로 믿었다.

나의 연구에 의하면, 신라진한 6부의 총칭이 아니고, 6부 중의 하나인 사량부이다. 신라나 사량은 다 '새라'로 읽을 것이요, '새라'는 냇물 이름이니, '새라'의 위에 있으므로 '새라'라 일컬은 것이고 사량은 사훼 (沙喙: 진흥왕 비문에 보임)라고도 기록하였으며, 사훼는 '새불'이니 또한 '새라'위에 있는 '불' --들판이기 때문에 일컬은 이름이다. 본기에 신라의 처음 이름을 '서라벌(徐羅筏)'이라 하였으나, 서라벌은 '새라불'로 읽을 것이니 또한 '새라'의 '불'이라는 뜻이다. 시조 혁거세는 곧 고허촌장 소벌공(蘇伐公)의 양자이고, 고허촌은 곧 사량부이니, 소벌공의 '소벌(蘇伐)'은 또한 사훼와 같이 '새불'로도 읽을 것이므로 지명이고, 공(公)은 존칭이니, 새불 자치회 (自治會)의 회장이므로 '새불공'이라 한 것이다. 말하자면 소벌공은 곧 고허촌장이라는 뜻인데, 마치 사람의 이름같이 씀은 역사가가 잘못 기록한 것이다. 새라 부장(部長)의 양자인 박혁거세가 6부의 총왕(總王)이 되었으므로 나라 이름을 '새라'라 하고 이두자로 신라(新羅)·사로(斯盧)·사라(斯羅)·서라(徐羅) 등으로 쓴 것이다 .

3 성의 박씨뿐 아니라 , 석씨 · 김씨도 다 사량부의 귀인의 성이니, 3 성을 특별히 존숭하는 것은 또한 삼신설 ( 三神說 ) 에 의방 ( 依倣 ) 한 것이다. 본기 석탈해왕 9 년 ( 기원65년 ) 에 비로소 김씨 시조인 영아 ( 영兒 ) 김알지를 주웠다고 하였으나, 파사왕 ( 婆娑王 ) 원년 ( 기원 80년) 에는 왕후 사성부인 ( 史省夫人 ) 김씨는 허루갈문왕 ( 許婁曷文王 : 추존한 왕을 갈문왕이라 함 ) 의 딸이라 하였으니, 그 나이를 따지면 허루 ( 許婁) 도 거의 알지의 아버지뻘되는 김씨인 것이니, 이로 미루어보면 박 · 석 · 김 3 성이 처음부터 사량부 안에 서로 연흔 ( 聯婚 ) 하는 거족 ( 巨族 ) 이었는데, 같이 의논한 끝에 6 부 전체를 가져 3 성이 서로 임금 노릇하는 나라를 만든 것이다. 이에 진한 자치제의 판국이 변하여 세습 제왕의 나라가 됨에 이르렀다.

편집자 주[편집]

  1. 김부식 (1145). 〈본기 권1 혁거세 거서간〉, 《삼국사기》. “六村 一曰閼川楊山村 二曰突山高墟村 三曰 觜山珍支村 〈或云干珍村〉 四曰茂山大樹村 五曰金山加利村 六曰明活山高耶村 是爲辰韓六部”
  2. 김부식 (1145). 〈본기 권1 혁거세 거서간〉, 《삼국사기》. “十九年 春正月 卞韓以國來降”
  3. 김부식 (1145). 〈본기 권1 혁거세 거서간〉, 《삼국사기》. “五十三年 東沃沮使者來 獻良馬二十匹 曰 "寡君聞 南韓有聖人出 故遣臣來享”
  4. 김부식 (1145). 〈본기 권1 남해 차차웅〉, 《삼국사기》. “十六年 春二月 北溟人耕田 得濊王印獻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