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춘면곡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춘면(春眠)을 느즛 깨야 죽창(竹窓)을 반개(半開)하니 [봄잠을 늦게 깨어 죽창(대로 살을 만든 창문)을 반쯤 여니]

庭花(정화)는 灼灼(작작)한데 가난 나뷔 머므난듯 [뜰의 꽃은 환하고 아름다운데 가는 나비가 머무는 듯]

岸柳(안류)는 依依(의의)하야 성긔 내를 띄워셰라 [강기슭의 버드나무는 가지가 늘어져 바람에 나부끼어 성긴 안개를 띠(帶)었구나.]

窓前(창전)의 덜고인 슐을 二三盃[1](이삼배) 먹은 後(후)의 [창 앞에 덜 익은 술을 두 세잔 먹은 후에]

浩蕩(호탕)한 미친 興(흥)을 부젼업시 자아내여 [호탕하고 미친 듯한 흥을 부질없이 일으키어]

白馬金鞭(백마금편)으로 冶遊園(야유원)을 찾아가니 [흰말과 금채찍(호사로운 차림)으로 술집(기생집, 요릿집)을 찾아가니]

花香(화향)은 襲衣(습의)하고 月色(월색)은 滿庭(만정)한데 [꽃의 향기는 옷에 스며들고 달빛은 뜰에 가득한데]

狂客(광객)인듯 醉客(취객)인 듯 興(흥)을 겨워 머무는듯 [미친 나그네인 듯 취객인듯 흥에 겨워 머무는 듯]

徘徊(배회) 顧眄(고면)하야 有情이 셧노라니 [이리저리 왔다갔다하며 여기저기 둘러보고 유정(풍치,風致)있게 서 있으려니까]

翠翠瓦欄(취취와란)[2] 놉흔 집의 綠衣紅裳(녹의홍상) 一美人(일미인)이 [비취빛 기와 난간 높은 집에 연두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입은 한 미인이]

紗窓(사창)을 半開(반개)하고 玉顔(옥안)을 잠간 들러 [사창(여인의 방의 창)을 반쯤 열고 아름다운 얼굴을 잠깐 들어]

웃난듯 반기난듯(찡긔는듯) 嬌態(교태)하여 머므난듯 [웃는 듯 반기는 듯(찡그리는 듯) 교태(아양을 떠는 모양)를 부리며 머무는 듯]

추파(秋波)를 암주(暗注)하고 녹의금 [3]빗기 안고 [여자의 정을 나타내는 은근한 눈짓을 보내고 거문고 비스듬히 안아]

淸歌(청가) 一曲(일곡)으로 春興(춘흥)을 자아내니 [맑고 청아한 노래 한 곡으로 봄의 흥을 자아내니]

雲雨(운우) 陽臺上(양대상)에 楚夢(초몽)이 多情(다정)하다 [4][양대(지명) 위에서 선녀와 운우지정을 나누던 초나라 왕의 꿈이 다정하구나.]

사랑도 그지업고 緣分(연분)도 깁흘시고 [사랑도 그지없고 인연도 깊구나]

이사랑 이 緣分(연분)을 比(비)할데도 전혀업다 [이 사랑 이 인연을 비할 데도 전혀 없다]

두손목 마조잡고 平生(평생)을 言約(언약)함이 [두 손목을 마주 잡고 평생을 말로 약속함이]

너난 죽어 곳치되고 나는 죽어 나뷔 되야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나비가 되어]

靑春(청춘)이 盡(진)하도록 떠나사자 마자터니 [청춘이 다하도록 떠나서 살지는 말자했더니]

人間(인간)의 일이하고 造物(조물)조차 새암하야 [인간의 일이 많고 조물주조차 시기하여]

新情未洽(신정미흡)하야 애달을손 이별이라 [새로 서로 만난 애정이 가시지 않아 애달플 것은 이별이라]

淸江(청강)의 떳난 鴛鴦(원앙) 우러녜고 떠나는디 [청강에 떴는 원앙 울며 떠나는데]

狂風(광풍)의 놀난 蜂蝶(봉접) 가다가 돌티난듯 [세찬 바람에 놀란 벌과 나비 가다가 돌아보는 듯]

夕陽(석양)은 재를 넘고 征馬(정마)난 자조 울 제 [석양은 재를 넘고 나그네의 말은 자주 울 때[5]

羅衫(나삼)을 뷔여잡고 然(암연)히 여흰 後(후)의 [비단 옷 소매를 부여 잡고 섭섭하게(어둡고 침울하게) 이별한 후에]

슬흔노래 긴한숨을 벗을 삼아 도라오니 [슬픈 노래 긴 한숨을 벗으로 삼아 돌아오니]

이제 任(임)이야 생각하니 怨讐(원수)로다 [이제 임이야 생각하니 원수로다.]

肝臟(간장)이 다 셔그니 목숨인들 保全(보전)하랴 [간장이 다 썩으니 목숨인들 보전할 수 있으랴.]

一身(일신)의 病(병)이 되고 萬事(만사)의 無心(무심)하여 [한 몸의 병이 되고 온갖 일에 무심하여]

書窓(서창)을 구지 닷고 섬거이 누어시니 [서창을 굳게 닫고 나약하게(허약하게) 누었으니]

花容月態(화용월태)난 眼中(안중)의 (암암)하고 [아름다운 얼굴은 눈 가운데 가물가물 보이는 듯 하고]

粉壁窓(분벽창)은 枕邊(침변)에 依依(의의)하야 [분벽사창(아름다운 여인이 거주하는 방)은 베갯머리에 어렴풋하여]

花叢(화총)의 露滴(노적)하니 別淚(별루)를 뿌리는듯 [꽃떨기에 이슬 떨어지니 이별의 눈물을 뿌리는 듯]

柳幕(유막)의 煙籠(?濃연롱)하니 離恨(이한)을 먹음은듯 [버들가지가 휘장을 두른 듯한 속에 안개가 짙게 끼니 이별의 한을 머금은 듯]

空山夜月(공산야월)의 杜鵑(두견)[6]이 啼血(제혈)한제 [공산의 달밤에 두견이 피를 토하고 울 때에]

슯흐다 뎌 새소리 내말갓치 不如歸(불여귀)다 [슬프다 저 새소리 내말같이 불여귀[7]다.]

三更(삼경)에 못든 잠을 四更末(사경말)에 비러드러 [한 밤중에 들지 못한 잠을 사경(01시 - 03시)말에 비로소 들어]

相思(상사)하던 우리 님을 꿈가운데 邂逅(해후)하니 [그리워하던 우리 임을 꿈 속에서 우연히 만나니]

千愁萬恨(천수만한) 못다 닐너 一場蝴蝶(일장호접) 흐터지니 [시름과 한을 못다 말하여 한바탕 꿈 흩어지니(일장호접: 胡蝶之夢. 허무한 꿈이라는 뜻)]

아릿다온 玉 紅顔(옥빈홍안) 곁에얼픗 안잣는듯 [아리따운 여인의 젊은 얼굴 곁에 얼핏 앉았는 듯]

어화 恍惚(황홀)하다 꿈을 生時(생시) 삼고지고 [아! 황홀하다 꿈을 생시(잠자지 않은 동안. 현실)로 삼고 싶구나.] [8]

無寢噓 (무침허희)하야 바삐 니러 바라보니 [잠 못 들어 탄식하고 바삐 일어나 바라보니]

雲山(운산)은 疊疊(첩첩)하야 千里夢(천리몽)을 가려있고 [구름 낀 산은 첩첩하여 천리의 꿈을 가리었고]

晧月(호월)은 蒼蒼(창창)하야 向鄕心[9]을(의) 비취였다 [맑고 밝은 달(또는 흰 달)은 멀어서 아득하여 임을 향한 마음(또는 두 마음)을 비추었다.]

佳期(가기, 또는 가약)는 隔絶(격절)[10]하고 세월이 하도할사 [애인을 만나기 좋은 시절(또는 아름다운 약속)은 끊어졌고 세월이 많기도 많아(빨리 흘러가)]

엇그제 곳이 岸柳邊(안류변)의 붉엇더니 [엊그제 꽃이 강 언덕의 버드나무 가에 붉었더니]

그 덧의 훌훌하야 落葉秋聲(낙엽추성)이라 [그 동안에 세월이 빨리 지나가 잎 떨어지는 가을의 소리라]

새벽서리 디난달의 외기럭[11]이 슯히울 제 [새벽 서리 지는 달에 외기러기 슬피 울 때]

반가온 님의 消息(소식) 행혀올가 바라더니 [반가운 임의 소식 행여 올까 바랐더니]

滄茫(창망)한 구름밖에 뷘소리[12] 뿐이로다 [멀어 아득한 구름 밖에 빈 소리(비소리) 뿐이로다]

支離(지리)타 이 離別(이별)이 언제면 다시볼고 [지루하다 이 이별이 (끝나) 언제면 다시 볼까]

어화 내일이야 나도 모를일이로다 [아! 나의 일이야 나도 모를 일이로다.]

이리저리 그리면서 어이그리 못가는고 [이리저리 그리워하면서 어찌 그렇게 못 가는가] [13]

弱水[14]三千里(약수삼천리) 머닷말이 이런대를 일러라 [삼천리 멀다는 말이 이런 곳(것)을 말하는구나.]

山頭(산두)의 片月(편월)되야 님의 낯이 비취고져 [산꼭대기의 조각달 되어 님의 얼굴을 비추고 싶구나.]

石上(석상)의 梧桐(오동)[15]되야 님의 무릅 베이고져 [돌 위의 오동나무 되어 님의 무릎에 베이고(받침을 받고) 싶구나.]

空山(공산)의 잘새 되야 北窓(북창)의 가 울니고져 [빈 산에 잘새(宿鳥) 되어 북창[16]에 가서 울고 싶구나]

屋上(옥상) 朝陽(조양)[17]의 제비되야 날고지고 [집 위 아침 햇살에 제비 되어 날고 싶구나]

玉窓(옥창) 櫻桃花(앵도화)에 나뷔되여 날고지고 [옥창(여인의 방) 앵두꽃에 나비 되어 날고 싶구나]

泰山(태산)이 平地(평지) 되도록 錦江(금강)이 다 마르나 [태산(중국의 높은 산)이 평지 되도록 금강이 다 마르도록]

平生(평생) 슯흔 懷抱(회포) 어대를 가을하리 [평생의 슬픈 회포를 어디에다가 견주리오]

書中有玉顔(서중유옥안)[18]은 나도 暫間(잠간)들엇으니 [글을 부지런히 읽어 공부를 잘하면 아름다운 아내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은 나도 잠깐 들었으니]

마음을 고쳐먹고 慷慨(강개)를 다시 내야 [마음을 다시 먹고 강개(의기)를 다시 내어]

丈夫(장부)의 功業(공업)을 긋긋이 이룬 後(후)의 [대장부의 공적이 뚜렷한 사업(입신양명)을 끝까지 이룬 후에]

그제야 님을 다시 맞나 百年(백년) 살녀하노라 [그제서야 임을 다시 만나 백년(한평생)을 살려 하노라.]

주석

[편집]
  1. 一二三盃로 표기된 경우도 있음
  2. 취와주란(翠瓦朱欄)으로 표기된 경우도 있음.
  3. 녹기금. 한나라 사마상여가 쓰던 거문고. 사마상여가 녹기금으로 '봉구황곡'을 연주해 탁왕손의 딸 탁문군을 꾀어내었다는 이야기가 전함.
  4. 초나라 양왕(襄王)이 꿈 속에서 선녀를 만났다는 전설을 인용한 것. 남녀간의 사랑의 행위를 비유하는 말.
  5. 말이 가자고 울며 재촉하는 모습.
  6. 두견: 감정이입
  7. 돌아감만 못하다의 뜻으로 두견[소쩍새]의 울음 소리를 의미
  8. 꿈에서 본 모습이 생시였으면 하는 소망이 투영된 표현이다. [2009년 1월 5일] 강승원: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초판, 한국교육방송공사, 9.
  9. 향향심. 또는 '양향심', '님향심'으로 표기된 경우도 있음
  10. '격절' 대신에 '묘연(渺然)하고'로 기록된 경우도 있음
  11. 감정이입된 소재
  12. '뷘소리' 대신에 '비소래'로 표기된 경우도 있음. '비소래'는 '빗소리'
  13. 임을 그리어 지내는 화자의 안타까움과 임과의 물리적 거리감을 형상화하고 있다. [2009년 1월 5일] 강승원: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초판, 한국교육방송공사, 9.
  14. 약수(중국의 전설 속의 강. 아무리 가벼운 물건이라도 다 가라앉기 때문에 건널 수 없으며 강의 폭이 삼천 리나 된다고 함. 장애물의 이미지, 화자와 임과의 단절감을 느끼게 하는 소재
  15. 오동나무로 거문고를 만들기 때문에 오동나무가 되고 싶다고 하지 않았나 추정함.
  16. 화자가 감정을 토로하고 싶은 곳
  17. '조양' 대신에 '조량(雕粱)으로 표기된 경우도 있음. '옥상조량'은 집 위에 아로 새긴 들보를 말함.
  18. 서중유옥안 - 송나라 제3대 천자인 진종황제의 '권학문'에서 인용된 듯. '장가가려는데 좋은 매파 없다 한하지 말라. 책 속에는 얼굴이 옥같이 예쁜 여인이 있다네---'

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저작권이 만료된 문서로서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운영하는 공유마당에 등록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