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표기법
현대 가나 표기법
[편집]소화61(1986)년7월1일 내각 고시 제1호
머리말
[편집]1 이 가나표기법은 말들을 현대어의 음운을 따라 적는것을 원칙으로 삼고, 한편 표기 관습을 존중하고 일정의 특례를 두는것이다.
2 이 가나표기법은 법령, 공용문서, 신문, 잡지, 방송 등 일반의 사회생활에서 현대국어를 적기 위한 가나표기법의 근거를 보이는것이다.
3 이 가나표기법은 과학, 기술, 예술 그 밖의 각종전문분야나 개개인의 표기에까지 미치려는 것은 아니다.
4 이 가나표기법은 주로 현대문 중에서 입말체의 것에 적용한다. 원문의 가나 표기를 따를 필요가 있는것, 고유명사등에서 이( 표기법)를 따르기 어려운것을 제외한다.
5 이 가나표기법은 의성・의태적 묘사나 탄성(嘆声), 특수한 방언음, 외래어・외래음 등의 적는법을 대상으로 하는것은 아니다.
6 이 가나표기법은 "ホオ・ホホ(頬)/호오・호호" "テキカク・テッカク(的確)/데키카쿠・덱카쿠"와 같은 발음에 동요가 있는 말들에 대하여 그 발음을 어느 한쪽으로 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7 이 가나표기법은 점자, 로마자 등을 쓰고 국어를 적을 경우의 규칙과는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8 역사적 가나표기법은 명치(明治)이후 "현대 가나쓰기"(소화21년 내각 고시 제33호)가 시행되기 전에는 사회일반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던것이며, 오늘날에서도 역사적 가나표기법에서 씐 문헌 등을 읽을 기회는 많다. 역사적 가나표기법이 우리나라 역사나 문화에 깊은 관계를 갖는것으로 존중돼야 하는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한, 이 가나표기법에도 역사적 가나표기법을 계수하는바가 있으며, 이 가나표기법의 이해를 깊게 하는데서 역사적 가나표기법을 알것은 유용하다. 부표(付表)에서 이 가나표기법과 역사적 가나표기법과의 대초를 보이는것은 그를 위한 것이다.
본 문
[편집]일러두기
[편집]1 원칙에 기초하는 규정을 제1에 보이고, 표기관습을 따른 특례를 제2에 보였다.
2 예는 대체로 히라가나로 표기하고, 필요를 따라 괄호안에 한자를 표시했다.상용한자표에 올리지 않는 한자나 음훈(音訓)에는 각각*표 및 △표를 붙였다.
제1 말들을 적기 위해 현대말의 음운을 따라 다음 가나를 쓴다.
[편집]다만, 밑줄을 친 가나는 제2에 보인 경우에만 쓰는것이다.
1 직음(直音)
[편집]あ | い | う | え | お | 아 | 이 | 우 | 에 | 오 | |||||||||||
か | き | く | け | こ | が | ぎ | ぐ | げ | ご | 카 | 키 | 쿠 | 케 | 코 | 가 | 기 | 구 | 게 | 고 | |
さ | し | す | せ | そ | ざ | じ | ず | ぜ | ぞ | 사 | 시 | 수 | 세 | 소 | 자 | 지 | 주 | 제 | 조 | |
た | ち | つ | て | と | だ | ぢ | づ | で | ど | 타 | 티 | 투 | 테 | 토 | 다 | 디 | 두 | 데 | 도 | |
な | に | ぬ | ね | の | 나 | 니 | 누 | 네 | 노 | |||||||||||
は | ひ | ふ | へ | ほ | ば | び | ぶ | べ | ぼ | 하 | 히 | 후 | 헤 | 호 | 바 | 비 | 부 | 베 | 보 | |
ぱ | ぴ | ぷ | ぺ | ぽ | 파 | 피 | 푸 | 페 | 포 | |||||||||||
ま | み | む | め | も | 마 | 미 | 무 | 메 | 모 | |||||||||||
や | ゆ | よ | 야 | 유 | 요 | |||||||||||||||
ら | り | る | れ | ろ | 라 | 리 | 루 | 레 | 로 | |||||||||||
わ | を | 와 | 워 |
예 あさひ(朝日) きく(菊) さくら(桜) ついやす(費) にわ(庭) ふで(筆) もみじ(紅葉) ゆずる(譲) れきし(歴史) わかば(若葉) えきか(液化) せいがくか(声楽家) さんぽ(散歩)
2 요음(拗音)
[편집]きゃ | きゅ | きょ | ぎゃ | ぎゅ | ぎょ | 캬 | 큐 | 쿄 | 갸 | 규 | 교 |
しゃ | しゅ | しょ | じゃ | じゅ | じょ | 샤 | 슈 | 쇼 | 쟈 | 쥬 | 죠 |
ちゃ | ちゅ | ちょ | ぢゃ | ぢゅ | ぢょ | 탸 | 튜 | 툐 | 댜 | 듀 | 됴 |
にゃ | にゅ | にょ | 냐 | 뉴 | 뇨 | ||||||
ひゃ | ひゅ | ひょ | びゃ | びゅ | びょ | 햐 | 휴 | 효 | 뱌 | 뷰 | 뵤 |
ぴゃ | ぴゅ | ぴょ | 퍄 | 퓨 | 표 | ||||||
みゃ | みゅ | みょ | 먀 | 뮤 | 묘 | ||||||
りゃ | りゅ | りょ | 랴 | 류 | 료 |
예 しゃかい(社会) しゅくじ(祝辞) かいじょ(解除) りゃくが(略画)
〔주의〕 요음에서 쓰이는 "や,ゆ,よ"는 되도록 작게쓴다.
3 발음(撥音)
[편집]ん ㄴ,ㅁ,ㅇ
예 まなんで(学) みなさん しんねん(新年) しゅんぶん(春分)
4 족음(促音)
[편집]っ 받침소리 ㄷ,ㅂ,ㄱ
예 はしって(走) かっき(活気) がっこう(学校) せっけん(石鹸*)
〔주의〕 족음에서 쓰이는 "つ"는 되도록 작게쓴다.
5 장음(長音)
[편집](1) ア(아)열의 장음
ア(아)열의 가나에 "あ(아)"를 덧붙인다.
예 おかあさん おばあさん
(2) イ(이)열의 장음
イ(이)열의 가나에 "い(이)를 덧붙인다.
예 にいさん おじいさん
(3) ウ(우)열의 장음
ウ(우)열의 가나에 "う(우)"를 덧붙인다.
예 おさむうございます(寒) くうき(空気) ふうふ(夫婦) うれしゅう存じます きゅうり ぼくじゅう(墨汁) ちゅうもん(注文)
(4) エ(에)열의 장음
エ(에)열의 가나에 "え(에)"를 덧붙인다.
예 ねえさん ええ(応答の語)
(5) オ(오)열의 장음
オ(오)열의 가나에 "う(우)"를 덧붙인다.
예 おとうさん とうだい(灯台) わこうど(若人) おうむ かおう(買) あそぼう(遊) おはよう(早) おうぎ(扇) ほうる(抛*) とう(塔) よいでしょう はっぴょう(発表) きょう(今日) ちょうちょう(蝶*々)
제2 특정의 말들에 대하여서는 표기 관습을 존중해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편집]1 조사 "を(워 혹은 오로 발음)"는 "を(오)"로 적는다.
[편집]예 本を読む 岩をも通す 失礼をばいたしました やむをえない いわんや…をや よせばよいものを てにをは
2 조사의 "は(하 혹은 와로 발음)"는 "は(하)"로 적고, '와'로 읽는다.
[편집]예 今日は日曜です 山では雪が降りました あるいは または もしくは いずれは さては ついては ではさようなら とはいえ 惜しむらくは 恐らくは 願わくは これはこれは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悪天候もものかは
〔주의〕 다음과 같은것은 이 예시에 해당하지 않는것이다.
いまわの際 すわ一大事 雨も降るわ風も吹くわ 来るわ来るわ きれいだわ
3 조사의"へ(헤; 에로 발음)"는 "へ(헤)"로 적는다.
[편집]예 故郷へ帰る …さんへ 母への便り 駅へは数分
4 동사 "いう(言)/이우;'유우'라고도 발음"는 "いう/이우"로 적는다.
[편집]예 ものをいう(言) いうまでもない 昔々あったという どういうふうに 人というもの こういうわけ
5 다음과 같은 말은 "ぢ(디; 지로 발음)", "づ(두; 주로 발음)"를 쓰고 적는다.
[편집](1) 같은소리의 이어내기로 인하여 생긴 "ぢ", "づ"
[편집]예 ちぢみ(縮) ちぢむ ちぢれる ちぢこまる つづみ(鼓) つづら つづく(続) つづめる(約△) つづる(綴*)
〔주의〕"いちじく", "いちじるしい"는 이 예시에 해당하지 않다.
(2) 두말의 합치기로 인하여 생긴 "ぢ", "づ"
[편집]예 はなぢ(鼻血) そえぢ(添乳) もらいぢち そこぢから(底力) ひぢりめん いれぢえ(入知恵) ちゃのみぢゃわん まぢか(間近) こぢんまり ちかぢか(近々) ちりぢり みかづき(三日月) たけづつ(竹筒) たづな(手綱) ともづな にいづま(新妻) けづめ ひづめ ひげづら おこづかい(小遣) あいそづかし わしづかみ こころづくし(心尽) てづくり(手作) こづつみ(小包) ことづて はこづめ(箱詰) はたらきづめ みちづれ(道連) かたづく こづく(小突) どくづく もとづく うらづける ゆきづまる ねばりづよい つねづね(常々) つくづく つれづれ
또한, 다음과 같은 말들에 대하여서는, 현대말 의식가운데서 일반적으로 두말로 분해하기 어려운것 등으로서 각각 "じ(지)", "ず(주)"를 쓰고 적는것을 원칙으로 삼고, "せかいぢゅう", "いなづま"와 같이 "ぢ(디)", "づ(두)"를 쓰고 적을수도 있게 한다.
예 せかいじゅう(世界中) いなずま(稲妻) かたず(固唾*) きずな(絆*) さかずき(杯) ときわず ほおずき みみずく うなずく おとずれる(訪) かしずく つまずく ぬかずく ひざまずく あせみずく くんずほぐれつ さしずめ でずっぱり なかんずく うでずく くろずくめ ひとりずつ ゆうずう(融通)
〔주의〕다음과 같은 말들 중에서 "じ(지)", "ず(주)"는 한자의 음독으로 원래 유성음인것이며 위 (1),(2)의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じ(지)", "ず"(주)를 쓰고 적는다.
예 じめん(地面) ぬのじ(布地) ずが(図画) りゃくず(略図)
6 다음과 같은 말들은 オ(오)열의 가나에 "お(오)"를 덧붙이고 적는다.
[편집]예 おおかみ おおせ(仰) おおやけ(公) こおり(氷・郡△) こおろぎ ほお(頬*・朴△) ほおずき ほのお(炎) とお(十) いきどおる(憤) おおう(覆) こおる(凍) しおおせる とおる(通) とどこおる(滞) もよおす(催) いとおしい おおい(多) おおきい(大) とおい(遠) おおむね おおよそ
이들은 역사적 가나표기법에서 オ(오)열의 가나에 "ほ(호)" 또는 "を(오)"가 연이어서 달리는것이며, オ(오)열의 장음으로 발음되거나, オ・オ(오・오),コ・オ(코・오)와 같이 발음되거나를 따지지 않고, オ(오)열의 가나에 "お(오)"를 덧붙여서 적는것이다.
붙임
[편집]다음과 같은 말들은 エ(에)열의 장음으로 발음되거나 エイ(에이), ケイ(케이)와 같이 발음되거나를 물론하고 エ(에)열의 가나에 "이"를 덧붙이고 적는다.
예 かれい せい(背) かせいで(稼) まねいて(招) 春めいて へい(塀) めい(銘) れい(예) えいが(映画) とけい(時計) ていねい(丁寧)
부 표
[편집]일러두기
[편집]1 현대말의 음운을 目印として,この仮名遣いと歴史的仮名遣いとの主要な仮名の使い方を対照させ,예を示した。
2 音韻を表すのには,片仮名及び長音符号「ー」を用いた。
3 예は,おおむね漢字書きとし,仮名の部分は歴史的仮名遣いによった。常用漢字表に掲げられていない漢字及び音訓には,それぞれ*印及び△印をつけ,括弧内に仮名を示した。
4 ジの音韻の項には,便宜,拗音の예を併せ挙げ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