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2002다60207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소유권이전등기 [대법원 2005. 3. 11., 선고, 2002다60207, 판결] 【판시사항】 [1] 상호명의신탁 등기가 되어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토지가 환지된 경우, 종전의 상호명의신탁 관계가 환지처분에 의하여 종료되는지 여부(한정 적극) [2] 법원의 석명권 행사와 그 한계 및 당사자가 어떠한 법률효과를 주장하면서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 요건사실 일부를 빠뜨린 경우, 법원이 그 누락사실을 지적하여 당사자에게 그에 대한 변론을 할 기회를 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상호명의신탁 등기가 되어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토지가 환지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환지가 제자리 환지이고 위치 및 지형이 별로 변경이 됨이 없이 종전 토지의 위치와 지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여도, 종전의 상호명의신탁 관계는 환지처분에 의하여 종료되고 종전의 토지에 상응하는 비율로 종전의 소유자들이 환지에 대하여 순수한 공유지분을 취득하게 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나, 환지 후에도 공유자들이 환지 중 일부분을 각 특정 소유하여 그 부분에 대하여 상호명의신탁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거나 공유자들 상호간에 묵시적으로 각 종전의 사용 상태를 그대로 유지, 사용·수익하기로 하였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환지 후에도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아야 한다. [2] 법원의 석명권 행사는 당사자의 주장에 모순된 점이 있거나 불완전, 불명료한 점이 있을 때에 이를 지적하여 정정·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계쟁 사실에 대한 증거의 제출을 촉구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당사자가 주장하지도 아니한 법률효과에 관한 요건사실이나 독립된 공격방어 방법을 시사하여 그 제출을 권유함과 같은 행위를 하는 것은 변론주의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석명권 행사의 한계를 일탈하는 것이지만, 당사자가 어떠한 법률효과를 주장하면서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 요건사실 일부를 빠뜨린 경우에는 법원은 그 누락사실을 지적하고, 당사자가 이 점에 관하여 변론을 하지 아니하는 취지가 무엇인지를 밝혀 당사자에게 그에 대한 변론을 할 기회를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참조조문】

[1]

민법 제103조[명의신탁] ,

제262조 ,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2000. 1. 28. 법률 제6252호로 폐지) 제62조 (현행 도시개발법 제41조 참조) [2]

민사소송법 제13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5. 7. 14. 선고 95다7437 판결(공1995하, 2803),


대법원 1996. 7. 12. 선고 96다2880 판결(공1996하, 2472),


대법원 1999. 1. 15. 선고 98다8950 판결(공1999상, 287) /[2]

대법원 1996. 2. 9. 선고 95다27998 판결(공1996상, 911),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다39742 판결(공1998상, 495),


대법원 2000. 10. 10. 선고 2000다19526 판결(공2000하, 2302),


대법원 2004. 3. 12. 선고 2001다79013 판결(공2004상, 601)


【전문】 【원고,상고인】 경옥선 외 6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화우 담당변호사 최공웅 외 4인)

【피고,피상고인】 김영성 외 3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정대 외 1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2. 9. 18. 선고 2001나4706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원고 경옥선, 이경애, 이성기, 이창선, 문옥주, 이옥남에 대한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 이금연의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기각 부분의 상고비용은 원고 이금연이 부담한다.


【이유】 1. 원고 이금연의 상고에 대한 판단 기록에 의하면, 원고 이금연이 제출한 상고장에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고 또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음이 명백하므로(원고 이금연의 상고이유서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인 2002. 11. 28.에 제출되었다.), 민사소송법 제429조에 의하여 원고 이금연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한다.

2. 원고 경옥선, 이경애, 이성기, 이창선, 문옥주, 이옥남의 상고에 대한 판단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경상북도 칠곡군은 칠곡면 학정지구 경지정리사업인가를 받아 직접 토지 678,118평에 대한 경지정리사업을 시행하여 1967. 5. 31. 준공하였고, 이에 따른 환지계획은 1969. 12. 29. 확정되었는데, 위 경지정리사업을 하기 전에 경북 칠곡읍 태전동(이하 '태전동'이라고만 한다) 222-1 전 1,605평은 이무술, 이연배, 김용암이 내부적으로 특정 부분을 구분하여 소유하던 토지였으나, 등기부상으로는 위 3인이 이무술 7/33, 이연배 15/33, 김용암 11/33의 비율로 이를 공유하는 것으로 지분이전등기가 경료되어 있었고, 그 중 이무술이 내부적으로 구분소유하던 부분 중 188평은 위 경지정리사업구역에서 제외되고 나머지 1,417평만 위 경지정리사업구역에 포함되었으며, 위 1,605평은 1970. 2. 20. 분할되어 이무술이 내부적으로 구분소유하던 위 188평은 태전동 222-2 전 188평으로 되고, 나머지 1,417평은 태전동 222-1 전 1,248평과 태전동 222-3 전 169평으로 된 사실, 위 경지정리사업구역에 포함된 태전동 222-1 전 1,248평 및 태전동 222-3 전 169평, 합계 1,417평은 환지계획에 의하여 태전동 255-4 답 523평, 태전동 255-6 답 427평 및 태전동 255-10 답 274평으로 환지된 후, 1970. 2. 27. 위 3필지에 관하여 이무술 7/33, 이연배 15/33, 김용암 11/33의 비율로 위 3인이 공유하는 것으로 '환지에 의한 전사' 등기가 마쳐진 사실, 환지 후 태전동 255-4 답 523평과 같은 동 255-10 답 274평은 1976. 12. 24. 합병되어 같은 동 255-4 답 797평으로 되었다가 다시 수회 합병과 분할을 거쳐 원심판결 별지 목록 기재 토지들(이하 '이 사건 토지들'이라 한다) 및 태전동 255-33, 255-37, 255-43, 255-44 토지로 되었는데, 현재 이 사건 토지들에 관하여 이무술 7/33, 이연배 15/33, 김용암 11/33의 비율로 위 3인이 공유하는 것으로 '환지에 의한 전사' 등기가 마쳐진 사실, 한편 김용암이 이 사건 환지계획이 확정되기 전에 자신이 사실상 소유하던 부분을 이승훈에게 매도하였고, 이를 이승훈은 곽등룡에게, 곽등룡은 신재원에게 각 매도하였으며, 1971. 3. 3. 환지 후의 태전동 255-6 답 427평 중 이무술, 이연배의 지분에 관하여 1971. 2. 27.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신재원 앞으로 각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을 인정한 다음, 기록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원고들은 이 사건 환지계획이 확정된 후에 환지에 관하여 상호명의신탁 및 명의신탁해지 약정을 체결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무술은 이 사건 환지계획이 확정되기 전인 1968. 3. 28.경에 이미 사망하였으므로 위 각 약정의 당사자가 될 수 없는 점, ② 원고들 주장대로 환지 전의 1,605평을 등기부상의 지분비율(이무술 7/33 = 약 21%, 이연배 15/33 = 약 46%, 김용암 11/33 = 약 33%)과 달리 이무술 357평(= 357/1,605, 약 22%), 이연배 827평(= 827/1,605, 약 52%), 김용암 421평(= 421/1,605, 약 26%)의 비율로 사실상 구분소유하고 있었고 환지 후에도 같은 비율로 구분소유하기로 하였다가 상호명의신탁을 해지하였다면 환지 전과 환지 후의 구분소유 비율이 동일하여야 하고, 환지 전의 1,605평 중 위 경지정리사업에 편입된 1,417평은 환지 후 1,224평으로 감보되었으므로, 환지 후의 상호명의신탁 해지로 인하여 이무술의 단독소유로 될 면적은 환지 전에 이무술이 구분소유하던 면적보다 작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환지 후 이무술의 딸인 원고 이옥남의 소유로 등기된 태전동 222-2 전 188평과 명의신탁의 해지로 인하여 이무술의 단독소유로 되어야 한다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태전동 255-10 답 274평을 합산한 면적은 환지 전에 이무술이 단독으로 소유하였다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357평보다 105평이나 증가한 462평이 되는 점, ③ 태전동 255-4 답 523평과 태전동 255-10 답 274평 및 그 토지들로부터 분할된 이 사건 토지들은 이 사건 환지계획이 확정되기 전부터 1972. 7. 1.까지는 망 이형식이, 그 다음부터 앞서 본 원고 문옥주의 이연곤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말소 소송이 종료될 때까지는 이형식의 아들인 이연곤이 순차 경작하였는데, 이무술 또는 그 상속인들이 이형식 및 이연곤에게 자신들이 구분소유하던 토지의 경작을 부탁하였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는 점, ④ 제1심법원에서 진술간주된 피고 김임순의 2000. 4. 28.자 답변서는 원고들의 당초 청구원인인 매매 사실에 대한 자백으로 볼 수 있을 뿐 변경된 청구원인인 상호명의신탁 해지 사실에 대한 자백으로 볼 수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원고들 주장사실에 부합하는 증거들은 믿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배척하였다.

나.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할 수 없다. 상호명의신탁 등기가 되어 있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토지가 환지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환지가 제자리 환지이고 위치 및 지형이 별로 변경이 됨이 없이 종전 토지의 위치와 지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여도, 종전의 상호명의신탁 관계는 환지처분에 의하여 종료되고 종전의 토지에 상응하는 비율로 종전의 소유자들이 환지에 대하여 순수한 공유지분을 취득하게 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나, 환지 후에도 공유자들이 환지 중 일부분을 각 특정 소유하여 그 부분에 대하여 상호명의신탁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거나 공유자들 상호간에 묵시적으로 각 종전의 사용 상태를 그대로 유지, 사용·수익하기로 하였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환지 후에도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1995. 7. 14. 선고 95다7437 판결, 1999. 1. 15. 선고 98다8950 판결 등). 한편, 법원의 석명권 행사는 당사자의 주장에 모순된 점이 있거나 불완전, 불명료한 점이 있을 때에 이를 지적하여 정정·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계쟁 사실에 대한 증거의 제출을 촉구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당사자가 주장하지도 아니한 법률효과에 관한 요건사실이나 독립된 공격방어 방법을 시사하여 그 제출을 권유함과 같은 행위를 하는 것은 변론주의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석명권 행사의 한계를 일탈하는 것이지만, 당사자가 어떠한 법률효과를 주장하면서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 요건사실 일부를 빠뜨린 경우에는 법원은 그 누락사실을 지적하고, 당사자가 이 점에 관하여 변론을 하지 아니하는 취지가 무엇인지를 밝혀 당사자에게 그에 대한 변론을 할 기회를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누4352 판결, 2004. 3. 12. 선고 2001다79013 판결 등 참조). 그런데 원심이 인정한 사실에 의하더라도, 환지 전의 태전동 222-1 전 1,605평은 이무술, 이연배, 김용암이 내부적으로 특정 부분을 구분하여 소유하던 토지였고, 그 중 김용암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 부분을 이 사건 환지 확정 전에 이미 이승훈에게 매도하였으며, 이를 이승훈은 곽등룡에게, 곽등룡은 신재원에게 각 매도하였고, 1971. 3. 3. 환지 후의 태전동 255-6 답 427평 중 이무술, 이연배의 지분에 관하여 1971. 2. 27. 매매를 원인으로 하여 신재원 앞으로 각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는 것이고, 갑 제10호증의 1, 2의 각 기재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들은 환지 전부터 이연배로부터 관리위탁을 받아 이연곤과 이형식이 이를 점유, 경작해 오던 중 1972. 7. 1. 이형식이 사망하여 그 때부터는 이연곤이 이형식의 점유를 승계받아 이 사건 토지들을 단독으로 점유, 경작해 온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피고들이 이 사건 토지들에 관하여 이 사건 소제기 이전까지 어떠한 권리행사를 하였다는 자료를 기록상 찾아볼 수 없다. 위와 같은 여러 사정, 특히 이미 환지 전에 김용암이 제3자에게 매각한 구분소유 토지 부분에 관하여 환지 후에 위와 같이 이무술, 이연배가 각자의 지분을 이전해 주었음에도 이에 관한 대가를 받았다는 흔적을 기록상 찾아볼 수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환지 후에도 공유자들 상호간에 묵시적으로 각 종전의 사용 상태를 유지, 사용·수익하였거나, 아니면 적어도 환지 후에는 종전의 토지에 상응하는 비율로 종전의 소유자들이 환지에 대하여 순수한 공유지분을 취득하였는데, 김용암은 이미 환지 전에 자신의 구분소유 토지 부분을 제3자에게 매각함으로써 등기부상 형식적으로는 김용암과 이무술, 이연배가 환지 후의 토지를 공유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김용암의 지분은 없고, 이무술(다만, 기록에 의하면 이무술은 1968. 3. 28. 사망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이무술의 상속인들이 될 것이다.)과 이연배가 환지 후의 이 사건 토지들을 공유해 왔다고 볼 여지도 있다. 그런데 원고들은 김용암이 이미 환지 전에 자신의 구분소유 토지 부분을 제3자에게 매각하여 이무술과 이연배가 이 사건 환지 후 태전동 255-6 답 427평 중 자신들의 지분에 관하여 1971. 3. 3. 신재원 앞으로 각 지분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으므로 김용암의 상속인들인 피고들로서는 원고들에게 이 사건 토지의 김용암 지분에 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이행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취지로 주장한 바 있는데, 여러 필지를 등기부상 공유하는 공유자들이 공유자들 중 1인에 대하여 그의 공유지분에 해당하는 몫의 토지를 단독소유로 귀속시키면서 다른 공유토지들에 대하여는 공유관계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은 매우 이례에 속하고, 공유자들(공유자의 일부가 사망한 경우라면 그 상속인들) 사이에 공유로 등기된 토지 중 일부분을 각 특정 소유하여 상호명의신탁관계에 있다면 그 명의신탁을 해지하거나, 본래의 공유라면 공유물 분할약정을 한 다음에 위와 같은 등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일 것이므로, 위 주장 속에는 환지 확정 후에도 상호명의신탁관계가 유지되어 왔고, 적어도 김용암의 구분소유 토지에 해당하는 토지를 신재원 앞으로 단독등기를 할 무렵에는 이무술의 상속인들과 사이에 명의신탁을 해지하는 약정을 하였거나, 또는 이 사건 환지 후의 토지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아닌 순수한 공유물로 전환된 경우에는 늦어도 1971. 3. 3. 신재원 앞으로 위 토지에 관한 단독등기가 마쳐질 당시 당사자들 사이에 공유물분할 약정이 있었다는 취지가 포함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사정이 위와 같다면, 원심으로서는 적절한 석명권 행사를 통하여 원고들의 이 사건 청구원인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내고, 만일 이 사건 환지 후의 토지의 권리관계가 원고들 주장과 같은 상호명의신탁관계라고 한다면 이무술이 1968. 3. 28. 사망한 이후 이무술의 상속인들과 다른 공유자들 사이에 그 주장과 같은 상호명의신탁계약 해지약정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더 심리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고, 만일 이 사건 환지 후의 토지의 권리관계가 상호명의신탁관계가 아닌 순수한 공유관계라고 한다면 원고들 주장과 같은 공유물분할 약정이 언제, 누구와 사이에 있었는지 여부, 이무술의 사망 이후에는 이 사건 환지 후의 토지의 관리 및 처분행위를 누가 했는지 여부 등을 더 심리한 다음 원고들의 청구의 당부를 판단하는 등의 조치를 하였어야 함에도 원심이 만연히 이무술이 이 사건 환지계획이 확정되기 전인 1968. 3. 28.경에 이미 사망하였다는 등의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배척하고 말았으니, 거기에는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았거나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는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원고 경옥선, 이경애, 이성기, 이창선, 문옥주, 이옥남의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원고 이금연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유지담 이강국 김용담(주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