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삼국시대의 사상/삼국시대의 불교사상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삼국시대의 불교사상〔槪說〕

[편집]

삼국에 불교가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4세기경으로 중국의 남북조 시대에 해당한다. 즉 중국 불교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이 시대에 남북조 각국에서 발달했던 불교가 혹은 외교적인 접촉에서 혹은 불교인 자신의 포교 활동에서 우리나라에 전래되었고, 전래 직후인 4∼5세기에는 대체로 종교의식과 경론의 보급에 그쳤고, 6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불교사상이 이론적으로 탐구되고 우리 자신이 능동적으로 중국·인도에까지 나가 불법을 구하고 이를 일본에까지 전하는 활약상을 펴게 되었다. 이 동안에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교단도 차츰 정비되고, 토착사상과의 마찰도 차츰 극복되어 6세기말에 이르면 삼국을 통틀어 불교가 지도적인 사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외래사상인 불교가 이러한 지위에까지 이르게 된 데는 중국의 선진 문명을 재빨리 받아들여 국가체제를 개혁하고 불교를 일으킨 고구려의 소수림왕(小獸林王), 백제의 침류왕(枕流王), 신라의 법흥왕(法興王) 등의 역할이 컸고, 특히 토착세력의 반발이 가장 컸던 신라에서 순교로 이를 극복한 이차돈(異次頓)의 행적은 특기할 만한 것이다. 또한 단순한 신앙으로 만족치 않고 직접 중국·인도에까지 나아가서 불교사상에 접하고, 이를 직접 연구하여 해외에서 혹은 국내에서 불교이론을 설파한 고승으로 승랑(僧朗)·의연(義淵), 백제의 겸익(謙益), 신라의 혜량(惠亮) 등은 모두 위대한 선각자였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고구려의 불교는 도교를 숭상하는 중앙 정부의 냉대를 받아 고승 보덕(普德)이 백제로 망명하게 된 반면, 불교의 정착이 가장 늦었던 신라에서 오히려 자장(慈藏),

원광(圓光), 명랑(明朗) 등의 고승이 배출되어 불교의 진호국가(鎭護國家) 사상을 토대로 한 화랑도의 발달, 백고좌, 팔관회 등 호국 불사를 일으켰다. 나아가 황룡사 9층탑, 사천왕사의 건축 등이 이루어지는 등 민족사상의 꽃을 피웠다. 한편 국세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고구려, 백제의 고승들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불교를 일으키니 고구려의 혜관(惠灌)·혜자(惠慈), 백제의 관륵(觀勒)·도장(道藏) 등이 그 대표자들이었다. 이와 같이 7세기의 불교는 고구려 불교의 쇠퇴와 일본 전교, 백제 불교의 일본 전수, 신라 불교의 호국 신앙화와 중국 진출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대체로 이러한 경과를 보여주는 삼국시대의 불교를 이론면에서 본다면, 불교사 연구에 의연이, 삼론학(三論學)의 연구에 승랑·실법사(實法師)·인법사(印法師)·혜관(惠灌)·혜자(惠慈)·관륵(觀勒) 등이 있고, 성실학(成實學) 연구에 도장(道藏), 섭론학의 원광(圓光), 천태학(天台學) 연구에 파야(波若), 열반학(涅槃學) 연구에 보덕(普德)과 원광(圓光), 계율종(戒律宗) 교리 연구에 겸익(謙益)·자장(慈藏), 화엄학(華嚴學) 연구에 현황(玄光)·연기(緣起), 밀교(密敎)의 전수에 명랑(明朗)·밀본(密本) 등이 각각 불후의 업적을 남겨 7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의 종파 불교가 윤곽을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에 의하여 개화한 불교사상은 곧 널리 민중 속에 침투되어 때로는 정치 이념화하고, 때로는 말세 구원의 비원이 담긴 미륵신앙(彌勒信仰)으로, 극락왕생(極樂往生)의 미타신앙(彌陀信仰)으로 발전하여 민족신앙으로 정착하기에 이르렀다.

순도

[편집]

順道

4세기 인물.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왕(前秦王) 부견(符堅)의 사자를 따라 불교를 처음으로 전한 도승. 그는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와 고구려 군신의 봉영(奉迎)을 받아 우리나라 최초의 사원인 초문사(肖門寺 혹은 省文寺)에 머물면서 불교를 포교하였다고 하는데, 일설에는 동진(東晋)에서 왔다고도 한다.

아도

[편집]

阿道

4세기의 중. 고구려 소수림왕 4년(374년)에 고구려에 입국하여 불교를 전한 도승. 국적은 불명이나 이불란사(伊弗蘭寺)에 머물며 불교를 포교하다가 5세기 내지 6세기경에 신라에 잠입 포교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양인이 동명 이인(同名異人)인지는 의문이다.

담시

[편집]

曇始

400년경 고구려 광개토왕 5년에 동진(東晋)에서 경률(經律) 수십부를 가지고 와서 요동(遼東) 지방을 교화시킨 승려. 본래 중국인이라 하며 이적(異蹟)이 많고 발이 얼굴보다 희어서 백족화상(白足和尙)이라고도 한다.

의연

[편집]

義淵

6세기경 고구려의 중으로서 고구려의 평원왕(平原王) 때 대승상(大丞相) 왕고덕(王高德)에 의하여 북제(北齊) 업에 파견되어 지론종(地論宗) 남도파(南道派)의 대표자인 법성(法性)을 만나 불교사(佛敎史)를 알아 왔다고 한다.

승랑

[편집]

僧朗

6세기경 고구려의 고승. 일명 낭대사(朗大師), 섭산대사(攝山大師)라고 함. 고구려 요동 출신으로 중국 남북조시대에 중국에 들어가서 구마라습(鳩摩羅什)의 교의를 공부하고 삼론학(三論學)을 대성하여 중국 삼론종의 제3대조가 되었고 양무제(梁武帝)로부터 우대를 받았다. 그는 용수(龍樹)의 진속이제설(眞俗二諦說)을 밝혀 길장(吉藏)에게 전하여 중국 삼론의 원조가 되었다.

혜관

[편집]

慧灌

600년경 고구려의 고승. 수(隋)나라에 들어가 가상(嘉祥), 길장(吉藏) 등에게서 삼론학을 배웠으며 624년에 일본에 건너가 겐코우사(元興寺)에 머물면서 삼론(三論)을 설(說)하니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다.

혜자

[편집]

慧慈

600년경 고구려의 중으로서 595년에 일본에 건너가 백제승 혜총(惠聰)과 같이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스승이 되어 일본 불교를 일으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보덕

[편집]

普德

7세기경 고구려 말기의 고승. 자는 지법(智法)이요, 용강현(龍岡縣) 출신. 열반경(涅槃經)의 대가로서 평양성에서 노승에게 열반경 40여권을 강술하였고 고구려 보장왕과 연개소문의 국책이 도교(道敎) 신봉으로 바뀌자 이에 불만을 품고 650년에 백제 방장산으로 내려가 열반경을 가르쳤다고 한다. 원효(元曉)·의상(義湘) 등도 그의 교화를 받았고 고제(高弟)로 무상(無上) 등 11인이 있어 크게 번창하였다고 한다.

파야

[편집]

波若 (? ∼ 613)

고구려의 중. 중국에 건너가서 선법(禪法)을 구하여 칭송을 받았다.

마라난타

[편집]

摩羅難陀

4세기경 백제에 불교를 전한 호승(胡僧). 백제 침류왕(枕流王) 원년(384년)에 동진(東晋)으로부터 와서 한산(漢山) 불사에 머물며 불교를 처음으로 포교하였다고 한다.

겸익

[편집]

謙益

6세기경 백제의 고승. 백제 성왕(聖王) 4년(526)에 중(中) 인도 상가나(常伽那)에 건너가 인도말을 배우고 율부(律部)를 깊이 연구하여 인도승 배달다삼장(倍達多三藏)과 같이 인도판 <아비담장(阿毘曇藏)>과 <5부율(五部律)>을 가지고 귀국하였다. 흥륜사(興輪寺)에서 율부 72권을 번역하니 백제 율종의 시조가 되었다.

관륵

[편집]

觀勒

600년경 백제의 승. 삼론학을 연구하고 외학(外學)에도 능통하여 602년에 역본·천문지리서·둔갑방술서(遁甲方術書)를 가지고 일본에 건너가 불교를 포교하고 제2의 승정(僧正)에 임명되었다.

도장

[편집]

道藏

백제의 학승(學僧). 7세기경 박학영통(博學靈通)의 고승으로 관광차 일본에 건너갔다가 그 곳에 머물면서 <성실론소(成實論疏)> 16권을 찬술하여 일본 성실종을 성립시켰다.

묵호자

[편집]

墨胡子

5세기경 신라에 불교를 처음으로 전했다는 고승. 국적은 불명이고 고구려로부터 왔다고 한다. 신라 눌지왕(訥祗王) 때 고구려에서 일선군(一善郡) 모례(毛禮)의 집에 잠입하여 굴속에서 불교를 포교하다가 왕녀의 병을 고쳐 불교의 이적을 보여주고 사라졌다고 하나 아도(阿道)와의 동일인 여부가 불명하다.

이차돈

[편집]

異次頓 (506∼527)

신라 법흥왕(法興王) 때의 순교인(殉敎人). 일찍이 불교에 귀의하여 법흥왕 측근에서 불교 공인(公認)을 주장하다가 조신(朝臣)들의 반대에 부딪쳐 스스로 순교를 통한 이적을 보여 불교를 공인케 하였다고 한다.

법흥왕

[편집]

法興王

신라 제23대 왕. 재위 514년∼540년, 이름은 원종(原宗). 불교의 공인 및 장려를 통하여 통치체제를 개혁하고 국민 사상을 통일시킨 명군(名君). 동왕 4년에 처음으로 병부(兵部)를 설치하여 군제를 개혁하였고, 7년에는 율령(律令)을 반포하였으며, 동왕 14년(527년)에는 이차돈의 순교를 거쳐 불교를 국교로 정한 이후 불교정신에 의한 통치를 하여 삼국통일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계속하여 살상 금령(禁令), 가야국 정복, 상대등(上大等) 관직 설치 등의 선정을 하다가 536년에는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건원(建元)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그는 불교에 투신하여 스스로 승려가 되어 이름을 법공(法空)이라고 고치고 흥륜사(興輪寺)에 머무니 신라 창사(創寺)의 처음이었다고도 한다.

혜량

[편집]

惠亮

6세기경의 신라의 중. 본래 고구려 출신으로 신라 대아찬(大阿飡) 거칠부(居柒夫)와의 인연으로 신라에 귀화하여 승통(僧統)이 되고, 진흥왕의 명을 받아 처음으로 백고좌 강회(百高座講會)·팔관회(八關會)를 주재하여 기원을 이루었다.

원광

[편집]

圓光 (542∼640)

신라의 고승. 성은 박(朴). 제자백가(諸子百家)·4서5경(四書五經)·<춘추(春秋)>·<사기(史記)>등을 읽고 불문에 들어가 중국에 유학, 진(陳)나라 중승민(僧旻)의 제자. 수(隋)의 중 담천(曇遷)·혜원(慧遠)·영유(靈裕) 등을 만나 열반경(涅槃經)·성실론(成實論)·구사론(俱舍論)·섭대승론(攝大乘論)을 배워 귀국하였다. 진평왕 때 <여래장경사기(如來藏經私記)>·<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새로운 불교이론을 소개하였고, 귀산(貴山)등에게 화랑도 세속5계(世俗五戒)를 지어준 것으로 유명하다. 그 밖에 왕명을 받아 수(隋)에 보내는 걸사표(乞師表)를 지었고 황룡사 백고좌회에서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을 설법하였다.

즉 그는 대승불교의 진호국가사상(鎭護國家思想)을 화랑도 및 근왕사상과 연결시켜 국가 이념으로 정립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

자장

[편집]

慈藏

7세기경 신라의 고승. 본명은 김선종(金善宗). 선덕여왕 때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종·계율종을 공부하고 장경(藏經) 1부와 불구(佛具)를 가지고 귀국하여 분황사(芬皇寺)·황룡사(皇龍寺) 및 중국에서 대승론(大乘論)과 보살계본(菩薩戒本)을 강론하였고,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국가안보를 기원하는 황룡사 9층탑의 건립을 주재하였으며, 당나라 연호 사용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신라 불교의 진호국가 사상

[편집]

新羅佛敎-鎭護國家思想

신라의 불교는 6세기경부터 토착적인 화랑도의 전통과 외래 불교, 그중에서도 특히 <인왕반야바라밀경(仁王般若波羅密經)>에 근거한 진호국가(鎭護國家)의 교리를 융합하여 불력(佛力)으로 국가를 지키고 국민 사상을 계발시키는 구심점을 형성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신라 불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이다. 이 사상이 확립되는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차돈은 순교 직전에 자기가 죽는 것은 임금을 위한 신하의 길이요, 자기가 죽음으로써 불교가 공인되면 나라가 태평하고 임금이 편안할 것이라고 말하여 충성과 순교 정신을 연결시켰다. (2) 진흥왕 때 혜량(惠亮)이 백고강좌회(百高講座會)와 8관재회를 개설하니 국가를 위한 불교행사의 효시가 되었다. (3) 진흥왕 33년에 전사한 사졸을 위하여 팔관연회를 7일간 열었다. (4) 진흥왕 37년에 화랑도를 인재 등용기관으로 하였고 이들의 교육 지침으로 원광(圓光)이 세속5계를 지어 주었으며 35년에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하고 원광 등이 경을 설하였다. (5) 선덕여왕 14년에 자장(慈藏)의 건의로 황룡사 9층탑을 세우니 일본·중국 등 9개의 적을 진압하기 위해서였다. (6) 문무왕 때 신혜법사(信惠法師)가 중앙 관직에 임명되었고 명랑법사(明朗法師)의 건의에 따라 당병(唐兵) 방어책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지으니 3국통일의 상징처럼 되었다.

명랑

[편집]

明朗

7세기경 신라의 중으로 자(字)는 국육(國育). 선덕 여왕 때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와 668년 당군의 내침 소식을 듣고 낭산(狼山) 남쪽 신유림(新遊林)에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창건하면 물리칠 수 있다고 상주하였다. 비단으로 절모양을 꾸민 다음, 풀로 5방신상(五方神像)을 만들어 세우고 요가 명승(瑜伽明僧) 12명과 문두루비밀법(文豆婁秘密法)을 서서 태풍을 일으켜 당나라 병선을 침몰시켰다고 한다. 그는 또한 이 사상의 근거인 <금광명경(金光明經)>의 뜻을 살리기 위하여 용왕이 시주한 황금으로 자기 집자리에 절을 짓고 탑상을 장식하여 금광사(金光寺)라 하였고, 뒤에 진언종(眞言宗)의 별파인 신인종(神印宗)의 조사(祖師)가 되었다.

백고좌

[편집]

百高座

신라 때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의 하나. 인왕반야바라밀경에 근거하여 국토를 진호하기 위해서는 대법회로 여기서는 백불상(百佛像), 백보살상(百菩薩像) 및 4부(四部) 7중(七衆)을 모시고 인왕경을 강독하였다고 한다. 이 행사는 진흥왕 12년에 혜량(惠亮)이 시작한 후로 신라 말기까지 계속되어 불력에 의한 국가 진호를 기원하였다.

팔관회(신라)

[편집]

八關會(新羅)

신라·고려 때에 있었던 불교의식의 하나. <중아함경(中阿含經)> 제55권 <지재경(持齋經)>에 나오는 팔관법(八關法)에 의거한 불교 법회로 562년(진흥왕 12년)에 팔관지법(八關之法)을 둔 것이 처음이다. 그 후 전사한 병사들을 위하여 외사(外寺)에서 열린 때도 있듯이 처음에는 각 사원을 중심으로 개설되었지만 고려 때에는 국가 행사로 바뀌었다.

삼국시대의 미륵신앙

[편집]

三國時代-彌勒信仰

불교의 원시경전에서 유래하지만 소승·대승을 막론하고 널리 보편화된 미륵신앙은 6세기경부터 이미 3국에 들어와 여러 가지 설화를 형성하였으니 대략 다음과 같다. (1) 백제 무왕(武王)이 사자사(獅子寺)에 가고자 용화산(龍華山) 밑 큰 못가에 이르렀을 때 미륵 3존을 보고 경례한 다음 그 자리에 미륵사를 지었다. (2) 신라 진지왕(眞智王) 때 흥륜사의 중진자(眞慈)가 미륵상 앞에 나가 미륵대성(彌勒大聖)이 화랑(花郞)으로 화현(化現)하기를 비니 미륵이 작은 낭자로 나타나 7년간 세상을 빛냈다. (3) 선덕여왕 때의 중, 생의(生義)가 도중사(道中寺)에서 꿈을 꾸고 깨어나 돌미륵을 찾아냈다. 이 사상은 통일 이후에 더욱 발전하여 말기에는 자칭 미륵까지 나오기에 이르렀다.

밀본

[편집]

密本

7세기경 신라의 명승. 명랑법사에 이어 밀교(密敎) 사상을 발전시켰고, 이적으로 왕과 기양도(金良圖)의 병을 고쳐주는 등 신통한 재주가 많았던 사람으로 전한다.

현황

[편집]

玄光

6세기경 백제의 고승. 웅주(熊州) 사람. 중국 진(陳) 나라에 가서 혜사(慧思)로부터 법화삼매(法華三昧)를 배우고 돌아와서 웅주 옹산(翁山)에 절을 짓고 법화를 전하니 우리나라 법화종(法華宗)의 조사가 되었다.

신방

[편집]

神昉

신라의 고승. 중국의 고승 현장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역경 사업을 보좌했으며 문장이 뛰어났다고 한다.

연기

[편집]

緣起

신라 진흥왕 때의 고승. 전남 구례 화엄사(華嚴寺)를 창건하여 우리나라 화엄종의 시조가 되었다. 뒤에 의천(義天)이 밝힌 바로는 그는 3천명의 제자를 길러 원교종풍(円敎宗風)을 우리나라 전국에 퍼뜨렸다고 하며, 저서로 <대승기신론주강(大乘起信論註綱)> <화엄경요결(華嚴經要訣)> 등이 있었다고 하나 모두 전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