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부서별 관리요령/생 산

위키문헌 ― 우리 모두의 도서관.

생산계획[편집]

生産計劃

생산계획이란 기업이 생산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 목적을 완수하기 위하여 조직적인 예정을 세우려는 사고활동으로서 생산의 개시에 앞서서 생산될 제품의 종류·수량·가격 및 생산방법·장소·생산기간 등에 관해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예정을 편성하는 것이다. 생산활동은 구체적으로 볼 때 시간적·물량적 활동이므로, 생산계획은 시간적·물량적으로 표시해야 하는 것이다. 즉, 생산계획은 판매예측을 기초로 하여 재료·인원 및 설비를 시간적·수량적·장소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재료·인원·설비의 결정이라 함은 생산계획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재료(原材料)의 양의 결정이나 인원·설비·기계의 소요수량의 결정인 것이다. 특히 인원·설비·기계의 소요수량은 단순한 인원수나 대수가 아니라 작업의 질을 내용으로 하여 시간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나 설비기계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체적인 각 기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작업내용이 표시됨과 동시에 그 작업이 언제까지 완성될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이다.

기본계획[편집]

基本計劃

기본계획은 준비계획·선행생산계획·종합계획·장기계획·대일정계획 및 경영계획이라고도 한다. 이 계획의 수립은 최고경영층에서의 사고활동에 의해 행해지며, 이 계획의 결정은 실행계획·실시계획을 수립할 때의 방침을 결정하는 기본이 된다.

이 계획의 범위는 전체 생산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계획기간이 장기적이고, 경제조사 및 경기변동을 기초로 한 5년 정도를 주기(週期)로 하여 계획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혁신이 급속히 진전되어 계획을 신제품개발이나 무역자유화 및 경쟁격화에 대처하기 위한 기업의 적극적 체질개선, 설비대체나 연구부문의 강화, 인재의 육성 등이 중요한 계획내용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인 생산기본계획의 계획사항은 제품·판매·생산기술·설비·인원에 관한 것이다.

실행계획[편집]

實行計劃

실행계획은 제조계획 또는 생산계획을 의미한다. 이것은 최고 경영층에서 결정된 기본계획을 구체화한 계획으로서 생산을 개시하기에 앞서 생산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계획이다. 이 계획은 부문 관리자, 즉 생산담당부문(생산부·생산관리부)에서 수립하는 것으로, 생산요소 (재료·인원·설비기계)를 결정·확보하려 할 때의 사고활동과 루틴(routine)활동을 믹스(mix)한 활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실시계획[편집]

實施計劃

실시계획은 작업계획이라고도 하며 생산담당부문으로부터의 제조명령에 따라서 실제의 제조작업의 진도를 계획·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실시계획은 실행계획에 따라 다시 각 작업자별, 각 기계별로 작업의 내용·수량·시기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생산관리 형태[편집]

生産管理形態

현재 기업에서 취하고 있는 생산방식으로는 개별생산·로트(lot)생산·배치(batch)·생산·다량생산·연속생산 등이 있다. 각각의 생산형태에 따라서 생산관리를 행하게 되나 관리방식의 원리 및 목적은 크게 분류하면 주문에 의한 생산방식과 시장·재고 등에 의한 예정생산방식의 2종이다.

즉, 주문생산방식에서는 개별적 생산관리이며 예정생산방식에서는 조직적 생산관리를 행하게 된다. 개별적 생산관리는 테일러(F.W. Taylor)의 과업관리(課業管理), 즉 테일러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관리방식으로 개별적인 주문에 따라 계획과 조정을 행하는 것이며, 조직적 생산관리는 시장예측에 따라 제조계획에 의한 대량생산을 달성하는 방법으로 동시관리(同時管理)가 중심이 된다.

개별적 생산관리형태[편집]

個別的生産管理形態

주문생산에서는 특정제품의 주문을 받을 때에 생산을 하게 되며 주문에는 제품의 규격·형상·가격 등이 한정되며 생산 계획을 세우게 된다.

주문생산의 특질은 다음과 같다.

① 특수제품의 생산이므로 개별적 생산방식을 사용하고, 특수공구가 필요하게 되며, 포준화가 이룩되지 않는다.

② 노동력의 집중이나 분산이 빈번히 일어나게 되어 불안정하다. 제품 완성의 기일이 외적으로 한정되고, 주문량이 안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정한 노동력을 생산에 항상 고정시키기가 곤란하다.

③ 작업내용이 단속적(斷續的)이고 다품종 복수생산에서는 주문량에 따라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④ 생산공장은 제조조립 공장이며, 또한 만능형 공장이 되어야 한다.

⑤ 주문량의 예측이 곤란하며, 예상하지도 않은 주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장기계획을 세우기가 곤란하다.

⑥ 주문에 따라서 생산이 시작되므로 판매관리를 중요시해야 한다.

조직적 생산관리형태[편집]

組織的生産管理形態

시장·재고 등의 수요를 일정기간 동안 예측하여 생산활동을 개시 하는 것이 예정생산이며, 이것을 계획생산 또는 시장생산이라고 한다. 예정생산에서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되고 있으며, 그 특질은 다음과 같다. ① 예측에 의해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② 일반제품의 대량생산이다. ③ 생산의 흐름이 연속적이다. ④ 부품전문공장에 의한 생산이다.

이상과 같은 생산 형태의 특질로 예정생산에서는 전체적·조직적 관리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관리방식이 최초 적용된 곳은 미국 포드(Ford)자동차 회사로서, 이 회사에서는 자동차의 조립제조에 포드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관리(同時管理)가 적용되었던 것이다.

공정관리[편집]

工程管理

기업의 생산부문은 사람·기계·재료 등을 투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소이며 누가, 무엇을, 어디에서, 어떻게 할 것인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제품의 흐름과 사람·기계의 생산활동이라는 양면에서 생산의 능률을 높이는 것이다. 제품의 능률이라는 것는 재공품을 감소시키고 생산기간을 단축하는 것이며, 사람·기계의 능률 면에서는 가동률을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공정관리의 방식·업무·내용은 생산방식의 차이(주문생산·예정생산·개별생산·연속생산)에 따라서 다르다. 예정생산에 의한 연속생산방식의 경우에는 제품에 대한 설비가 고정되고 한 번 생산방식이 결정되면 재료가 공정에 들어가는 시기와, 고장 기타 이상상태에 대한 작업배분이 주된 업무이며 공정관리 기능은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개별생산과 로트생산의 경우에는 대부분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제품혼합이 빈번하고 작업이 불연속적으로 되어 각각의 제품에 대한 기계가공(機械加工) 작업에 대한 부하(負荷)가 다르며 특히, 신제품의 비중이 많을 때에는 공정관리가 대단히 복잡하게 된다.

공정계획[편집]

工程計劃

경영의 의사 결정에 따른 생산계획을 기초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생산의 순서적 생산방법을 결정하며, 공정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계획이 세워진다.

① 작업공정의 순서와 작업내용, ② 조립작업의 순서와 취급부품, ③ 각 공정에 필요한 기능별 인원수, ④ 각 공정에 필요한 능력별 기계설비 및 야공구(冶工具), ⑤ 각 공정의 작업시간, ⑥ 경제적인 가공 로트 수, ⑦ 기타 재료 소요량 및 재료 취급방법·재료 준비구분·공정분류·조립분류·완급순위 또는 순서번호 등.

일정계획[편집]

日程計劃

일정계획은 공정계획에 따라서, 필요한 재료를 조달하는 시간에서 제품의 최종 조립시간까지의 전공정에 걸친 조화적인 시간을 결정하려는 것이다.

일정계획의 게획내용은 다음의 2단계로 구분된다.

첫 단계는 기준 일정의 결정으로서 특정작업에 대하여 공정부문별로 착수 및 완성시기의 기준을 나타내고 직장별·공정별의 여유시간을 산정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생산일정의 결정으로서 대(大)일정계획에서 세분한 월별·주별·일일별 생산일정표를 공정부문별과 작업자별로 작성하는 것이다.

작업분배[편집]

作業分配

작업분배는 공정표 및 일정표에 기재되어 있는 예정된 시간과 순서에 따라서 작업 명령서나 지도표를 발행함으로써 생산활동을 개시하는 수단이다.

즉 작업분배란 미리 정해놓은 일정계획에 따라서 개개의 직장(職長)이 그들 담당 부문에서의 제조 개시를 허가해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작업분배를 함에 있어서는 기계 부하표(機械負荷表)로부터 결정된 기계부하(機械負荷)의 일정표에 따라야 하며 모든 기계가 항상 가동하도록 해야 한다. 작업분배 기능의 중요한 내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재를 창고에서 최초의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1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것, ② 기계 부하표와 절차표 및 진도관리표에, 사전계획에 의하여 기재한 일자와 시간에 맞추어서 작업전표를 발행하여 작업을 허가하는 것 ③ 작업의 개시와 종료시각을 기록하고 경과시간을 계산하는 것, ④ 기계·작업자의 유효시간을 기록·보고하는 것 등.

진도통제[편집]

進度統制

작업분배가 끝나면 그 작업이 계획대로 완수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진도통제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안 된다. 진도통제란 일정계획에 있어 변화와 이의 보완을 위한 새로운 계획의 조정, 작업분배오차 등으로, 작업진행에 대한 제요소의 정비 및 부족에 대한 독촉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도통제란 공정별 진도상황을 정확한 방법으로 기록표에 표시하고 예정과 비교하여 지연의 원인을 조속히 발견하여 지연작업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을 행하여 신속한 회복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시간의 탄력적 조작, 교체성 잔업, 외주내작 등의 긴급처리 등을 할 수 있게 하고 재료·부품의 자연연결 카드를 사용하여서 관계부과(附課)간의 정보교환을 적절하게 하여 지시사항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공수체감현상[편집]

工數遞減現象

작업자가 동일한 작업을 장기간 계속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빠른 시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들의 경험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것은 학습, 즉 능률향상 때문이다. 즉, 작업자는 작업하면서 학습하고 작업을 반복하면 할수록 능률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수체감현상은 일반적으로 기계설비의 개선, 야공구(冶工具)의 개선, 설계의 개량, 제작기술의 개선, 관리기술의 개선, 작업자의 학습, 불량품 발생의 감소 및 임금제도의 자극도 등에 의한 종합적 공수체감현상과 단순히 작업자의 학습에 의하여 일어나는 개별적 공수체감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공수체감곡선의 의의[편집]

工數遞減曲線-特徵

작업을 할 때마다 조금씩 더 잘 한다는 사고(思考)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숫자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사고는 한정되어야 한다. 즉, 작업을 할 때마다 조금씩 더 잘 한다는 대신에 그 개념을 극히 좁혀서 작업량이 배(倍)로 증가될 때마다 단위당 시간은 어느 일정률에 의해서 경감되어야 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학습을 정리하여 도시할 수 있는데 이것을 공수체감곡선이라고 부른다. 공수체감곡선을 대수(代數)그래프에 도시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에 의하면 처음에는 시간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율이 매우 완만하여진다. 이를 쌍대수도표 (雙對數圖表)에 도시하면 〔그림 2〕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공수체감곡선이 쌍대수도표에서 직선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쌍대수도표에 의해서 학습현상을 도시하면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이점이 있다. ① 실제적인 자료가 도시될 때 학습률의 파악이 용이해진다. ② 계획된 진도와 비교하면서 실제적인 학습률을 관찰함으로써 계획의 정확성을 분명히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① X 단위, Y 단위 등에서 단위당 시간이 얼마나 될 것인가, ② X 단위 등에 있어서 단위당 누적 평균시간은 어떻게 될 것인가, ③ 몇 번째 단위에 이르면 이 계획이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인가 등을 쉽게 알 수 있다.

공수체감곡선의 특징[편집]

工數遞減曲線-特徵

공수체감의 경향은 작업의 성질에 따라서 다르며 실제로는 각 공장에서 실적치를 조사하여 도시해야만 표준체감률이 계산되며 일반적인 특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체감률은 작업의 성질에 따라 대체로 일정하다. ② 체감률은 다음의 순서로 커지는 경향이 있다. ㉠ 기계가공, ㉡ 부품가공, ㉢ 소규모제품의 조립작업, ㉣ 대규모제품의 조립작업 등의 순이다. ③ 단순작업(개인작업)보다도 조작업(연합작업)의 경우가 체감률이 크다. ④ 체감곡선은 완전한 쌍곡선은 되지 않으며 어떤 생산량 이상에서는 횡축(橫軸)에 평행한 직선으로 된다.

⑤ 일반식은 Y=AX^B` 로 표시된다.

공수체감곡선의 이용[편집]

工數遞減曲線-利用

(1) 신제품의 생산을 시작할 때 표준시간의 견적·정원계획·출하계획 및 원가예측에 이용된다. 즉, 신제품의 제작을 시작할 때에는 표준시간 이상의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표준보다도 얼마나 많은 시간을 요하는지 또는 그 시간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어떻게 체감하여 가는지 또한 표준공수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몇 대째가 되는지를 사전에 알아야만 정원계획·출하계획·원가예측 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2) 능률급설정의 기초로 이용된다. 즉, 능률급 시스템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에서는 표준시간이 능률임금의 기준이 되는 것이므로 표준시간의 결정이 중요시된다. 특히 신제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때의 능률급은 공수체감현상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면 더욱 정확할 것이다.

(3) 제품·부품의 적정구입가격을 견적하는 데 이용된다.

(4) 재공품을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5) 새로운 작업자의 교육훈력계획에 이용된다.

(6) 로트규모에 따른 표준공수를 보완하는 데 이용된다.

동작·시간연구의 목적[편집]

動作·時間硏究-目的

동작·시간연구의 주목적은 과업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의 3가지 목적이 있다. ① 가장 경제적인 작업방법의 설계와 표준화, ② 작업에 필요한 재료·공구·설비·환경의 표준화, ③ 숙련된 작업자가 정상적인 속도로 행할 수 있는 표준시간의 확립.

동작·기간연구는 테일러의 시간연구와 길브레스(Frank B. Gilbreth)의 동작연구로서 과학적 관리의 기초과학인 IE의 기본적 방법이 되고 있다.

동작연구[편집]

動作硏究

동작연구는 인간의 육체적 운동, 즉 작업을 구성하는 요소인 동작을 분석하여 능률적인 작업방법으로 종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작업의 기술적 구조를 공정·작업·동작이라는 기본개념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동작연구에서는 작업의 기술적 규정요인을 알기 위하여 공정연구가 있고 또한 작업의 동작연구가 있으며, 정밀연구로서의 미시동작연구가 있다.

시간연구[편집]

時間硏究

시간연구는 어떤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구하기 위하여 실제로 작업자의 작업을 관찰하여 스톱워치로 측정하는 테일러의 방법을 말한다. 시간연구에서 측정된 결과가 적정시간이 되고 표준시간이 되기 위해서는 작업방법의 개선, 동작의 명확성, 작업조건의 표준화가 요청되는 것이며 이들 요건이 불안정하다면 시간가치도 표준으로서의 의미가 없게 된다.

시간연구에 의하여 확정되는 표준시간은 다음과 같은 경영관리의 목적에 이용되고 있다. ① 생산계획·공수계획·능력계획, ② 공정설계·공정간의 균형, ③ 공수체감에 의한 외주단가의 결정, ④ 작업성과 또는 진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의 설정, ⑤ 표준원가의 설정, ⑥ 능률제도 설정 기준.

품질관리[편집]

品質管理

품질관리란 생산관리에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불량품의 발생원인을 발견하고 그것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의 유지와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즉, 품질관리란 제조공정 중에서 불량품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가능한 한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공정의 통제에 있어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면 기업에 주는 이익은 다음과 같다.

① 작업원에게 품질에 대한 책임과 관심을 인식시켜서 품질수준을 높일 수 있게 한다. ② 작업의 잘못이 적어져서 폐품·수정 등의 경비의 절감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③ 제품 품질의 차이가 감소되어 품질이 향상된다. ④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어 생산량의 저감과 수율(收率)의 향상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⑤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수요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다. ⑥ 품질관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요자에게 신용을 높인다.

관리도법[편집]

管理圖法

품질관리의 중심은 관리도법이며 관리도란 제품의 품질을 그래프에 도시한 것이다.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점(點)이 관리도의 상부관리 한계선과 하부관리한계선 내의 관리한계 안에 있으면 품질의 변동은 안정된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그대로 두어도 좋지만, 만약 제품의 품질을 표시하는 점들이 관리한계 밖으로 벗어나 있을 때에는 품질의 변동이 있는 것이므로 이의 원인을 조속히 조사하여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와 같이 관리도는 품질변동의 의미를 가리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의 제조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에 있었는가를 조사할 수도 있으며 잘못된 원인을 발견하여 이를 제거함으로써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려고 할 때에도 이용된다.

IE와 경영관리[편집]

IE-經營管理

관리의 3원칙(무계획·무질서·무감독의 배제)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법이 필요하며, 또한 표준화·단순화·전문화의 실시 및 관리의 능률화(경제성·안정성·신속성)의 확립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리를 위한 기술이 IE(indusrial engineering)이다. 관리는 통제를 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므로 IE는 통제를 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IE의 의의 및 내용[편집]

IE-意義-內容

IE란 기업경영에 있어서 사회과학의 전문지식과 수학·물리학·공학적 설계원리 등 각종의 공학적 지식이나 기술을 이용하여 경영의 제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경영조건의 관점에서 종합적·조직적으로 조정하여 과학적 관리를 달성함으로써 기업변영과 사회복지에 기여하는 관리과학이라고 하겠다.

미국의 IE협회인 AIIE의 공식정의는 'IE란 공학의 범위에서 사람·재료·설비의 통합된 시스템의 설계·개선·실시를 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통합된 시스템의 설계·개선·실시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결과를 명시하고,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공학상의 분석이나 설계의 원칙과 기법 및 수학·자연과학·사회과학에 있어서의 전문지식이나 기법 등을 사용한다'라고 되어 있다. 즉 IE는 조직·제도관리의 종합적인 개선에 의해서 원가절감을 도모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